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통신장비 (야전전화기)
우선, 전화기에 대해 기초부터 설명해 드릴께요. 무었이든 기초가 중요하지요..^^
1. 전화기의 정의 전화기란 멀리 떨어져 있는 두사람간의 의사전달을 위해 가청주파수(20~3400Hz) 범위내에서 양방향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하고 신속한 통신수단으로 1876년 그라함 벨에 의해 처음으로 발명되었다.
전화기는 통화회로부, 다이얼 회로부, 착신 신호부, 송수화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을 선택하기 위해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다이얼 회로부에서 발생된 신호는 전화선을 통해 전화국 교환기에 보내지고 교환기에서는 상대방 전화기로 AC 75r.m.s의 신호를 보내며 착신신호부를 통해 착신을 재생시켜 벨 소리를 들을수 있다. 이때 송수화기를 들으면 통화회로부를 통해 쌍방이 통화를 할 수 있다. 송수화부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3. 전화기의 기능이해 - 재다이얼 기능(LNR : Last Number Redialing) : 마지막으로 다이얼한 전화번호를 재다이얼 버튼을 눌러 전화하는 기능
4. 전화기 신호방식에 따른 종류
1) 자석식전화기: 전화기의 핸들을 돌리면 발전기가 회전하여 신호가 송출(送出)된다. 또 전화를 하기 위한 통화전류를 보내는 전지가 각 전화기에 갖춰진 것도 이 전화기의 특징이다. 자석식 교환대를 사이에 두고 전화교환이 가능하여 전화기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전화선 이외의 것은 일체 불필요하다는 간편함 때문에 비상용 전화 ·공사용 전화 ·철도전화 등에 사용된다.
2) 공전식전화기: 수화기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신호가 보내지기 때문에 거는 방식이 간단하며, 따라서 다이얼과 핸들도 없이 단순한 형(形)을 하고 있다. 보통 가입전화는 다이얼화(化)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화기는 적어지고 있으나, 사무소나 여관 등의 구내교환 전화에서 다이얼식(式)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부분 이 전화기를 사용하고 있다.
3) 전자식전화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는 일반 전화기의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되어 전화국으로 보내어지는 신호이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다이얼식 전화기를 대체한 이 전화기를 터치톤 전화기 또는 전자식 전화기로 부른다.
DTMF란 Dual Tone Multi Frequency 의 약자로 전화기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말합니다.
옛날에는 펄스를 이용한 다이얼 방식의 전화기가 쓰였으나 현재는 MFC 주파수를 이용한 전화기가 쓰입니다.
1을 누르면 1209Hz 와 697Hz 5를 누르면 1336Hz 와 770Hz가 발생하는 원리지요
< 한국군 야전전화기 >
1) TA-1/PT 자석식 야전전화기
ㅁ 용도 - 전화기셋 K-TA-1/PT는 야전 및 지점간 통신을 위한 휴대용 음성 세력 전화기입니다. - 다른 K-TA-1/PT나 유사한 야전전화기 및 자석식 교환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어떤 기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건전지가 필요 없습니다.
ㅁ 특성 - 착신번호: 동시에 부저음(가변) 및 형광표시가 작동합니다. - 발신번호: 20Hz, 65~80Vrms - 소요전원: 필요없음(음성세력만이 필요합니다. - 주파수범위: 300~4,000Hz - 동작범위: 야전선:4마일(WD-1/TT) - 중량: 1.29kg(휴대용 케이스 포함)
아마도 이 녀석을 본 사람이라면 나이가 꽤 된 군번일게다. 왜냐면 통신 장비를 만졌던 본인도 이녀석을 상당히 짬을 먹고서야 만져 봤기 때문이다. 편제에는 잡혀 있지만 도태 장비 비슷한 것이라서 거의 쓰지 않고...장비지휘검열때 고장나면 골치아프니까 대대 창고에 완전 앗세이로 밀봉 포장해서 쟁여놓고 있다가 장비지휘검열때만 꺼내 놓으니 당연한 일이다. 포대 애들은 절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못 봤을 것이다.
내가 사수가 되고 나서 심심할때 많이 꺼내서 가지고 놀았는데 생각보다 감도가 아주 깨끗해서 놀랐던 기억이 있다. 이놈 역시 순수 미군장비로 아마도 TA-312 이전에는 주력이였지 않았을까 생각을 해본다. 미군 메뉴얼에는 WD-1 야전선을 쓰면 무게 1.25kg, 통달거리가 4마일(6.4km)라고 하지만 그정도는 안될거 같던데?? ㅋㅋ 이놈 기억하시는 분? 멜빵이 달린 방수 케이스에 넣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음성전력으로 동작하는 2선식 전화기로 중대급 이하 부대간 또는 경계초소간에 다른 전화기 또는 자석식 교환기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특성은 자석식 교환기, 수동식 발전기(전원: AC-65V)를 사용하는 것이다.
2) TA-312/PT 자석식 야전전화기
![]() ㅁ 용도
- 전화기셋 K-TA-312/PT는 자석식 또는 공전식이나 반공전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어떤 기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탁상용이나 벽괘용 전화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핸드셋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헤드셋을 연결하는 리셉터클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 무전기와 같은 장비의 운용을 원방 조절할 수 있습니다.
ㅁ 특성
- 착신번호: 부저음량(음량가변)
- 발신번호: 20Hz, 90~100Vrms, 1.75W이상
- 소요전원: BA-30(1.5V DC)건전지2개 또는 3V DC외부 건전지전원
- 주파수범위: 300~3,400Hz
- 동작범위: 야전선(WD-1/TT): 22마일
- 석도금케이블(19gage):30마일
- 나동선(W-Z #14AWG동선):230마일
- 중량: 4.75kg(휴대용 케이스, 안내책자 포함)
TA-312/PT 자석식 야전 전화기 일명 딸딸이... 이것은 미제 오리지날 TA-312/PT 와 국산화한 KTA-312/PT 형이 뒤섞여 있다. 이 전화기는 ’57~’68년간에 미(美) 군원으로 획득하고, 71년 주한미군 철수 시 인수하여 육군이 사단급 제대 이하에 보급하여 사용하였다.
2선식 방식의 건전지로 운용되고 지점과 지점간, 그리고 다른 종류의 전화기 또는 교환기에 가입하여 사용했으며, 자석식으로 운용시에는 원방조정이 가능한 전화기로 노후화된 EE-8전화기와 교체하여 육군의 야전전술용 표준장비로 운용하였다.
운용방식은 자석식(磁石式) 및 공전식(共電式)으로 신호형태는 가청식(可聽式)이며, 전원(電源)은 AV90-100V이다. 주파수(周波數) 범위(範圍)는 300-3,200Hz, 통달거리 22~35km, 무게 4,3kg이다.
아직도 실질적으로 한국군 야전전화기의 주축세력이며 통신병 출신들은 전기먹어 보신 기억이 새록새록...^^ 3) TA-512K 전자식 전화기
ㅁ 주요제원 운용방식/전원 : 전자식/BA-30(3개) 송신출력/수신감도 : 5 dB SPL 이상 / 105 dB SPL이상 통달거리/무게 : 8 ~30Km / 2.8Kg 가격 : 70만원 TA-512K 전술용 유선 전화기는 1970년대초 미군 철수시 TA-312를 인수받아 운용해 왔으며, 1974년 국방과학연구소 및 국제통신 (주)에서 KTA-312를 국산개발하여 군 전술용 전화기로 운용되고 있다.
1993년 전자식 전화기인 TA-512K를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 현 야전에서 전술용전화기로 운용중이며, 이 장비는 휴대용, 야전 전술용 전화기로 공전식, 자석식 및 전자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군에서 운용중인 군용/상용 모든 교환기에 가입 운용 할 수 있다.
4) TA-512KA 전술용 전자식 전화기
![]() - 주둔지 및 야전 전술용 전자식 전화기로서 소형, 경량화로 휴대 용이 하며 공전식 교환기 또는 전자식 교환기와 연동하여 통화 가능함.
![]() - 저 소모전력으로 야전 전술적 환경에 적합
- 전자식 마이크로폰 사용으로 전송 특성 우수 - 공전톤, 국부톤 및 자석식의 3가지 운용방식으로 사용가능 구형 TA-312 전화기는 그야말로 야전용 자석식 전화기로 손잡이로 발전기를 돌려서 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Direct방식의 수동식 전화기로 제약이 많을수 밖에 없다. 1:1로 물리거나 교환기와 교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할수 밖에 없는 것이다.
점차 한국군의 통신 시스템이 첨단화 되면서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TMF 공전식/DTMF 국부식/PTP 신호방식 3가지 방식을 복합 사용할 수 있으며 전술용 전자식 교환기와 접속 운용할 수 있는 소형/경량화된 TA-512 계열 전화기가 개발되어 TA-312를 몰아내면서 명실상부한 한국군의 주력 전화기가 되었다.
TA-512KA는 군용답지 않게 상당히 귀엽게 생겼다. 군용 디자인의 불문율이라 할수 있는 직선형 디자인이 아닌 유선형에다 손바닥만한 크기. 제대할때 한개 가져나오고 싶을 정도였다. 현재는 TA-512KA만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