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공군의 주력 공중 급유기인 KC-135 Stratotanker기는 대체기가 시급한 노후기종입니다.
□ 개발배경 ㅇ 1950년대초 거대한 B-52 전략폭격기가 개발되어 운용되었으나 이를 지원하는 공중급유기의 주기종은 KC-91기로 왕복 엔진의 프로펠러 항공기였다. 따라서 고속의 제트폭격기인 B-52가 저속이며 상승고도가 낮은 KC-97로부터 공중급유를 받기 위해서는 저속, 저고도로 비행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ㅇ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 공군은 1954년 Boeing사에서 제트수송기로 개발하고 있던 Boeing 367-80 시제기를 공중급유기로 개조할 것을 결정하고, 공중급유기로서는 최초로 제트 엔진을 장착하여 1956년 8월 첫 비행을 실시하였는데 이것이 KC-135A Stratotanker이다. □ 특성 및 성능개량 ㅇ 특 성 - 미 공군 공중급유기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KC-135는 실용성이 매우 높은 항공기로 상부의 화물실에는 각종 화물을 탑재할 수 있어 주임무인 공중급유뿐 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화물수송도 가능하다. - J57-P-59W 터보제트 엔진 4기를 장착한 KC-135A기는 그 이후 약 20년간 미 공군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기종으로 운용되어 왔는데, 1980년에는 노후화된 KC-135A의 수명연장과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CFM56-2B-1(공군명 F108-CF-100) 터보팬 엔진을 장착토록 하여 KC-135R로 개조하는 작업이 착수되었다.
□ 성능개량 - 1956년 원형기가 생산된 이래 수명연장과 성능향상을 위한 수 차례의 개조가 이루어져 왔으며 개조에 따른 KC-135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KC-135A : 최초의 양산형인 C-135를 개조한 공중급유기 KC-135의 원형기로서 추력 13,750Ibs의 J57-P-59W 터보제트 엔진 4기를 정착하고 있으며 1956년 8월 최초 비행에 성공하여 1957년 6월부터 미 공군에 인도되기 시작하였다. - KC-135B : 미 전략공군사령부의 공중 지휘 항공기(airborne command post)에 대한 전용 공중급유기로서 TF33 터보팬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 KC-135E : KC-135A의 엔진을 JT3D 터보팬 엔진으로 교체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급유기로서 미항공예비대와 해안 경비대, 그리고 일부는 미 공군에서 운용하고 있다. - KC-135Q : SR-71 전략정찰기를 위한 공중급유기로 개발되었다. - KC-135R : 원형기의 엔진을 CFM56 엔진으로 교체한 급유기로서 1982년 8월 최초 비행을 하였고, 1984년 7월부터 미 공군에 인도되었다.
□ 운영개념 ㅇ 전략폭격기 공중 급유 ㅇ 초계임무 항공기나 무장잔량이 있는 근접항공기 공중 급유 ㅇ 장거리 항법 항공기 공중 급유
□ 운용국가 및 실전사례 ㅇ 총 732대가 생산된 KC-135는 현재 원형기인 KC-135A가 231대, KC-135R 216대, KC-135E 138대 등이 미 공군과 항공예비대, 해안 경비대에서 운용 중에 있다. ㅇ 현재 수명연장 및 성능개량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약 30년간 공중급유 주력기로서 계속 사용될 전망이다.
KC-135 스트래토탱커(Stratotanker)의 기본 임무는 공중 급유이다. KC-135의 공중급유 기능으로 미국 공군은 전세계에 걸쳐 각종 작전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KC-135는 미국 공군 뿐 아니라 미 해군과 해병대 그리고 우방의 항공기에 대한 공중 급유도 실시한다. 1954년 미국 공군은 미래의 수송기종으로 보잉사에 KC-135 A형 29대를 최초로 발주하였다. 보잉사는 상업용 보잉 707 여객기와 마찬가지로 모델 367-80의 기본 디자인을 따라 새로운 수송기의 개발에 착수하였다.
완성된 KC-135A는 1956년 첫 시험비행을 마쳤고, 1957년 6월 최초의 양산형 KC-135A가 캐슬 공군기지에서 미국 공군에 인도되었다. KC-135는 공군 이동사령부(AMC:Air Mobility Command)의 주력 기종으로, 사령부는 442대 이상의 KC-135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268대는 AMC의 임무를 지원하는 미 공군 지원대와 미 공중경비대에 의하여 운영된다.
탑재하고 있는 유류의 양에 따라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KC-135는 최고 8만 3000파운드(3만 7648kg)의 무게를 탑재할 수 있다. 공중급유 시스템 상부에 있는 화물 갑판에 승객과 화물을 실을 수 있다. KC-135는 이전 급유방식인 플라잉붐 급유로 탑재하고 있는 거의 모든 기름을 송출할 수 있다. 기체에 부착되어서 플라잉붐 뒤로 길게 뻗어 있는 셔틀 콕 모양의 특수한 송유 파이프를 끼운 수유기에 급유를 하는데 사용된다. 기체의 후부에 위치한 오퍼레이터가 모든 급유작업을 컨트롤한다.
최근 몇 년 동안 KC-135는 급유기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공중 지휘본부의 기능에서 정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전자장치가 강화된 EC-135C는 미 전략 사령부의 사령부 역할을 맡고 있으며, 한 대의 EC-135C가 지상의 통제가 불가능해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항상 비행대기 상태에 있다. 주익 아래에 새로운 알루미늄 합금을 부착하는 등 앞으로 수년 간 수 차례에 걸쳐 그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이 실시될 예정이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비행시간은 2만 7000시간이 연장될 것이며, KC-135는 다음 세기에도 공중급유기로 남게 될 것이다
□ 주요 제원 및 성능 전 장 136.22ft 기 폭 130.81ft 기 고 38.31ft 자 중 105,476Ibs 최대이륙중량 322,500Ibs 최대연료탑재량 엔 진 .KC-135A: J57-P-59W 터보제트 엔진(추력: 13,750Ibs) × 4 . KC-135E: TF33-3A 터보펜 엔진 (추력: 18,000Ibs) × 4 . KC-135R: CFM56-2B-1 터보펜 엔진(추력: 22,000Ibs) × 4 최대속도 966km/h 순항고도 462knots 실용상승고도 40,000f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