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회갑연-01(회갑한문서식)

21c-park 2006. 9. 8. 11:24

밀성박씨 돈재공파 갈산문중http://doil.mireene.co.kr

 

 

 

<한문서식 1> 

근계(根系) 시하(時下) 고당(高堂)의 만복(萬福)하심을 송축(頌祝)하옵니다.

취백(就白) 래(來) ○월(月)  ○일(日)은 가자(家慈)의 회갑(回甲)이옵기로 자식(子息)된 기쁨을 만분지일(萬分之一)이라도 표(表)할가 하와 수연(壽筵)을 약설(略設)하옵고 귀하(貴下)를 초청(招請)하오니 소만(掃萬)하시와 당일(當日) 상(上)[하(下)]午 ○時에 비가(鄙家)로 왕림(枉臨)하여 주신다면 다시없는 영광(榮光)으로 생각하겠사옵니다.

*취백(就白) -취복백(就伏白)의 준말(한문으로 편지 할 때 웃어른에게 안부를 묻고 여쭙고자 할 사실을 쓸 적에 쓰는 말)


<한문서식 2>

근계(根系) 시하(時下) ○○지절(之節)에 존체(尊體) 만안(萬安)하심을 송축(頌祝)하나이다.

취속(就悚) 래(來) ○월(月)  ○일(日)은 가친(家親)의 회갑(回甲)이옵기에 존당(尊堂)을 모시고 수연(壽筵)을 약설(略設)하오니 공사다망(公私多忙)하신 중(中) 소만(掃萬)하시와 당일(當日) ○시(時) 비가(鄙家)로 왕림(枉臨)하시와 변변치 못한 자리를 빛내주시기 경망(敬望)하나이다.




회갑연의 식순

회갑연은 대부분 자식들이 환갑을 맞은 부모의 만수무강을 축원하기 위해 개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때로는 환갑 당사자의 친구나 제자들이 발의하여 베풀기도 한다.

회갑연의 식순은 자녀들이 주최하는 경우 개식 선언, 헌화, 식사, 약력 보고,헌수, 축사, 축가 답례사, 폐식 선언으로 한다.

제3자가 주최하는 경우는 개식 선언, 발기인 대표 축사, 참석자 축사, 기념품 증정, 본인의 답례사, 폐식 선언으로 하면 된다.


회갑연 참석자의 복장

회갑연이 집안에서 열리든 호텔이나 음식점에서 개최되든 참석하는 사람의 복장은 그 축연의 규모나 장소 개최방식에 맞아야한다.

회갑 당사자의 집에서 집안 행사로 열리는 경우에는 점잖은 외출복 정도면 좋을 것이다

그러나 호텔 고급 레스토랑 등에서 개최될 경우 남성은 어두운색 계통의 정장 차림이 좋고 여성은 드레시한 원피스나 단색의 한복 등 약식 예복이 좋다. 또한 밤에 개최되는 호화로운 파티에는 검정색 양복이나 롱 드레스 등 파티 복이 어울린다.


헌수(獻壽)

헌수란 회갑을 맞은 사람에게 자녀들이 큰상을 차려 술잔을 올리고 절을 하면서 축수를 하는 의례이다.

회갑을 맞은 사람의 부모가 살아 계실 때는 따로 큰상이나 술상을 차리고 부모에게 먼저 헌수를 한 뒤 자녀들의 헌수를 받는다.

헌수는 장남 차남의 순이고 이어 장녀 차녀의 순으로 한다. 혼인을 했을 경우 부부가 함께 헌수(獻壽)한다. 그 다음으로 손자 조카 등의 순으로 절을 한다.

한때 악사를 불러 음악을 켜고 권주가를 부르며 장수를 기원하기도 했으나 요즘은 허례허식이라 하여 금지되고 있다.


   

   
 
축의(祝儀)

회갑연의 축의 문구

축 수연(祝壽筵) 축회갑(祝回甲) 축 환갑(祝還甲) 축희연(祝稀筵) 수의(壽儀) 하의(賀儀) 경의(慶儀) 축의(祝儀)

 

회갑을 축하 하나이다. 환갑을 축하 하나이다. 수연을 축하 하나이다.

삼가 수연을 축하 하나이다.

삼가 수연을 축하하오며 만수무강하시기를 빕니다.


회갑연을 축하할 때는 돈으로 부조를 하거나 기념품을 보내게 되는데 이때에는 단자를 써서 봉투에 넣어 보낸다.

단자가 씌어진 종이를 접을 때에는 축하하는 문구나 상대방의 이름이 씌어진 곳에 접은 줄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해서 접어야 한다.

<한문식 축의 쓰는 법>

*당사자 앞으로 보낼 때

축 수연(祝 壽筵)

○○○ [물목(物目)]

년(年)   월(月)   일(一)

○○○ 근정(謹呈)

○○○ 씨(氏) 존하(尊下)


*자녀 앞으로 보낼 때

축의(祝儀)

○○○ 씨(氏)

춘당(春堂)[또는 慈堂] 수연(壽筵)

一金 ○○○ 원

년(年)   월(月)   일(日)

○○○ 근정(謹呈)


<한글 식 축의 쓰는 법>

*당사자 앞으로 보낼 때

○○○ 선생님께

삼가 수연을 축하 하나이다.

○○○[기념품명]

년   월   일

○○○ 올림


*자녀 앞으로 보낼 때

○○○ 씨에게

삼가 아버님(어머님)의 수연을 축하드립니다.

일금 ○○ 원

년   월   일

○○○ 올림

 

봉투 쓰는 법

겹 봉투가 좋으며 홑 봉투는 사용하지 않는다. 단자는 써 넣지 않고

봉투만 쓸 때에는 겉봉에 축하의 문구를 쓰고 그 아래나 조금 왼쪽에

기념품의 이름이나 축의금의 금액을 적어 넣는다.

 

   

 


   
 

굄새

전통적인 큰상을 차릴 때 여러 가지 음식을 원통형으로 높이 괴어 올리는 굄새는 조형 기능의 결정체로서 조선조 시대에 이루어진 것이다.

섬세한 기교를 요하는 굄새는 숙달된 솜씨가 필요하여 옛날에는 큰상을 괼 때 숙수(熟手)라 불리는 전문가를 청하는 일이 많았다.

회갑 상에서 음식을 위로 높이 괴는 것은 무모님에 대한 효성이 그 괴는 높이에 비례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굄새 접시 만드는 방법

1.접시보다 지름이 2cm 가량 큰 원으로 한지를 오린다.

2.한지 위에 접시를 엎어 놓는다.

3.종이 가장자리에 빙 둘러가며 풀을 바른다.

4.팽팽하게 잡아당기며 한지를 접시 뒤쪽에 붙인다.



   
 

다식 괴는 방법

1.송화다식(노랑색), 흑임자다식(검정), 쌀 다식(흰색), 푸른 콩다식(연두), 오미자다식(분홍)을 색깔을 맞춰가며 접시 가장자리에 빙 둘러 놓는다.

2.가운데 다식 한 개를 놓아 높이를 맞춘 뒤 복지를 한 장 깐다.

3.그 위에 다시 다식을 빙 둘러 가며 쌓되 무늬가 나오도록 색깔을 맞춘다.

4.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라간다.

-복지: 음식을 괼 때 각 층 사이에 넣는 한지를 가리킨다. 접시보다 지름이 약 2cm 정도 작다.


   
 

약과 괴는 방법

1.접시 가장자리에 놓는다.

네모난 모양의 조과(造果)를 괼 때는 안쪽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손으로 지그시 눌러 모양을 작게 해야 안정감 있게 쌓을 수 있다.

2.아래층의 다식과 엇갈리게 사이사이에 하나씩 놓으며 또 한 층을 괸다.

3. 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는다.


대추 괴는 방법

1.대추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정종과 설탕을 조금 넣어 잘 섞으면 윤기가 난다.

젓가락으로 대추에 구멍을 뚫고 실백을 박는다.

2.접시 가장자리에 빙 둘러 가며 대추를 놓는다. 이때 네 손가락으로

대추의 두툼한 쪽을 지그시 눌러 네모꼴을 만들면 쌓기가 편리하다

3.가운데에 대추 한 개를 놓아 높이를 맞춘 뒤 복지를 놓는다. 이때 가운데를 쌀로 채우기도 한다.

4.그 위에 다시 대추를 빙 둘러 놓는데 아랫단에 놓인 대추와 엇갈리게 사이  사이에 놓는다.

5.가운데에 대추 한 개를 놓아 높이를 맞춘 뒤 복지를 깔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라간다.


   
 

잣 괴는 방법

1.잣, 솔잎 가는 실을 준비한다.

2.잣 꼭지를 때 내고 그 곳에 솔잎을 끼운다. 솔잎은 하루쯤 말려서 사용해야 잘 들어간다.

3.열개 정도를 한 묶음으로 묶는다. 이때 가느다란 홍색 실을 사용한다.

4.잣을 접시에 빙 둘러 가며 놓는다.

5.복지를 한 장 깐다.

6.위에 납작 보리쌀을 한 줌 놓고 자로 높이를 고른다.

7.복지를 다시 한 장 놓는다.

8.복지 위에 조청을 바르고 다시 잣을 놓는다. 이는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9.계속 쌓아 올라간다.


   

   
 

은행 괴는 방법

1.은행은 껍질을 벗기고 살짝 볶아 놓는다.

2.이쑤시개에 한 알씩 끼운 은행을 접시 가장자리에 놓는다.

3.복지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납작 보리쌀을 한 줌 놓는다.

4.보리쌀을 자로 평평하게 고른 뒤 다시 복지를 깐다.

5.복지위에 조청을 발라 고정시키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린다


   
 

호도 괴는 방법

1.껍질 벗긴 호도를 이등분하여 납작한 쪽이 바닥에 닿도록 하여 접시 가장자리에 놓는다.

2.복지를 한 장 깔고 그 위에 납작 보리쌀을 한 줌 놓는다.

3.자로 보리쌀을 평평하게 고른 뒤 그 위에 복지를 한 장 다시 깐다.

4.복지 위에 조청을 발라 고정시키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린다


   
 

과일 괴는 방법

1.과일과 과일을 이쑤시개로 연결, 고정시킨다.

2.과일을 괼 때 복지를 깔면 종이가 보여서 흉함으로 그냥 쌓아 올라간다. 그리고 쌓기 편리하도록 과일의 위아래를 조금씩 잘라내기도 한다.

3.맨 위 한가운데에 한개 놓아 마무리 한다

-사과와 배를 쌓을 때는 꼭지가 밑으로 가게 놓이도록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꽃 피는 곳이 위로 가야 하기 때문이다.


   
 

매자과 괴는 방법

1.접시 가장 자리에 빙 둘러 가며 놓는다.

2.가운데 한 개를 놓고 복지를 깐다.

3.그 위에 계속 쌓아 올린다


   
 

강정 괴는 방법

1.잣강정과 계피강정을 엇갈리게 하면서 접시 가장자리에 놓는다.

2.가운데에 강정 한 개를 놓아 높이를 맞춘 뒤 복지를 한 장 놓는다.

3.색깔을 맞춰  아랫단 강정의 사이사이에 놓는다.

4.계속 쌓아 올린다


   
 

세반강정 괴는 방법

1.분홍색 강정을 접시 가장자리에 빙 둘러 놓는다.

2.복지를 한 장 깔고 그 위에 흰색 강정을 놓는다.

3.다시 복지를 한 장 깔고 분홍색 강정을 놓는다.

4.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린다


   
 

빈사과 괴는 방법

1.접시 가장자리에 색깔대로 하나씩 빙 둘러 놓는다.

2.복지를 한 장 깐다.

3.색깔을 맞춰 다시 한 층을 놓는다.

4.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린다.


   
 

연사 괴는 방법

1.잣 연사를 접시 가장자리에 빙 둘러 놓는다.

2.복지를 한 장 깐다.

3.세반연사를 한 층 놓는다.

4.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린다


   
 

밤 괴는 방법

1.접시 둘레에 밤을 놓는다.

2.가운데 밤 한 개를 놓아 높이를 맞춘 뒤 복지를 한 장 깐다. 이때 가운데에 잣을 채우고 위에 복지를 깔기도 한다.

3.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쌓아 올라간다.


   
 

당속 괴는 방법

1.옥춘당을 흰색과 분홍색이 엇갈리며 보이도록 접시 가장자리에 놓는다.

2.접시 한가운데에 사탕 한 개를 놓아 높이를 맞춘 뒤 복지 한 장을 깐다.

3. 색깔을 맞추면서 복지 위에 다시 사탕을 한 줄 놓는다.

4.같은 방법으로 계소 쌓아 올린다


   
 

문어 새기는 방법

1.문어의 머리와 다리 끝 부분을 잘라 내고 문어발의 가운데 부분을 골라 놓는다.

2.물에 빨아 꽉 짠 깨끗한 수건으로 문어발을 돌돌 말아서 2시간 정도 둔다.

3.물기가 적당히 스며들어 부드러워진 문어발을 잘 펴서 칼로 무늬를 새긴다. 형태는 주로 국화꽃 모양과 나뭇잎모양으로 한다.


떡 괴는 방법

1.밑에서부터 승검초떡 꿀편,  찰편 백편을 일정한 두께로 쌓아 올린다.

2.그 위에 주악과 부꾸미를 얹는다.

3. 맨 위를 유자단자(노랑색)와 석이단자(검정색)로 장식한다.



   
 
The-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