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걸리는 면접 거짓말 1위는?
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6명은 면접에서 지원자의 거짓말을 알아차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 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362명을 대상으로 ‘면접 시 지원자의 거짓말 파악
여부’를 조사한 결과, 64.4%가 ‘알아차린다.’라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거짓말로 판단되는 말로는
(1)‘연봉 액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66.1%)가 1위를 차지했다.
(2)이어 ‘뽑아만 주신다면 무엇이든 하겠습니다.’(50.6%), ‘이직 없이 이 회사에 뼈를 묻겠습니다.’(46.8%),
(3)‘야근, 주말 근무도 상관없습니다.’(40.3%),
(4)‘저의 최우선순위는 회사입니다.’(29.2%), ‘회사의 비전이 제 이상적인 회사 상입니다’(21%),
(5) ‘긴장해서 능력의 반밖에 못 보여드렸습니다.’(12.9%),
(6)‘귀사를 목표로 했기에 떨어져도 재지원할 겁니다’(11.2%) 등의 순이었다.
지원자의 말을 거짓으로 판단한 이유는
(1)‘이미 많이 들어본 답변이라서’(42.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2)이어 ‘답변에 일관성이 없어서’(36.1%),
(3)‘제시하는 근거가 빈약해서’(34.3%),
(3)‘표정이나 태도가 불안해 보여서’(27.5%),
(4)‘말투나 목소리에 확신이 없어서’(23.6%),
(5)‘추가 질문에 답변을 하지 못해서’(22.7%),
(6)‘외워서 말하는 티가 나서’(22.3%) 등이 있었다.
지원자의 거짓말에 대한 대응 방법으로는
(1)47.6%가 ‘지나치지만 않으면 그냥 넘어간다’라고 답했고,
(2)‘추가 질문 등으로 진실을 밝혀낸다’(27.5%),
(3)‘감점이나 불이익을 준다’(17.6%), ‘신경 쓰지 않는다’(7.3%) 순이었다.
한편 응답 기업 중 29.8%는 면접 시 지원자에게 거짓말을 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했던 거짓말로는
(1)‘조만간 연락 드리겠습니다’(72.2%)를 첫 번째로 꼽았다.
(2)이어 ‘곧 다시 뵙겠습니다’(19.4%),
(3)‘이 정도 실력이면 다른 곳이 낫지 않나요?’(17.6%),
(3)‘성별, 연령 등의 차별이 전혀 없습니다’(13.9%),
(4)‘인상이 정말 좋습니다’(13%),
(5)‘뛰어난 실력을 갖추고 있군요’(11.1%),
(6)‘저희는 스펙을 전혀 보지 않습니다’(11.1%),
* 스펙(specification)이란, 직장을 구하는 사람들의 학교, 학력, 학점,
토익, 토스, 실력, 경력, 자격증 등을 이르는 말이에요.
스펙은 취업을 하려고 하는 사람의 필수 조건이라고 알아야 해요.
전공 분야로 취업 생각을 하면 좋죠.
그 전공 분야에 맞는 스펙을 쌓으면 좋죠.
취업하고 싶은 회사가 필요로 하는 자격증과 그 외의 자격증 최소한
2개 이상은 취득 하세요.
스펙 - specification의 준말이에요.
(7)‘저희는 가족 같은 분위기에서 일합니다’(10.2%) 등이 있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