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공군의 Global Hawk 무인정찰기
서남아시아지역의 미공군 12th Expeditionary Reconnaissance에 배치되어 4년가까이 대테러전및 이라크전에 4,250회의 정찰임무를 수행한 초도개발형 (Prototype) Global Hawk 3번기가 서남아시아 공군기지를 출발하여 캘리포니아 Edwards 공군기지에 도착하는 모습입니다. 이 3번기가 태평양시간으로 11시 30분에 Edwards 공군기지에 착륙하는 순간부터 공식적인 귀환이 되었다고 합니다.
텔레딘라이언항공회사에 의하여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노스롭그루망사가 생산중이다. 글로벌 호크 1호기는 1998년에 6차례에 걸친 시험비행을 마쳤다. 1998년 11월 글로벌 호크 2호기가 첫 비행에서 고도 5만 피트까지 올라가 3시간 이상을 체공하면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현재 글로벌 호크는 3,000마일 떨어진 정찰 목적지까지 날아가서 6만 5000피트의 높은 고도에서 일리노이주 넓이와 같은 4만 평방해리에 걸친 지역을 24시간 정찰하고 기지로 귀환할 수 있다. 글로벌 호크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는 전세계를 커버하는 인공위성 통신망을 통하여 지상에 있는 기지로 전송되고 다시 정책 결정자에게 전달된다.
글로벌 호크의 전형적인 정찰 임무에는 38시간에서 42시간에 걸쳐 1만 2,500해리 범위 내에서 전개되는 작전을 지원하는 임무가 포함된다. 또, 장시간에 걸쳐 움직이는 목표를 추적하는 장치인 SAR와 적외선탐지시스템을 이용하여 적기의 움직임을 탐지하여 화상정보로 공중전에서의 지휘관에게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1999년 3월 29일 시험비행 중이던 글로벌 호크 2호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미국 공군 사고 조사반에 의하여 그 원인이 정밀 검토되었다. 그러나 글로벌 호크의 비행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와 시험비행은 계속되었다. 1999년 4월 글로벌 호크의 최종 비행테스트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앞으로 글로벌 호크를 어떤 군사적 용도로 사용할 것인가는 미국 태평양사령부와 전략공군사령부에 의해서 검토·결정될 예정이다.
노스롭 그루만이 개발한 미 공군의 RQ-4 글로벌 호크 무인 항공 정찰 시스템은 최근 테러와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하는 중 5,000 전투 비행시간을 넘었다. 2001년 9월 11일 테러 직후 배치된 글로벌 호크 무인항공기는 2001년 이래 지속적으로 전투 임무에서 운용되고 있다. 이 무인항공기는 지금까지 233 차례의 임무를 수행해 왔으며, 이중 157차례는 단일 글로벌 호크 항공기가 수행한 것이다. 글로벌 호크 계열 항공기의 총 비행시간은 8,000시간 이상이다.
노스롭 그루만의 공군 글로벌 호크 프로그램 디렉터인 George Guerra는 고고도 장시간 무인 정찰 시스템이 Enduring Freedom 작전과 Iraqi Freedom 작전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수백 개의 목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항공기가 단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임무를 수행할 뿐 아니라 새로운 목표를 위해 신속하게 재설정될 수 있으며, 글로벌 호크는 초기에 이미 정보수집 수단으로서의 독특한 가치, 안정성, 가변성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글로벌 호크는 일반적인 바람과 날씨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는 고도 60,000피트 이상에서 35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다. 글로벌 호크는 단일 임무를 통해 일리노이주의 크기에 해당하는 약 40,000제곱마일 넓이의 지역에 대해 상세한 정보, 정찰, 감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노스롭 그루만은 미국 및 전 세계의 여러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호크 개발팀을 선도하고 있다. 이 무인 항공기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업체들을 다음과 같다.
통합 센서: Raytheon Space & Airborne Systems 지상 기지국: Raytheon Intelligence & Information System 엔진 : Rolls-Royce Corporation 통신 시스템 : L-3 Communications 날개 : Vought Aircraft Industries V형 꼬리 날개구조 및 복합재료 : Aurora Flight Sciences
서남아시아의 모공군기지에 도착한 미공군의 Global Hawk 무인정찰기로 최초 실전배치되는 모델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글로벌호크기는 시험생산분과 실험용이었으며 이번에 두대가 배치되는 서남아시아의 공군기지 - 쿠웨이트로 추정되는 - 에는 캘리포니아 Beale Air Force Base소속의 최초의 정식 생산분이라고 합니다. 위 사진중 처음 3장이 새로 배치된 글로벌호크 모습이며 나머지는 노드롭그루망사가 2005년 파리에어쇼에 전시한 사진들입니다.
미국의 장거리 고고도 전략용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로1998년 처음 도입된 글로벌호크 무인 정찰기는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고고도 저속 정찰기 U-2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최대 5500km 떨어진 곳까지 날아갈 수 있으며 42시간 동안 비행을 할 수 있다. 날개 길이 35m에 직경 1.2m짜리 안테나와 망원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다. 여객기 고도의 2배 수준인 1만9500m 상공을 비행하는데 이 망원카메라는 지상의 승용차와 픽업 트럭을 가려낼 수 있다. 기체 무게의 60%에 달하는 6.8t의 연료를 적재하며 시속 약 640㎞로 비행. 이 정찰기는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하며 지상 요원들은 감시만 할 뿐 통제할 수는 없다. 최장 2만2,400km까지 비행하면서 목표물에 대한 레이더와 흑백영상 등을 수집한 후 귀환토록 설계됐으며 지금까지의 총개발비는 총 7억5,000여만 달러에 이른다. 글로벌 호크는 특히 적 레이더에 쉽게 노출돼 격추당하는 프레데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적 신호 방해 장비를 갖춘 점이 특징이다.
□ 개요 미 공군은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의 위협을 피하면서 날로 확산되는 대량살상무기를 감시·정찰을 위해 무인항공기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비하여 개발중인 고공 무인정찰기인 Global Hawk를 개발하였다.
Global hawk 무인정찰기는 '98.2.28일 최초 시험비행이후 현재('99.3.17)까지 총 44회의 시험비행을 하였으며, 이중 2회의 시험비행 실패로 2대의 Global hawk 무인항공기 손실이 있었음 * '00.3.21 에글린 공군기지에 최초 시험 배치
□ 사용목적 ㅇ 광역지역에 대한 근 실시간 정찰/감시 및 표적획득 ㅇ 지휘통제, 신호정보, 전장지역 전자정보 수집, 특수작전 임무 수행 * Global hawk 무인항공기는 3대가 동시에 임무를 수행하고, 지상장비 전개는 3대/C-141 또는 2대/C-17 또는 1대/C-5를 이용 * 그로벌호크 프로그램 책임자인 크레이그 맥퍼슨 대령은 “조종사가수행하기에는 너무 위험하고 힘든 임무를 글로벌 호크가 맡게 될 것”이라고 언급
□ JSOW종류 ㅇ 미 해군/해병대용 - AGM-154A(기본형) : JSOW Baseline/BLU-97 CEB(145개) - AGM-154C(단일형) : JSOW Unitary/BLU-111/B(500LBS 단일탄두) ㅇ 미 공군/해군용 - AGM-154B(대장갑용) : JSOW/BLU-108 SFW(6개)
□ 주요제원 및 성능 ㅇ 제 원 - 전 장 : 44ft - 기 고 : 15ft - 기 폭 : 116ft ㅇ 중 량 - 자 중 : 9,200 lbs - 탑재중량 : 2,000 lbs - 최대 이륙 중량 : 25,600 lbs - 개발비용 : 1대당 2,500 달러 ㅇ 성 능 - 작전고도 : 65,000ft - 체공시간 : 최고 35시간 비행(추정) - 순항속도 : 342Kts - 작전반경 : 12,500NM
□ 주요탑재 장비 및 성능 ㅇ SAR/GMTI 센서 - 중량 : 640 lbs - Spot 모드 : 2㎞×2㎞, 해상도0.3m, 감시거리 200Km - Scan 모드 : 감시폭 10㎞, 해상도 1m, 감시거리200Km - GMTI 모드 : 20 ∼200Km/Min * Ground Moving Target Indication(지상이동표적 식별) ㅇ E·O/IR 센서 - 중량 : 295 lbs - Spot 모드 : 2㎞×2㎞, NIIRS 5.5 - Search 모드 : 10㎞, NIIRS 5.0 * NIIRS (National Imagery Interpretability Rating Scale : 국제 영상 판독 가능척도) 는 1∼9 단계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다. ·NIIRS 1 : 해상도 9m이상 ·NIIRS 5 : 해상도 0.75-1.2m로써 SAM운반체, TANK 등을 식별 ·NIIRS 6 : 해상도 0.4-0.75m로서 로켓, 군 밀집부대 등을 식별 ·NIIRS 9 : 해상도 0.1m 수준임 ㅇ 지상장비 - 발사 및 회수장비 - 임무통제 장비 ㅇ 통신은 UHF/K-Band, VHF
□ 실전사례(참고) ㅇ 무인항공기 운용사례 1982년 시리아와 이스라엘 사이에 벌어진 레바논 전투에서 무인항공기의 활약이 돋보였다. 이스라엘 공군은 베카계곡 깊숙이 배치된 시리아의 지대공 미사일의 전자정보 자료와 사진정보를 수집하는데 무인항공기를 사용, 엄청난 전과를 올렸다. ㅇ 이 전쟁에서 무인항공기가 이스라엘 공군 작전사령관에게 계속적으로 적군의 영상정보를 보내고 유도폭탄 공격시 목표물에 대한 레이저 조사 등으로 무인항공기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