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통신장비(무전기)
무선통신장비(무전기)
무전기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우선, 전파 및 주파수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1. 전파
전파란 인공적인 유도없이 공간을 전파하는 3KHz에서 3,000GHz 사이의 주파수를 지니는 전자파를 말한다. 또 주파수는 전파가 공간을 진행할 때 생기는 파동이 1초 동안에 진동하는 횟수, 즉 신호의 주기가 1초 동안에 몇번 반복되었는가를 의미한다. 또 파장은 신호 주기의 길이, 즉 신호가 전파되고 있는 동안 주기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며 단위는 거리 단위인 미터(m)를 사용한다. 따라서 주파수와 파장은 반비례하며 주파수 값이 큰 신호는 파장이 매우 짧은 신호가 된다.
2. 전파의 구분 전파의 구분은 3KHz(1백km의 파장)를 기점으로하여 주파수 값의 10배마다 구분하고 각 구분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주파수대라고 한다. 주파수대는 3KHz ~ 30KHz인 초장파(VLF)를 시작으로 장파(LF), 중파(MF), 단파(HF),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마이크로파(SHF), 밀리파, 준밀리파 등으로 구분한다. 1) ULF (30 ~ 300Hz, ultra low frequency) 4) LF (30 ~ 300KHz, low frequency, 장파) : 매우 파장이 길므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송수신안테나를 크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표파(地表波)로서의 전파특성이 좋고 물 속 어느 정도까지 도달하므로 무선항행이나 수중통신 등의 특수목적에 이용된다. 5) MF (300 ~ 3000KHz, medium frequency, 중파) : 중파는 근거리에서는 지표면을 따라 전반하는 지표파를 이용하지만, 파장이 길수록 감쇠가 적다. 원거리에서는 전리층파가 주체가 되지만, 주간에는 D층(60∼85㎞ 상공에 존재)이 전파의 흡수층으로 작용하므로 전기장의 세기가 약해져서 거의 이용할 수 없다. 야간에 D층이 소멸하면 E층(90∼110㎞ 상공에 존재)이나 F층(200∼400㎞ 상공에 존재)에서 반사하여 수백㎞ 떨어진 곳까지 이른다. 전리층파와 지표파의 전기장의 세기가 같은 정도인 곳에서는 페이딩(fading)이 있지만, 태양활동이나 계절에 의한 변화는 적다. AM라디오방송·선박통신·무선항행업무 등에 이용되고 있다. 9) SHF (3 ~ 30GHz, super high frequency, 마이크로파) 3. FM/AM 방식 주파수가 높을수록 음질이 좋게 전송되는 반면, 수신거리는 짧아진다. 즉, FM(VHF 초단파)은 음질이 깨끗하며, AM 보다 방송이 멀리 전파되지 못한다. AM(HF 단파)은 음질이 좀 나쁜 대신 주파수 대역이 낮아 FM보다 더 넓어 멀리까지 전파된다.
[ 한국군 무전기 ] < FM 무전기 > 1) PRC-85K 소대/분대급 휴대용 FM무전기
P-85K 무전기는 분대 및 소대에서 주로 사용된 무전기로 반경 수백미터 정도만 교신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PRC-96K 무전기로 교체중이지요.. 예비군 장비로 편성되어 있다고 하네요..^^; 2) PRC-77 중대급 FM무전기 사진출처: http://www.armyradio.com/ 사진출처: http://en.wikipedia.org/ PRC-25 무전기의 후계 기종인 PRC-77(P-77) 무전기는 외형상으로는 모든 면에서 PRC-25와 똑같이 생겼다. 품명 표시판을 빼면 두 무전기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서 말한다는 것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분해되었을 때도 오직 숙련된 사람만이 차이점을 말할 수 있고 대부분의 내장 모듈들이 서로 교환 가능하다. 그러나, PRC-77 무전기에 여러 개량된 부분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무전기의 수신기가 더 좋은 분리 감도를 가진 것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발신기는 발신시 잡스런 전파의 발산이 줄어들었으며, 물론 출력용 진공관도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X모드(비화 통신) 장비에 대한 융통성을 가지도록 무전기의 가청 대역폭이 넓어졌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점은 마침내 다양한 데이터 모드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차적인 잇점을 허용해 주었다. 이 모드들에는 MCW 모드, TTY(텔리타이프) 모드, 현대식 패킷 무전기 모드가 있었다. 3) PRC-96K 소부대 휴대용 FM무전기
P-96K무전기는 야전에서 작전운용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P-85K무전기에 비해 무게와 크기가 크게 줄어든 반면 주파수 범위와 채널수, 통달거리는 2~5배 대폭 향상됐다. 4) PRC-999K 차기 FM무전기 사진출처: 골든이글님(야.K. 컬.럼. 이미지)
PRC-999K는 차기 FM무전기로 넥슨(구 LG정밀) 국내 연구개발로 개발된 선진국형의 최신 기술을 적용 개발된 전술제대 지휘용 무전기임. 전술제대에 효율적인 통신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FM 무전기(PRC-77) 보다 광대역의 주파수와 다채널을 보유하였으며, 상호간섭 및 혼신을 최소하하였고 적의 전자전 위협으로부터 생존성을 보장 받기 위해 주파수 도약(HOP) 기능을 이용하여 대 전자전 능력을 보강시켰으며, 특히 고품질의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있는 데이터 전송 능력도 구비하였다. 주요기능으로는 빠른 속도로 주파수를 변경해가며 운용하는 방식으로 적의 간섭이나 도청을 피할수 있으며 대역도약과 지정 도약 방식으로 나누어지며, 고정 및 도약운용시 입력된 3개의 탐색채널 및 호출주파수의 운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2대의 무전기 세트에 차량 및 휴대용 중계케이블을 이용 중계 운용할 수 있다. 특히, 중계운용 방법이란 두무전기간 거리가 기본 통달거리보다 멀거나 산악, 협곡등과 같은 전파의 장애물이 있어 통신이 불가능한 지형적인 조건에서 보다 나은 통신을 하기 위한 운용방법이다. 또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식으로도 송·수신이 가능하고 원격조정기세트(C-939K)를 이용, 야전선으로도 3.25Km까지 이격하여 원격으로 조정하여 운용하는 방식으로 지휘소 은폐, 엄폐 등의 융통성 있는 통신운용에 효과적이다.
5) PRC-999KE/C 전술제대 지휘용 무전기
PRC-999KE/C < VHF(초단파) 무전기 > 1) VRC-946K 계열 VHF 무전기 VHF 대역 무전기이며 전자전을 극복할 수 있는 주파수 도약 기능, 주파수 예치기능과 디지털 데이터 통신기능을 갖춘 첨단장비로서, 군 지휘망에 사용되는 통신장비이다. VRC-946K 계열은 VHF 대역 무전기이며 전자전을 극복할 수 있는 주파수 도약 기능, 주파수 예치기능과 디지털 데이터 통신기능을 갖춘 첨단장비로서, 군 지휘망에 사용되는 통신장비입니다. 무선통신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갖추었으며 차량, 전차 및 장갑차 등에 설치하여 운용되는 주파수변조(FM)방식의 VHF 대역 무전기로서, 음성 및 데이터를 주파수 고정방식 또는 도약방식으로 송 · 수신 할 수 있습니다.
< AM(HF) 무전기 > 1) KAN/URC-87 구형 휴대용 AM무전기 사진출처: http://www.defence.co.kr 905님 U-87 AM 무전기는 FM 무전기보다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여 특수부대에서 사용합니다. 통신 주특기는 훈련나가면 남들과 같이 군장하고 무전기 하나 더 하면 40KG이 넘어 기동하는데 무리가 따르고, 새벽 및 동절기에는 잘 터지지 않아 고생한다고 하더군요. AN/PRC-950K 차기 AM무전기로 교체중이지요.. 2) PRC-950K 차기 휴대용 AM무전기 주파수 도약형 휴대용 무전기로서 구형 HF 무전기(KAN / URC-87)의 대체기종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사람에 의해서 장비를 휴대하여 이동간에 운용할 수 있으며, 5Watts 또는 20Watts의 출력으로 쌍방 무선통신을 위한 진폭(AM) 변조방식의 차기 무선통신 장비입니다. PRC-950K는 주파수 고정 운용, 주파수 도약 운용, 주파수 예치기능, 주파수 품질측정 기능(LQA), 측정된 주파수 품질을 기준하여 양호한 주파수로 자동으로 통화로를 연결하는 연결(ALE), MEROD 및 각종 DTE 연동이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통신기능, 자체 점검기능(BITE),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거기능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VRC-950K 차량용 AM무전기 주파수 도약형 차량용 무전기로서 구형 HF무전기(AN/GRC-165)의 대체기종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통신목적 차량에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100Watt의 출력의 쌍방 무선통신을 위한 진폭(AM)변조방식의 차기 무선통신 장비입니다. 무전기 VRC-950K는 주파수고정 운용, 주파수도약 운용, 주파수 예치기능, 주파수 품질측정 기능(LQA), 측정된 주파수 품질을 기준하여 양호한 주파수로 자동으로 통화로를 연결하는 연결(ALE), MEROD 및 각종 DTE 연동이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통신기능, 자체 점검기능(BITE),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거기능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UHF(극초단파) 무전기 > 1) KAN/GRC-512(V) UHF 다중채널무전기 기존 KAN/GRC-512(V) 무전기의 전송속도를 2Mbps에서 4Mbps로 향상시킨 장비입니다. 진화적 개발 기법을 적용, 개발해 확장성이 가능하며 S/W 다운로드만으로도 성능개선이 가능한 SDR 기술을 적용한 장비입니다. 전자전(ECCM)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에 의한 다양한 운용모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 관리가 용이하고 동영상(화상회의) 전송도 가능합니다. 원방/원격 운용을 할 수 있으며 자체 점검 및 진단 기능이 내장돼 있습니다. 이 장비는 최신 SDR 기술, S/W Downloadable 기술, 고속 및 광대역 도약 기술, 적응 및 이중송수신 구현 기술, 광대역 RF 기술, 고속 VTF 기술, 고속 주파수 합성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전송속도를 8Mbps로 증속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기존의 다중채널 장비와는 달리 이 장비는 회선용량을 2배로 증가시켜 음성 및 데이터 외에 화상 회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고속 및 광대역으로 도약하기 때문에 통신망의 생존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첨단기술에 의한 다양한 운용모드의 보유로 통신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하나의 송신기로 거의 동시에 다른 주파수로 전송데이터를 송신하여 수신 측에서 양호한 신호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기능이 있어 최적의 신뢰성을 갖도록 제작되었습니다
2) KAN/GRC-512A(V) UHF 다중채널무전기 - 개요 기존 KAN/GRC-512(V) 무전기의 전송속도를 2Mbps에서 4Mbps로 향상시킨 장비로서, 진화적 개발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하여 확장성이 가능하며 S/W 다운로드만으로도 성능개선이 가능한 SDR 기술을 적용한 장비이다. - 주요기능 전자전(ECCM)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에 의한 다양한 운용모드가 가능하다. 그리고 주파수 관리가 용이하고 동영상(화상회의) 전송도 가능하다. 원방/원격 운용을 할 수 있으며 자체 점검 및 진단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이 장비는 최신 SDR 기술, S/W Downloadable 기술, 고속 및 광대역 도약 기술, 적응 및 이중송수신 구현 기술, 광대역 RF 기술, 고속 VTF 기술, 고속 주파수 합성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 주요 개선사항 기존 무전기와 호환 가능하며 동일신호대역폭에서 전송속도를 2Mbps에서 4Mbps로 성능을 개선시켰다. 또한 최신의 SDR 기술을 적용하여 3개의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였다. < 항공기 FM 무전기 > 1) ARC-900K 항공용 차기 FM무전기
항공기용 차기 FM무전기(ARC-900K)는 기존의 항공기용 무전기인 AN/ARC-114 및 FM 무전기로 사용하고 있는 AN/ARC-186의 대체용으로 개발하였으며, 1993년 탐색개발을 착수하여 현재 배치단계에 있는 무전기로서 지상부대의 차기 FM 무전기인 PRC-999K와 고정 및 도약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기존의 항공기용 FM무전기와도 고정운용으로 통화가능한 항공기용 VHF/FM무전기이다. ARC-900K 제원 주파수 범위 : 30~88MHz 채널 간격 : 25KHz 예치 채널수 : 8개/수동1개 운용방식 : 고정/주파수 도약 중계 : 자동 중계 탐색 : 3개 채널 대전자전 기술 : 주파수 도약기법 변조방식 : 주파수 변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