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조기경보기 A-50 Mainstay SDRLO (Long Range Detection System)
러시아의 베리예프 설계국(Beriev OKB)이 1960년대 중반 배치된 Tu-126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조기경보기로 베리예프 설계국이 개발한 다른 기종과 달리 러시아 공군이 제식 장비로 채용한 뒤에도 시제기 이름을 그대로 부르고 있습니다. 메인스테이(mainstay)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에서 붙인 암호명으로 대들보라는 의미로 A-50은 러시아 방공망의 대들보 역활을 수행중에 있습니다
베리예프 설계국은 Il-76MD 수송기를 개조해 동체를 연장하고 레이더를 비롯한 각종 전자장비를 탑재하고, 동체 위에 대형 회전 안테나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신형 조기경보기를 개발, 1980년 시제기가 첫 비행에 성공하고 1984년부터 러시아 공군에 배치되었습니다. 1995년에는 신형 A-50U가 등장했다. 러시아 공군은 SDRLO(Sistiem Dalnovo RadioLokacyo-mnovo Obanrushenya:장거리전파위치탐지시스템) 항공기로 분류합니다.
A-50의 핵심장비는 베가 설계국이 개발한 쉬멜(Schmel)-M 감시추적레이더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은 동체 위에 설치한 지름 9m의 회전 레이돔(rotodome)과 디지털복합계산기·피아식별장치(彼我識別裝置)·암호화통신시스템·전투기유도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00㎞ 거리에서 폭격기나 순항미사일 같은 이동목표 50~60개를 추적한 뒤 관련 비행데이터를 10~12대의 요격기에 전달하고 유도할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합니다. 최대 탐지거리는 800㎞, 동시에 추적 가능한 목표는 200개로 방공 탐색구역내의 모든항공기와 순항미슬까지도 탐지한다고 합니다.
주날개 아래 파일런에 솔로비예프(Soloview) D-30KP 터보팬기관 4개를 장착하며 무장은 기체후부 포탑에 장비한 23㎜ 기관포 2문이며, ECM 포드와 미사일 방어를 위한 플래어(flare)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체공시간 연장을의해 재급유 시스템도 장착�니다 승무원은 비행요원 4명과 시스템 운영요원 11명 등 15명입니다.
1990년대 후반까지 25~40대가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부분 러시아 공군이 운용 중입니다. 러시아 외에 인도와 중국이 2000년 2대씩 임대하고, 중국이 4대를 주문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라크는 Il-76MD 기체에 톰슨-CSF 감시레이더를 장비한 바그다드1이라는 경보기 몇 대를 개발해 걸프전쟁 때 사용했습니다. TU-126 Mossrl를 대체하기위하여 1970년대중반부터 개발시작하여 1984년 개발을 마치게됩니다. 이후1989년 초부터 러시아공군에 인도되기시작합니다. A-50은 IL-76수송기의 동체를 좀더 연장하고 동체상부에 회전식레이다와 피아식별장치 (IFF)시스템과. 광범위전저방해장비인(ECM)을 장착했으며 체공시간 연장을의해 재급유 시스템도 장착�니다. 방공 탐색구역내의 모든항공기와 순항미슬까지도 탐지한다고 합니다.
제원 제작(개발) 베리예프 설계국 길이 46.59m, 높이 14.76m, 넓이 50.54m, 최대이륙중량 19만kg, 최고속도 시속 850㎞, 실용상승한도 1만 200m, 항속거리 6700㎞, 엔진 D-32KP-2 4기. 1기당 출력12000kg
A-50 MAINSTAY AIRBORNE EARLY WARNING AND CONTROL SYSTEM, RUSSIA Crew flight crew 5 mission crew 10
Weight max takeoff weight 190,000 kg weight of fuel 64,820 kg maximum landing weight 151,500 kg
Engines number and type of engines 4 x D-30KP Take-off thrust, kgf 4 x 12,300 kgf
Performance service ceiling 10,200 metres maximum range 5,000 km flight endurance 7.7 hours limit load factor 2g patrol speed 600 kilometres/hour patrol endurance at 2,000 km range 1.4 hours patrol height 5,000 to 10,000 metres number of simultaneously tracked targets 50 to 60 targets numbers of simultaneously guided fighters 10 to 12 fighter aircraft range of detection of fighter aircraft with effective target area 3m2 220 to 240 kilometres
Communications range via hf channel 2,000 kilometres range via Uhf channel 400 kilometres range via wide band radio link 400 kilometres range via satellite radio link satellite zone Radar centimetre wave bands basing facilities first category airfield, concrete-paved
참고글 : http://afbase.com/ Mainstay는 소련의 첫 AEW와 AWACS 플랫폼인 Tupolev Tu-126 'Moss'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많은 초기 서방 AEW 항공기와 같이, 'Moss'는 사실상 지상감시에 대해서는 비효율적이었지만, 적 공격의 조기 경보를 제공하고 요격기들을 지휘하기 위한 항공 레이더 스테이션의 유용함을 증명하기 에는 충분히 효과적이었습니다. 러시아의 SDRLO(System Dalnovo Radiolocaciommovo Ibnarusheny 주: 장거리 라디오 위치 및 포착 시스템)개발로 사실상 1960년대에 경제적인 문제로 종료 되었다가 서방의 E-3 Sentry 개발로 인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A-50은 로터돔을 (E-3에 장착된 것보다 Tu-126에 장착된 것에 더 영향을 받은)동체 위에 가지고 있으며 기수 창과 테일 터릿을 없애고 레이돔으로 대체하였습니다. 그리고 꼬리 날개 중앙의 리딩에지 부터 앞으로 튀어나온 커누 모양의 작은 레이돔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Mainstay'는 1994년 중에 실전에 투입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의 설계자들은 E-3에 비해 열등한 레이더 범위와 다중 목표들이나 저공 비행 목표들의 식별에 있어서 뛰어나다고 주장합니다. 소련의 전자 산업이 서방에 비해 뒤쳐지고 가정용 컴퓨터와 컴퓨터 게임에 대한 국내 시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장비는 탑재하기에 크고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고, 비슷한 장비 성능을 얻는데는 놀라운 진보가 있었지만, 가벼운 무게와 단순성을 희생한 결과입니다. 각군과 병과별로 분리된 명령 및 지휘시스템은, 데이터를 교환하고 IFF 신호들을 해독하는 임무를 위한 데이터 복제 및 전송 시스템의 설치를 필요로 합니다. 이 모든 디코딩 및 인터 페이싱이 기내에서 진행되는 반면, E-3 Sentry에서 인터페이싱은 지상에서 이뤄집니다. 모든 장비의 중량은 예상된 것 보다 훨씬 무겁고, 랜디익어 제한은 이 항공기가 연료를 가득 채우고 이륙하지 못하게 했고, 이것은 절반 정도의 임무 수행 지속능력을 감소시켰습니다. 로터돔으로부터 교란된 기류가 비행중에 공중재급유를 매우 어렵게 만든다는 사실이 이 문제를 더 악화시킵니다. 작은 스크린들은 지상과 공중의 전술상황을 모니터하고 경고와 속도, 고도, 무장과 연료 상황의 명세와 함께 아군과 적 전투기의 숫자와 타입을 보여주면서 캐빈 안에 커다란 단일 스크린이 전투기들을 지휘하는데 사용합니다. 모든 스크린은 완전 디지털 컬러 CRT들이고, 아군은 적색으로 적군은 청색으로 나타납니다. 이 항공기의 미션 컴퓨터는 전투기와 지상으로부터 직접 오고 가는 데이터의 자동 통시노가 인공 위성을 통한 데이터 링크를 가능하게 해 줍니다.이 항공기의 자동 비행 장치와 연결 됐을때 이 것은 프로그램된 지상의 포인트를 위로 미리 프로그램된 탐색 패턴으로 비행하게 해 줍니니다. A-50은 일반적으로 8자 모양의 경로를 33,000 ft 상공에서 2개의 원의 중심 사이가 100km(62 miles)가 되게 비행할 수 있습니다. 군사 훈련중의 A-50은 MIG-31 요격기들에게 다가오는 크루즈 미사일을 지시하는 동시에 잠수함에 전술 정보를 제공하며 Tu-22M-3 'Backfire'폭격디들과 다른 전투기들을 통제하여 이들을 지휘하는 능력을 선보였습니다. Beiev는 Ministry of The Radio Equipment Industry에서 공급하는 장비를 사용해서 Ⅱ-76들을 AEW구성으로 전환하는 책임을 맡았습니다. 이라크는 Ⅱ-76의 비슷한 AEW 버전들을 개발했습니다. Beriev는 업데이트된 A-50U 변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더 나은 지상 포착과 능동 추적 능력을 Vega Schmel-M 레이더에 통합하는 것입니다. 비슷한 외형의 변형인 Ⅱ976은 범위 컨트롤 작업에 사용됩니다
제원
전폭: 50.50 m 자체중량: 105,000 Kg 전장: 46.60 m 최대이륙중량: 195,000 Kg 전고: 14.76 m 전투행동반경: 1,000 Km 주익면적: 300.0 m² 항속거리: 1,853 Km 최대속도: 850 Km/h 원형기 초기비행: 1978. 12. 19 실용 상승 한도: 13,000 m 승무원수: 14명 엔진: 솔로비요프 D - 30KP x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