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5G란 무엇인가?

21c-park 2019. 5. 5. 08:10

5G란 무엇인가?          

요즘 통신/IT 업계를 관통하는 단어는 바로 5G입니다.

다들 혁신의 5G라며 찬양을 하지만 과연 5G가 무엇인지?

대충 빠른 인터넷 정도라고만 들었는데 얼마나 빠른건지?

지금부터 5G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5G란?


5G란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입니다.


바로 다섯 번째 통신 방법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존 2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5G는 28GHz의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흔히들 언급하는 속도 개념으로는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20Gbps, 

최저 다운로드 속도는 100Mbps인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2. 5G의 주요 특징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

 

 

 


[ 초고속 서비스 ]


5G는 위에서 잠깐 언급 했듯이 ‘초고속’ 바로 지금과

비교할 수도 없듯이 빠른 것을 의미합니다. 

다운로드 속도가 약 70배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쉽게 비교하자면 2GB 영화를 다운로드할 때 LTE로는

16초가 걸리는 것에 비해 5G는 0,8초면 완료됩니다. 

따라서 4K 영상이나 VR, AR 등 고사양의 게임도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 초저지연 ]


초저지연’은 응답이 빨리짐을 의미합니다. 

게임이나 인터넷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 알고 계시는 Ping과

연관이 있죠.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건 그만큼

원활한 통신이 된다는 의미겠죠? 


초저지연 시대가 도래하면 로봇 원격 제어,

자율주행차량, 실시간 게임 등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시속 100km/h 자율주행 차량이 긴급 제동 명령을

수신하면 LTE에서는 1.4m 가량 진행한 후 정지신호를 수신합니다. 

그러나 5G에서는 2.8cm만을 진행하고 정지신호를 수신합니다. 

고속주행에서 1~2초 차이는 굳이 말로 안해도 아시겠죠?

 


[ 초연결성 ]


초연결성은 동시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 인터넷이 느리고 지하철 공유 와이파이가

느린것은 바로 동시사용자 수가 증가하는 것과 일맥 상통합니다.

5G에서는 이것이 개선 되는 것입니다. 

특히 IOT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사람의 수 뿐만아니라

디바이스의 개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모든 가정용품이 곧 디바이스가 될테니까요. 

기존 LTE는 1km 반경 이내에 약 1000대의 기기연결이

가능한 반면 5G는 100만대의 기기 연결이 가능합니다.

 

3. 왜 5G는 혁신인가? 한계점은?


5G가 왜 혁신인지는 위의 세가지 특징으로도 설명이 충분합니다. 

자율주행, VR/AR, 스마트시티 등 5G를 관통하는 산업과

인프라가 끊임없이 발전할 것입니다.


단편적인 산업 규모도 KT경제경영연구소는 5G가 2030년

최소 47조8000억원에 달하는 사회경제적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고 IHS마킷은 5G의 글로별 경제효과를

12조 달러 규모로 예측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비싼 통신 요금, 수도권에

집중된 5G 인프라(초기에는 서울만 5G 이용가능) 보안 문제 등 

 아직 점검하고 보완해야할 이슈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5G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기에 문제점들이 보완되어

혁신 된 서비스와 산업이 우리앞에 펼쳐질 것입니다.


정말 기대되지 않으신가요?

*출처 http://cafe.daum.net/spark224/i4J2/5482?q=5g%EB%9E%80&re=1 산마루 오두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