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갑연-01(회갑의 의의)

사람이 나서 만 60년이 되는 해를 회갑이라고 한다. 회갑이라는 말은 환갑(環甲) 주갑(周甲) 화갑(花甲) 또는 화갑(華甲)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곧 자기가 타고난 간지(干支)가 만 60년이면 도로 그 자리로 돌아오기 때문에 만 60년 되는 해의 생일을 회갑으로 친다.
이는 곧 본인이 갑자생(甲子生)일 때 만 60년이 되면 간지가 한바퀴 돌아 도로 갑자(甲子)가 되기 때문이다. 회갑이란 본인의 자녀들이 그 아버지나 어머니의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서 잔치를 베푸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수연(壽筵) 또는 회갑연이라 하여 일가친척과 본인과 친한 친구들을 초대하여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것이 예로 되어있다. 그리고 이 술자리에서는 자녀들이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데 이것을 헌수(獻壽)라 한다. 만일 회갑을 맞은 사람의 부모가 아직 생존해 있을 경우에는 그 부모 앞에서도 따로 술상을 차려 놓고 회갑을 맞은 사람 내외가 먼저 부모에게 술잔을 올리고 난 다음에 자기가 헌수를 받는다.
원래 이 회갑의 풍속을 마련할 때만 해도 인간 60세를 상당한 장수로 여겨서 마련했던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수명이 점점 늘어 이제는 회갑나이에 잔치를 한다는 것은 너무나 쑥스러운 일이라 해서, 대개의 경우 회갑은 접어 두었다가 70세가 되었을 때 칠순잔치로 대신하는 예가 많아졌다. 그러나 예기(禮記) 곡례(曲禮)를 보면, 나이 60이 된 사람을 기(耆), 70이 된 사람을 노(老)라고 하여 이들 기로(耆老)에 대해서는 국가에서도 특별히 대우했고, 공손한 뜻을 표했으며, 그 중에서도 덕이 있는 사람에게는 조정 정사에 대해서도 자문을 구했다. 그러나 이 경노의 사상은 실로 그 연원이 깊은 것으로서, 회갑은 오로지 그 사람의 장수(長壽)를 축하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회갑의 유래와 변천
회갑이라는 행사, 즉 수연을 차리기 시작한 것은 조선조 후반기로 알려진다. 중국에는 본래부터 회갑이니 환갑이니 하는 말조차 없었고, 다만 기로(耆老)니 기모(耆?)니 하여 60~70세가 된 노인을 존경한 일밖에는 없었다. 그러던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임진(壬辰) 병자(丙子) 등의 난리를 겪은 뒤에 세상이 자못 태평해지자 언제부터인지 회갑잔치가 성행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아마도 숙종, 경종 대 이후의 일로 추정된다.
그 까닭으로서 수연에는 으례 축하의 한시(漢詩)가 따르게 마련인데 적어도 숙종 경종 이전에는 이러한 축시를 찾아볼 수 없다는 것으로 분명히 알 수가 있다.
이 시는 수연시(壽筵詩)라고 하는데 많은 명사들의 시를 모아 가보로 삼는 사람도 있어, 이 풍속은 지금도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본인이 한시를 모르는 경우는 그저 술자리를 차려 놓고 친구들을 초청하여 대접하는 것이 예사인데, 최근에는 자기 집이 아닌 음식점을 빌어서 손님을 대접하고 있다. 또 이 자리에 손님을 초대하는 범위도 처음에는 가까운 족 이외에 절친한 친구 몇 명에 한하던 것이 이제는 차츰 범위를 넓혀 아는 친구는 거의 다 청하여 수백 명에 이르고 있으니 이는 숭상할 풍속이 못 된다. 또 이 자리에 차리는 음식이나 수연상에 진설하는 절차는 원래부터 예법에 제정된 것이 없으나 구태여 형식을 차리려면 제사 음식 진설하는 요령을 그대로 따르는 것도 무방하다.
이날 입는 옷은 옛날 같으면 도포를 입었지만 지금은 한복이나 양복을 새로 지어 입을 뿐이요, 헌수하는 사람도 옛날 같으면 사모관대(紗帽冠帶)에 나삼 족두리의 예복을 입거나 의관을 갖추었지만 그런 것이 없어진 오늘에는 새 옷으로 갈아입기만 하면 된다.
회갑연(回甲筵)
회갑연은 인생의 장수를 기념하는 축하연으로서 수연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나이로 61세의 회갑(回甲), 70세의 고희(古稀), 77세의 희수(喜壽), 88세의 미수(米壽) 등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가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회갑연은 가장 비중이 높았다. 옛날에는 요즘과 달리 인간의 수명이 짧아 회갑을 맞는다는 것은 인생의 복이었기 때문에 큰상을 차리고 축수를 했었다. 이 풍습은 오늘날이라고 해서 큰 변함이 있는 것은 아니다.
회갑연 이외의 장수(長壽) 잔치
①육순(六旬)
우리나라 나이로 60세가 되는 생일에 가까운 친척 친지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고 부모의 만수무강을 빈다. 이를 육순잔치라 한다.
②진갑(進甲)
회갑 이듬해, 즉 62세가 되는 생일에 육순잔치 때처럼 간단한 음식을 차려 손님을 대접하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린다. 이것이 진갑잔치이다.
③칠순(七旬)
고희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라는 문구에서 유래하는 말로서, 옛날에는 70세가 되도록 사는 예가 그만큼 드물었다.
그래서 자손들이 그 해의 생일에 잔치를 베풀고 장수를 축하했다. 이 칠순잔치를 희연(稀筵) 또는 망팔(望八)이라고도 한다.
④喜壽
77세가 되는 생일에 간단한 잔치를 하는데 이를 희수연이라 한다. 77세를 희수라 하는 까닭은 희(喜)자를 초서로 쓰면 칠(七)자 2개가 십(十)자 하나에 겹쳐지는 모양이 되는데 파자 할 경우 七十七이 되기 때문이다.
⑤팔순(八旬)
80세가 되는 생일에 간단한 잔치를 베푼다. 이를 팔순잔치라 한다.
⑥미수(米壽)
88세가 되는 생일에는 미수연을 차리고 축수한다. 米 자를 파자할 경우 八十八이 되기 때문이다.
⑦백수(白壽)
99세가 되는 생일에는 백수연을 차린다. 百자에서 一을 제거하면 白자가 되는 까닭이다.
⑧회혼례(回婚禮)
결혼 60주년을 맞은 부부가 자손들 앞에서 혼례복을 입고 60년 전과 같은 혼례식을 올리면서 해로 60년을 기념하는 의례이다. 친척 친지들을 초대하여 성대한 잔치를 베풀고 부모의 회혼을 축하한다.
회갑상
부모의 회갑을 맞이하여, 자식들이 그 은혜에 감사하며 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차려 드리는 상이다. 회갑상 위에 올리는 음식들을 높이 쌓는 까닭은 음식을 쌓아 올리는 높이가 바로 자손들의 효심을 나타낸다고 생각한 때문이다. 그래서 한때는 경쟁하다시피 높이 쌓기도 하였다. 그러나 회갑상 차림에는 형식보다 정성어린 마음이 더욱 중요하다.
회갑상의 기본음식
①건과(乾果) : 대추, 밤, 은행, 호도
②생과(生果) : 사과, 배 , 감, 귤
③다식(茶食) : 송화다식, 쌀다식, 녹말다식, 흑임자다식
④유과(油果) : 약과, 강정, 매자과, 빈사과
⑤당속(糖屬) : 팔보당, 졸병, 옥춘당, 꿀병
⑥편[병(餠)] : 백편, 꿀편, 찰편, 주악, 승검초떡, 팥시루떡
⑦포(脯) : 어포, 육포, 건문어
⑧정과(正果) : 청매정과, 연근정과, 산사정과, 생강정과, 유자정과
⑨적(炙) : 쇠고기적, 닭적, 화양적
⑩전(煎) : 생선전, 갈납, 고기전
⑪초(炒) : 홍합초, 전복초
건과(乾果)
밤 대추 호도 잣 은행 등의 나무 열매나 곶감처럼 말린 과일을 일컫는다. 요즘에는 건과 자체에 물을 들이거나 작은 드라이플라워(말린 꽃)를 이용하여 회갑, 축 환갑, 수연, 등의 글자를 새겨 넣어 축하의 분위기를 더욱 살리기도 한다.

생과(生果)
사과 배 감 귤 등의 과일을 생과라 부른다. 과일의 종류에는 특별히 구애받지 않으며 싱싱하고 때깔이 고운 계절과일을 쓰면 된다. 과일은 대개 그 형태가 둥글기 때문에 괴기가 어려우므로, 위아래를 칼로 조금씩 잘라낸 뒤 가느다란 대꼬챙이나 이쑤시개로 고정시켜 가면서 쌓는다.

다식(茶食)
큰상을 차릴 때 괴는 음식의 필수적인 품목으로 송홧가루, 밤 가루, 볶은 콩가루, 볶아서 말린 멥쌀가루, 검은깨가루, 녹말가루 등을 꿀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찍어서 문양을 새겨 만든다.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송화다식, 쌀 다식, 흑임자다식, 녹말다식이라 부른다.

유과(油果)
약과(藥果) : 밀가루를 참기름에 반죽한 다음, 꿀과 술을 섞어 다시 반죽한다. 이것을 약과 판에 찍어 문양을 새기거나 모나게 썰어서 기름에 튀긴다. 이렇게 튀겨 낸 약과를 생강즙, 계피, 후추를 섞은 꿀물에 푹 담근다. 꿀물이 충분히 밴 다음 건져서 바람에 말린다. 약과란 명칭은 벌꿀을 듬뿍 사용한 음식물이 몸(건강)에 좋아 일종의 약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이다.
매자과 :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밀대로 얇게 밀고 3~4cm 너비에 5~6cm길이로 칼집을 넣고 그 구멍으로 두 끝을 넣어 뒤집는다. 이것을 기름에 지져 낸 뒤 꿀이나 조청을 바른다.
연사 : 찹쌀가루를 잘 반죽하여 네모나게 썬 다음 기름에 튀겨 낸다. 이것을 꿀이나 조청에 굴리고 그 위에 잣이나 세반가루를 묻혀 만든다.

강정 : 찹쌀가루에 술, 꿀, 소금을 넣고 반죽한 다음 시루에 찐다. 이것을 절구에 넣고 저어 올리면서 꽈리가 지도록, 즉 공기구멍이 생기도록 친다. 이는 공기가 많이 들어가 나중에 기름에 튀길 때 잘 부풀어 오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잘 찧어진 찰떡을 마른 도마 위에 놓고 밀대로 민 다음, 길이 3~4cm 너비 0.5~0.7cm 크기로 썰어 잘 말린다. 이것을 기름에 바싹하게 튀긴다. 튀긴 강정을 꿀이나 조청에 굴린 뒤 세반가루를 묻혀 낸다. 밥풀 이외엔 푸른 콩가루 계피가루 참깨 흰깨 잣가루 등을 묻히기도 한다. 네모나고 편편하게 튀긴 것을 산자라 하고, 팥알 크기로 썰어 기름에 튀긴 다음 꿀로 반죽하여 썬 것을 빈사과라 한다.

당속(糖屬)
당속은 설탕을 졸여서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요즘의 사탕을 가리킨다. 옥춘당은 쌀가루로 나뭇잎이나 그 밖의 다른 모양을 만들어 여러 가지 빛깔을 넣어 만든 사탕과자이며, 오화당은 오색으로 물들여 만든 사탕이다. 팔보당은 가루사탕에 여러 빛깔을 물들여 대강 끓인 다음 다섯모의 화판을 새긴 판에 부어서 굳힌 것이다.
편[병(餠)]
색떡 : 일부 지방에서 전통적인 큰상 양 옆에 놓던 떡인데 절편으로 만든 조화로 장식한다. 색떡은 흰쌀로 만든 절편에 여러 가지 물감을 들여서 꽃임, 나뭇잎의 모양을 빚어 만든 다음, 이것을 마치 나무에 꽃이 핀 모양으로 전체 구성을 하면서 붙여 올린다.
승검초떡 : 쌀가루에 승검초(미나리과에 속하는 약초) 가루를 섞고 꿀이나 설탕으로 물을 내려 꿀 편이나 백설기처럼 만든 떡이다.
주악 : 찹쌀가루에 대추를 이겨 섞어서 꿀에 반죽하거나 설탕에 버무려 팥소나 개소를 넣고 송편처럼 만들어 기름에 지진 떡이다. 이 떡은 각서라고도 한다.
팥시루떡 : 한국의 떡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떡이다. 쌀가루와 찐 팥을 한 켜씩 번갈아가면서 층을 만든 뒤 시루에 푹 찐다. 붉은 팥이 액과 화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인다는 속신이 있어 전통적인 예식에 많이 쓰인다.

포(脯)
어포(魚脯)나 육포(肉脯), 건문어(乾文魚) 등을 사용한다. 건문어는 말린 문어의 기다란 다리에 칼집을 내어 오므리며 여러 개의 꽃 모양을 만들어 무늬를 새긴다. 이렇게 오린 문어 다리를 여러 개 모아 원통에 붙이면서 마치 나무에 꽃이 핀 듯한 형체를 구성한다. 섬세하고 화려한 건문어는 회갑상을 더욱 아름답게 장식한다.
정과(正果)
연근을 깨끗이 껍질을 벗기고 0.5cm 두께로 납작하게 썰어 약한 식초물에 씻은 후 식초물에 살짝 데친다. 남비에 연근을 담고 물을 충분히 부어 불에 얹고 설탕 1컵을 넣고 끓인다. 끓을 때까지 센 불에 끓이고, 끓기 시작하면 약한 불에 뭉근히 조리다가 물이 자작자작하게 졸면 설탕 1컵을 더 넣고 계속 뭉근히 조린다. 연근이 노르스름하게 조려진 뒤 마지막에 물을 조금 넣고 살짝 다시 조려 내면 빛깔이 투명하고 쫄깃쫄깃한 연근정과가 된다. 도라지는 뿌리가 큰 통도라지를 준비하여 두툼하게 쪼개서 살짝 삶아 내고, 당근도 껍질을 벗기고 납작납작하게 썰어 살짝 삶아 낸다. 도라지와 당근도 연근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면 도라지정과 당근정과가 된다.

적(炙)
쇠고기 산적 : 움파는 5cm 정도의 길이로 자르고 쇠고기는 0.5cm 두께로 포를 떠서 잔 칼집을 넣어 부드럽게 한 다음 너비 1.5cm, 길이 6cm로 잘라서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깨소금, 참기름 등의 양념을 해 놓는다. 이때 청주를 한 술 넣으면 고기가 부드러워지고 냄새도 안 나게 된다. 꼬치에 양념한 파와 고기를 번갈아 꿰어서 석쇠에 굽든지 프라이팬에 지져서 놓는다. 꼬치에 꿸 때는 양끝에 고기를 끼워야 빠지지 않는다.
화양적 : 쇠고기는 두께 0.5cm로 포를 떠서 앞뒤로 두들겨 길이 7cm로 썬 뒤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깨소금, 참기름 등을 섞은 양념에 쟁여 둔다.
도라지와 당근, 오이는 두께 0.6cm, 길이 5cm로 썰어 소금물에 살짝 데치고 표고버섯은 물에 불렸다가 같은 크기로 썬다. 쇠고기와 야채들을 꼬챙이에 색깔대로 꿰어 구워 낸다.

전(煎)
재료를 얄팍하게 썰어서 밀가루를 묻힌 다음 달걀옷을 입혀 기름에 지진 음식을 통틀어 전이라 한다.
돈저냐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생선 등의 살을 잘게 이기고 여기에 두부나 나물 같은 것을 섞어 주물러 엽전 크기만큼씩 둥글납작하게 만들어 밀가루와 달걀을 씌워 지진 것이다.
초(炒)
초는 간장에 물을 조금 섞어 거무스름하면서 짜지 않게 졸려 장물이 남지 않게 만든 음식을 말한다. 초를 할 수 있는 재료로는 전복이나 홍합 등이 있다.
전복초는 쇠고기 살코기를 얇게 저며 대파 마늘 생강 등과 함께 간장물에 넣고 끓이다가, 생전복을 얇게 저며 넣고 서서히 오래 조려서 국물이 거의 없어질 때에 참기름을 넣어 윤기 나게 한 뒤 녹말을 풀어 걸쭉하게 익으면 그릇에 담고 잣가루를 뿌려 상에 올린다.

회갑상의 곁상음식
1.편육 2.신선로 3.식혜 4.화채 5.면 6 .나박김치 7.구이. 8.초간장. 편청(꿀)
편육
돼지고기의 머리부분을 마련하여 남비에 담고 고기가 잠길 정도의 물을 부은 다음 파잎과 생강을 넣는다. 처음에는 센 불에서 끓이다가 뭉근한 불로 1시간 정도 끓여 고기가 부드럽게 되면 건져서 보자기에 꼭 싸서 평평한 곳에 놓고 도마로 덮은 다음 무거운 것을 그 위에 얹어 5시간 정도 두면 고기가 반듯해진다 접시에 얇게 썬 고기를 담고 새우젓국에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 편육과 곁들여 놓는다.

신선로(神仙爐)
온갖 산해진미가 다 쓰이는 궁중요리의 하나
신선로 그릇의 맨 밑바닥에 쇠고기를 채 썰어 양념한 것을 깔고 그 위에 생선전, 천엽전, 간전 , 미나리 초대를 담는다. 다시 해삼 전복 얹고 맨 위에다 알지단, 황백, 표고버섯, 석이버섯, 미나리, 초대, 실고추, 쇠고기 완자, 호도 깐 것, 은행 볶은 것 등으로 색깔을 맞추어 포개 얹는다.
이렇게 담은 것에 장국을 붓고 그릇 중앙에 있는 로에 � 불을 담아 끓이면서 먹는다. 원래는 이 음식을 열구자탕이라 하고 이 열구자탕을 담는 그릇이 신선로이다.
식혜(食醯)
쌀로 고슬고슬하게 밥을 지어 엿기름가루를 우린 물을 부어서 삭인 전통 음료이다

딸기화채
딸기를 물에 깨끗이 씻어 0.5cm두께로 썰어 설탕에 30분 정도 쟁인 뒤, 끓여서 식힌 물을 적당히 붓는다. 단 맛이 덜하면 설탕을 더 넣어 준다.

나박김치
무우는 사방 2.5cm 크기로 납작하게 썰고 배추는 소금에 절여 놓는다. 파, 마늘, 생강은 채썰고 미나리는 다듬어 3cm 길이로 자른다. 실고추는 짧게 끓어 놓는다. 미나리는 김치가 익은 다음에 넣으며 고춧가루를 사용할 때는 깨끗한 헝겊에 싸서 섭치 30도의 따듯한 물에 담가 고춧물을 연하게 우려 낸다.

약식(藥食)
물에 불린 찹쌀을 시루에 찐 뒤 꿀 또는 흑설탕, 참기름, 진간장, 밤, 대추 등을 섞어 다시 시루에 담아 찐다. 일명 약밥이라고도 한다.
갈비찜
갈비는 칼집을 내서 미리 설탕에 쟁이고 양파와 당근은 큼직큼직하게 썰어 놓는다. 마늘과 파를 곱게 다져 간장에 넣고 깨소금 참기름 후추로 양념장을 만들어 갈비에 넣고 버무려 1~2시간 후에 사용한다.
남비 밑에 양파를 깔고 그 위에 양념한 갈비를 담고 한 옆에 당근을 넣고 물을 잘박잘박하게 부어 처음 10분 동안은 센 불에 조리다가 이어 은근한 불로 갈비가 푹 익을 때까지 끓인다. 국물이 거의 줄었을 때 밤을 넣고 밤이 익으며 뚜껑을 열고 뒤적거리며 윤기 있게 조린다. 은행을 두르고 소금을 약간 뿌리며 볶아서 껍질을 벗긴 다음 그릇에 갈비를 담을 때 함께 곁들인다.

회갑상 차림법
1.과일류는 맨 앞쪽에 놓는다.
2.떡 종류는 양 옆쪽에 놓는다.
3.적, 전 등은 뒷줄에 놓는다.
4.굄새에 사용될 접시는 바닥에 쌀을 한 줌 채워 평평하게 한 다음 백지로 싼다.
5.음식을 한층한층 괴어 올릴 때마다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접시보다 작은 크기로 둥그렇게 오린 백지를 한 장씩 집어넣고 가장자리를 붙이면서 쌓아 올린다
6.모든 음식의 모양은 쌓아 올리기에 편한 상태로 만들거나 가다듬는다.

회갑연의 초대장
회갑연에 초대하는 초대장은 보통 회갑을 맞은 사람의 자식들이 보내는데 안부 인사와 초대하는 사연을 쓰고 회갑연의 일시와 장소를 기재한다. 초대장은 늦어도 1주일 전에 도착하도록 보내야한다
<한글서식 1>
선생님께 많은 사랑과 힘을 입어 왔습니다.
마음으로는 선생님의 일이 잘 되기를 항상 빌어 왔습니다만 아무런 은혜 갚음도 하지 못하여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번에 저의 어머님(아버님)의 회갑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평소 불효했던 자식들의 죄를 풀어 주십사 하고 조그마한 잔치를 베풀어서 그 자리에 선생님을 모시고자 합니다. 아직 더위도(추위도) 가시지 않은 때이며 나라와 집안일에 몹시 바쁘신 줄을 잘 알기 때문에 더욱 송구스럽습니다만, 꼭 와주신다면 저희 어머님(아버님)을 위해 저희들의 잊지 못할 영광이 될까 하옵니다.
년 월 일
장남 ○○○
차남 ○○○
장녀 ○○○
차녀 ○○○
○○○ 선생님 귀하
* 때 : 0000년 00월 00일
* 장소 : 00000
<한글서식 2>
...님께
삼가 아뢰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이달 ○일은 저희 아버님의 회갑이옵기로 자식 된 기쁨을 만분의 일이라도 나타낼까 하여 작은 작은 자리를 마련하였사오니 이 날 오전 ○시까지 저희 집으로 와 주시면 영광이겠습니다.
년 월 일
○○○올림
○○○님께
<제3자가 보내는 경우>
삼가 아뢰올 말씀은 다름이 아니오라 ○월 ○일 ○○○선생님의 회갑을 맞이하여 저희 제자들이 작은 축하의 자리를 마련하여 이 날을 기념하고자 합니다. 왕림하시어 자리를 빛내 주시기를 앙망하나이다.
* 때 : ○○ 월 ○○일 ○○시
* 곳 : ○○○.
동문 대표 ○○○
<회갑연 02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