국내 5세대 이동통신 2019.04.03부터 첫 개통[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은 ?
5G 이동통신 기술은 이론상으로 최고 속도가 3밴드 LTE-A의 300배가 넘는 100Gbps, 체감 속도 또한 3배가량인 1Gbps에 이른다.
빛의 속도로 빠른 인터넷인 5G 이동통신은 초당 기가급의 데이터를 전공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초고화질(UHD), 홀로그램, 모바일 입체 영상 등이 가능해지며, 사물 인터넷(집안 모든 기기가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것)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Daum백과] 5세대 이동통신 – 똑소리나는 일반상식, 시사상식연구소, 시대고시기획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4세대 LTE-Advanced에 이은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5세대 이동통신은 최고 전송 속도가 초당 1기가비트(Gbps) 수준이다. 초고화질 영상이나 3D 입체영상, 360도 동영상, 홀로그램 등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필수적이다.
<P class="desc_section fst" mouseX="80" mouseY="102">‘5G 이동통신(5G, IMT-2020)’에서는
전달 속도(Latency, 지연)도 빨라진다. 전달 속도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서버 등을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5G 이동통신에서는 4G보다 10배쯤 더 빨라질 전망이다.</P>
<P class=desc_section mouseX="266" mouseY="202">예를 들어 전달 속도가 빨라지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이 강화된다.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간이 짧아져 자동차가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을 피하도록 하는 제어 속도가 빨라지는
셈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실제 현장에 있는 것 처럼 상황을 판단할 수 있고, 아무런 지연 없이 장비나 로봇 등을 조작할 수도 있다.
[Daum백과] 5세대 이동통신 – ICT 시사상식 20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일반인 대상 5G 스마트폰 이동통신 서비스가 어제(3일)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1일 세계 최초로 기업용 5G 상용화에 성공한 데 이어 일반용 5G 서비스도 '세계 첫 개시'의 타이틀을 갖게 됐습니다.
*당초 오는 5일로 예정됐던 5세대 이동통신, 5G 서비스의 첫 개통이 어젯밤 11시부터 시작됐습니다.
이동통신 3사는 각사가 확보한 1호 가입자를 대상으로 5G 개통을 시작했으며, 이는 일반 스마트폰용 5G 서비스의 세계 최초 개통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동통신 3사가 오는 5일 개시하려던 5G 서비스를 조기에 개통한 것은 당초 오는 11일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던 미국의 버라이즌이 오늘(4일) 조기 개통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현우 [hmwy12@ytn.co.kr]
정부 “5G에 30조원 투자…일자리 60만개 창출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 공원 K-아트홀에서 열린 ‘‘세계 최초 5G 상용화, 대한민국이 시작합니다‘‘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에 민간과 함께 2026년까지 30조원 이상을 투자해 관련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5G+ 전략’을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 차원의 5G 전략을 추진해 세계 최고의 5G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8일 오전 서울 올림픽공원 케이(K)-아트홀에서 열린 ‘코리안 5G 테크콘서트’에서 “5G는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인프라로, 각 산업 분야에 융합되면 우리 산업 전체의 혁신을 통한 동반성장이 가능하다”며 “신산업 생태계는 청년들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 국가적으로는 제2 벤처 붐을 일으키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련 부처들은 이런 내용을 담은 ‘5G+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실감콘텐츠·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디지털헬스케어 등을 5G+ 핵심서비스로 삼고, 네트워크장비·스마트폰과 가상현실(VR)·웨어러블 디바이스, 커넥티드 카 등 10개 핵심 산업도 선정했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관련 총 생산액 180조원, 수출 730억달러를 달성하고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구체적으로 공공 분야에서의 수요 창출을 통한 5G 확산을 위해, 원격협진 등을 통한 의료서비스,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도로·항만·공항 안전관리에도 5G가 사용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원전 해체 기술 개발과 추진에도 5G 기술을 사용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이 5G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5G-팩토리 솔루션’을 오는 2022년까지 1천개 공장에 단계적으로 보급하고, 중형 조선소에도 ‘스마트 야드’ 핵심기술을 확보해 공정의 자동화·최적화를 도울 방침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을 조기에 구축하고, 산업은행·기업은행의 ‘산업구조 고도화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5G 전략사업에 대한 설비·기술투자를 추진한다. 또한 5G 서비스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2026년까지 주파수를 현재의 2680㎒폭에서 5190㎒폭으로 2배 확대하고, 자율주행차·스마트공장 등을 위한 별도의 주파수도 공급하기로 했다. 이런 ‘5G 융합서비스’에 맞는 유연한 요금제도 통신사들이 마련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가계 통신비 부담이나 정보격차 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문 대통령은 “5G 시대의 혜택을 모든 국민이 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정책의 중점을 두겠다”며 “다양한 중저가 요금제가 나오도록 사업자와 협력해 나가는 한편, 통신복지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이날 발표된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과기정통부 2차관 주제로 전략점검회의를 주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얻기 위해 예정된 일정을 이틀 앞당겨 상용화를 추진하고 발표에 나선 만큼, 문 대통령은 “언제든 기회가 생기면 대통령부터 나서서 우리의 앞선 기술을 홍보하겠다”며 5G 홍보·영업사원이 되겠다고 자처했다. 문 대통령은 “5G 시대는 우리가 생각하고 만들면 그것이 세계의 표준이 되는 시대로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을 결코 멈추지 말자”고 당부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89196.html#csidx56df9091fc90fb58b6c40566490ee44
엑소는 왜 밤 11시에 5G 스마트폰을 개통했나?
에스케이텔레콤의 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1호 개통 고객들. 왼쪽부터 엑소의 백현, 김연아 선수, 윤성혁 선수, 박재원 씨, 페이커 이상혁 선수, 엑소의 카이.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폰 세계 최초 개통’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지난 3일 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3사에 대소동이 빚어졌다. 미국 버라이즌이 애초 11일(현지시각)로 예정했던 개통 날짜를 앞당긴다는 소식에, 통신사들이 일정을 앞당겨 3일 밤 11시 기습적으로 1호 개통에 나선 것이다. 5G를 둘러싼 국내외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정부나 사업자 모두 ‘우왕좌왕’하는 모양새다.
4일 과기정통부와 통신업계의 말을 종합하면, 과기정통부와 통신3사 관계자들은 3일 오후 5시께 회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때 버라이즌이 5G 스마트폰 개통 일정을 미국 시각 4일로 앞당긴다는 정보가 접수됐다. 관련 업체로부터 해당 정보가 입수됐다고 한다. ‘세계최초’ 타이틀에 목매고 있던 터라 머리를 맞댄 이들이 이때부터 바빠졌다. 과기정통부와 통신사들은 개통 날짜를 당기기로 했다.
삼성전자 ‘갤럭시S10 5G’ 스마트폰이 긴급 조달됐고 통신사들은 5일로 예정된 요금제 약관 시행날짜를 3일로 변경해 다시 제출했다. 결국 자정을 넘기지 않고, ‘기습 개통 작전’을 완수할 수 있었다. 버라이즌은 애초 알려진 4일이 아니라 현지시각 3일 모토로라 단말기에 배터리팩과 유사한 5G 모듈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미국 시카고와 미니애폴리스에서 1호 가입자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이 2시간 앞섰다”고 밝혔지만, 명확한 판단은 아직 어렵다. 누가 먼저 한밤의 기습작전을 제안했는지는 엇갈린다. 통신사와 정부는 ‘2시간 앞선 세계 최초’라는 ‘공’을 서로 미루는 기묘한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통신사들이 요금제도 준비됐고, 단말기도 있는데 굳이 기다릴 필요가 있겠냐고 말해 개통을 앞당겼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4G부터는 통신기술이 국제표준화 돼서 누가 먼저 했는지, 가입자·커버리지 수준이 사업상 레퍼런스(참고자료)가 된다”며 “국외 통신사들도 한국 통신사의 사례를 많이 참조할 것이기 때문에,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각 통신사의 5G 서비스 발표 기자간담회에는 이례적으로 외신기자들이 많이 참석했다.
이번 개통은 이미 한번 늦어진 것이다. 지난해 12월1일 통신3사가 5G 첫 전파를 쏜 뒤, 휴대전화 상용화는 3월 말 ‘갤럭시 S10 5G’ 국내 출시에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삼성전자 쪽 기기 안정화 작업이 늦어지면서 일정이 4월5일로 미뤄진 것이다.
개통일정뿐 아니라 요금제도 오락가락 했다. 에스케이텔레콤(SKT)이 비싼 요금제 위주의 약관을 인가받으려다 과기정통부에게 이례적으로 반려를 당하는가 하면, 케이티(KT)가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자 이미 요금제를 정한 엘지유플러스(LGU+)와 에스케이텔레콤이 따라가기도 했다. 이날 엘지유플러스는 월 200GB를 제공하는 스페셜(8만5천원) 요금제를 신설하고, 조건부 무제한 사용을 올해 말까지 제공하기로 했다.
통신3사는 무제한 요금제를 앞다퉈 내놓는 상황을 마뜩치 않아 한다. 서비스 초기부터 무제한 이용 요금이 보편화되면 이후 다른 요금상품을 내놓기 어렵고 막대한 투자금 회수 역시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지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무제한 요금제는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충분히 매력적인 수준으로 시장 예상보다 빠른 5G 가입자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88709.html#csidx9d8904b947ad366b93d539e514c3d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