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무의 다산 특강 입니다. 박석무의 다산 특강 입니다. 〈EBS 기획 시리즈 한국인물사 연속특강 - 박석무의 「개혁가 다산 정약용」〉 여기 게시된 동영상 자료는 지난 2002년 12월부터 2003년 1월 사이 EBS가 절찬리에 방영한 박석무 이사장의 다산 관련 특강 내용 입니다. 제 1 강 - 다산 정약용 제 2 강 - 다산학 제 3 강 - 다산의 개혁.. 전통문화 2007.03.12
이순신 장군 친필 이순신 장군 친필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일본군 장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개인사찰에서 보관해왔던 이순신장군의 친필에 적힌 서명과 낙관. (충주=연합뉴스) 전통문화 2006.11.07
강서구 개화산 쇠말뚝 뽑기 고유제 강서구 개화산 쇠말뚝 뽑기 고유제 일시[日 時] : 단기4339[2006]년 10월 14일[토] 장소[場 所]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산 주관[主管] : (사)한배달 쇠말뚝뽑기 산행모임 민족정기 선양위원회 주최[主催] : 신대 부석마을 주민일동 사단법인 한 배 달 <고유제를 마치고 기념촬영한 제관들> 식순(式 順) 1. .. 전통문화 2006.10.27
어릴적 뛰놀던 돌담길이 문화재로 어릴적 뛰놀던 돌담길이 문화재로 "대체로 동네 어귀에서 시작되는 돌담이란 어른의 가슴께에 찬다. 그래서 꼿발을 딛거나 목을 빼면 집안이 보이고, 그냥 걸어가면 보일락 말락 하는 것이다. 열려 있는 것도 아니고 닫혀 있는 것도 아니다. 반쯤 열려 있고 반쯤 닫혀 있다. 돌담이 둘러쳐진 집안은 반.. 전통문화 2006.10.25
한겨레원형질 민족문화상징 100 ⑩ 단군·이순신 한겨레원형질 민족문화상징 100 ⑩ 단군·이순신 중국의 동북공정 역사왜곡 등으로 민족사의 새 정체성 찾기가 화두로 떠오른 요즘이다. 이런 시점에서 민족 통합과 도약의 상징이 돼왔던 두 위인, 단군과 이순신을 생각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단군은 분단 민족에게 항시적 과제일 수밖에 .. 전통문화 2006.09.29
세종, 원효, 이황,정약용,비빔밥,인삼,김치 세종, 오백년 문화의 터전을 일구다 백성 편하게 한글 만들고… 유교정치의 기틀 세우고…새 국가건설의 활력과 세종의 출중한 자질이 어울려민족문화의 터전이 된 지성은 꽃을 피울 수 있었다 말은 사람과 사람끼리 뜻을 통하는 것이고 글은 말을 담는 그릇이다. 말과 글의 소중함은 그.. 전통문화 2006.09.22
임진왜란 때 수군 전투복은? '불멸의 이순신'의 전투복 고증은 정확했다? 사진제공 = 호비스트 도깨비뉴스가 지난 2005년 3월과 8월 두차례에 걸쳐 소개했던 조선전역해전도(朝鮮戰役海戰圖) 입니다. 임진왜란 시기를 배경으로 조선수군과 일본수군간의 해전을 그린 이 그림은 한때 '왜의 종군화가가 그린 명량대첩도'로 알려졌었.. 전통문화 2006.09.11
족 보(族 譜)에 대 한 상 식 족 보(族 譜)에 대 한 상 식 밀성박씨 돈재공파 갈산문중home.naver,com/21cpark1 족보(族譜)를 보첩(譜牒)이라고도 한다. 보첩은 한 성씨 종족의 계통을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인데 부계(父系)를 중심으로 동일혈족(同一血族)의 원류(源流)를 밝히고 그 혈통을 존중하며 가통(家統)의 계승을 명예로 삼는 한 집.. 전통문화 2006.09.08
평화 빼앗긴 슬픈 대자연 평화 빼앗긴 슬픈 대자연 비무장지대는 ‘사기’다 무장지대를 허물어 평화공원으로 남기는 일을 후세에게 넘길건가 한겨레원형질 민족문화상징 100 (6) 비무장지대 1953년 7월 27일 월요일, 국제연합(UN)군 사령부를 대표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을 대표한 남일 조선인민군 대장이 서류에 서명했을.. 전통문화 2006.09.08
백두대간-문족문화상징 민족문화상징 100 ② 오천년 역사 지탱한 한반도 등뼈 : 백두대간과 백두산 일본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가 불과 14개월 동안 한반도를 둘러보고 ‘태백산맥’ ‘소백산맥’ 등 산맥 분류법을 제시한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다. 산맥에 의지하여 살아가는 사람들의 역사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지질학적 발.. 전통문화 2006.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