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하이오급(Ohio Class) SSBN
제너럴다이나믹스(General Dynamics)사의 Electric Boat사는 18척의 오하이오급 잠수함을 건조해왔다. 18척의 핵잠수함은 Offutt에 있는 미공군 기지내의 미국전략사령부(US Strategic Command Headquarters)의 지령하에서 활동하고 있다. 1992년에 체결된 전략무기 감축협정(START II)에서의 요구에 의해서 전략미사일잠수함은 2002년까지 14척으로 감축될 것이다. 잠수함들은 70일을 해양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25일을 독내에서 정비를 위해 시간을 보내는 주기를 반복하며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오하이오(Ohio)급의 제원 (미국) |
제작사 |
제너럴다이나믹스(General Dynamics)社의 Electric Boat社 |
엔 진 (동 력) |
2개의 터빈에 의한 GE PWR S8G 가압경수로
( 6만마력) , 단일축 샤프트 |
전장×함폭 |
170.69m×12.8m |
배수량 |
18,750톤(잠항시), 16,600톤(수상주행시) |
속 도 |
25노트이상(잠수시) , 18노트(수상시) |
승조원 |
15명(장교)+139명(수병), 그외 탑승가능 |
무 장 |
SSBN(726-733) 트라이던트 I 미사일 SSBN(734-743) 트리이던트 II 미사일
Mark 48 대잠어뢰 |
소 나 |
IBM BQQ 6 passive 소나, Raytheon BQS 13, BQS 15 active and passive 고주파 소나, Western Electric社의 BQR 15 passive 와이어식 배열 소나, Raytheon社의 active BQR 19 운항 소나 등 |
레이다 |
I to J band BPS 15A radar |
잠망경 |
Type 152, Type 82 (US company Kollmorgen사) |
관련급
및
취역년 |
Ohio (SSBN-726), Michigan (SSBN-727) Florida (SSBN-728), Georgia (SSBN-729) Henry M. Jackson (SSBN-730), Alabama (SSBN-731) Alaska (SSBN 732), Nevada (SSBN 733) Tennessee (SSBN-734), Pennsylvania (SSBN-735) West Virginia (SSBN-736), Kentucky (SSBN-737) Maryland (SSBN-738), Nebraska (SSBN-739) Rhode Island (SSBN-740), Maine (SSBN-741) Wyoming (SSBN-742), Louisiana (SSBN-743) | |

|

|
 Maine (SSBN-741) 의 수상항해 모습 |
 Alaska (SSBN 732)의 모습 |
 Maine (SSBN-741)의 사령탑 |
 오하이오급 잠수함 Alaska (SSBN 732) |
 Wyoming (SSBN-742) |
 오하이오급 전략핵잠에서 발사되는 Trident 미사일 |
♠ 타이푼급(Typhoon Class) SSBN
러시아의 타이푼급 전략 원자력 잠수함은 지금까지 건조된 것 중에 세계 최대의 잠수함이다. 이 잠수함이 탑재하는 RSM-52 (SS-N-20) 잠수함발사 탄도 미사일은 3단 SLBM이며 사정거리는 8300km, CEP(Circular Error Probability : 반경내에 발사한 무기의 절반이 명중하는 범위)는 500m이고 각각 독립된 10기의 100킬로톤 핵탄두를 내장하고 있다. 120일 동안 물 밖으로 나오지 않고 작전수행이 가능하고 극지방의 빙하 아래에서 들키지 않고 잠수해 있다가 빙하를 뚫고 밖으로 나와 탄도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함수로 단단한 얼음을 깨기 위해 사령탑이 약간 뒤쪽에 붙어있다. 최근에는 미국의 원조로 해체되어 가고 있다.
타이푼급의 제원 (러시아) |
제작사 |
Severodvinsk Shipyard, White Sea |
엔 진
(동 력) |
200MW 가압식 원자로 2기, 50000마력 스팀터빈 2기, 800KW 디젤기관 2기, 2축 7날 가변피치 스크루 |
전장×함폭 |
172m×23.4m , 11.5m(흘수) |
배수량 |
수상 (23,200톤) , 수중 (48,000톤) |
속 도 |
수상속도(16노트) , 최대 잠항속도(27노트) |
승조원 |
160명 |
잠항심도 |
최대 400m |
무 장 |
어뢰 : 630mm 어뢰발사관 4개, 533mm 어뢰발사관 2개, 어뢰 최대 22기 탑재 미사일 : 총 20문의 발사대, RSM-52 (SS-N-20), 22/81R (SS-N-15), Vodopad (SS-N-16) |
소 나 |
|
레이다 |
|
관 련 급 및 취 역 년 |
TK 208 in 1981, TK 202 in 1983, TK 12 in 1984, TK 13 in 1985, TK 17 in 1987 and TK 20 in 1989 | |
 타이푼급 전략 원자력 잠수함의 측면, 정면, 위에서본 모습 |
 미사일 발사 해치를 열어둔 타이푼급의 모습 |
 러시아 해군의 타이푼급 전략 핵잠수함 |
 타이푼급 잠수함은 북극해에서의 작전 뿐만아니라 얼음을 깨고 부상할 수도 있다. |
 타이푼급 잠수함의 통제실 |
 2대의 타이푼급 잠수함이 러시아의 북함대에 정박중인 모습 |
 집어넣을수 있는 마스트를 빼고 항해하는 모습 |
 타이푼급 전략 핵잠수함, 이 잠수함은 3단 고체 추진의 20개 RSM-52 대륙간 탄도탄을 탑재한다. | ♠ 델타급(Delta Class IV) SSBN
델타급의 제원 (러시아) |
제작사 |
Severodvinsk Shipyard, White Sea |
엔 진
(동 력) |
180MW VM-4 가압식 원자로 2기 27.5 MW GT3A-365형 터빈2기, 2축 7날, 고정피치 프로펠러 |
전장×함폭 |
- |
배수량 |
- |
속 도 |
24 knots(잠항, 수상속도) |
승조원 |
135명 |
잠항심도 |
320m, 최고 400m |
무 장 |
RSM-54 Makeyev missile (SS-N-23) Novator SS-N-15 Starfish 대함미사일 or Mk 40 대함 어뢰 (4개의 533mm 어뢰 발사관) |
소 나 |
Shark Gill sonar (능동 및 수동 탐색, 공격모드) Mouse Roar active attack sonar Shark Hide flank array sonar A Pelamida towed array sonar |
레이다 |
- |
관련급
및
취역년 |
- | |
 Delta Class IV는 러시아 북함대 소속이며, 전략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원자력 잠수함이다. |
 Delta Class IV의 잠망경 마스트와 통제실 |
 잠수함의 수평타는 얼음을 깨기 위해 수직으로 회전이 가능 |
 Delta Class IV 잠수함의 2중 격벽의 미사일 발사대 |
 러시아 깃발이 날리고 있는 Delta Class IV |
 50m의 깊이에서 발사한 미사일이 날아가는 모습 |
 Delta Class IV는 수상항해시 24knot의 속도를 낼수 있다. | ♠ 트리옴팡급(Triomphant Class) SSBN
Triomphant 급의 제원 |
제작사 |
DCN's Cherbourg shipyard |
엔 진
(동 력) |
150MW K15형 가압수로 원자로 2개의 SEMT-Pielstick 8 PA 4 v 200 SM 디젤 (보조추력) |
전장×함폭 |
138m×? |
배수량 |
14,120 tons(잠항) 12,640 tons(수상) |
속 도 |
25 knots이상(잠항시), 20 knots(수상시) |
승조원 |
110명(사관 15명) |
잠항심도 |
500m |
무 장 |
Mer-Sol Balistique Strategique (MSBS) M45 Exocet SM39(대함미사일) 18 ECAN L5 Mod 3 어뢰들 (533mm 발사관) |
소 나 |
Thomson Sintra DMUX 80 bow 와 flank array sonar |
레이다 |
I-band에서 작동하는 Dassault사의 탐색레이다 |
관련급 및 취역년 |
Triomphant(S616) 1997, Le Temeraire (S617) 1999년 말, Le Vigilant (S618) 건조중, 2004년 취역 예정, 4번째함 2008년 취역 예정 | |
 Triomphant(S616). 프랑스 전략 핵잠수함이며, 1200만명의 노동시간을 대신한다. |
 Mer-Sol Balistique Strategique (MSBS). M45형 전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
 Triomphant급 건조를 위한 DCN의 Cherbourg 조선소 |
 Triomphant(S616)는 L'lnflexible M4급 SSBN 잠수함을 교체하기 위한 잠수함이다. |
 이 잠수함은 533mm 어뢰 발사관을 가지고 있으며, 18 ECAN L5 Mod 3 어뢰와 엑조세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다. |
 K15형 가압수 원자로에 기초한 핵터보 전기 시스템을 추진 시스템으로 취하고 있다. |
♠ 뱅가드급(Vanguard class) SSBN 뱅가드급 잠수함은 영국에서 만들어진 잠수함들 중에서 가장 큰 잠수함이며 빅크스 조선소에서 만들어졌다. 잠항시 배수량이 15,900톤이며 레졸루션급(배수량 8500톤)에 비해 배수량이 2배로 증가하였다. 영국의 정부는 80년대 초에 D5 미사일과 4개의 핵탄도미사일을 가진 Trident Ⅱ무기체계를 획득하기로 하여 뱅가드급에 탑재하였다.
Vanguard급의 제원 |
제작사 |
Vickers Shipbuilding and Engineering Limited at Barrow-in-Furness |
엔 진 (동 력) |
Rolls-Royce PWR 2(원자력) , GEC터빈 2기 a pump jet propulsor(단일축) |
전장×함폭 |
270m×65.5m |
배수량 |
15,900 ton(잠항) |
속 도 |
25 knots(잠항시) |
승조원 |
|
잠항심도 |
|
무 장 |
Trident II missiles 16기 21인치 어뢰 발사관 Tigerfish Mark 24 Mod 2 어뢰 |
소 나 |
2054형 sonar (다중모드, 다중주파수) 2046형 (Vanguard's towed sonar array) |
레이다 |
1007형 I-band radar |
관련급 및 취역년 |
HMS Vanguard 1993, HMS Victorious 1995, HMS Vigilant 1996, HMS Vengeance 1999. | |
 HMS Vanguard |
 벵가드급 통제실 |
 벵가드급 음향실 |
 뱅가드급의 Trident 미사일 격실 |
 어뢰발사관의 끝이 잠수함 내부에서 보이는 무기 저장 격실 |
 뱅가드급의 3번째 잠수함인 HMS Vigilant 의 UK Trident ⅡD5 미사일 발사시험 모습 |
 |

뱅가드급은 레졸루션급보다 배수량이 두배더 클 뿐만아니라 공간도 더 훨씬 크게 만들어져 있다. | |
 원자력 추진 시스템의 개요 |
공격핵잠수함 |
공격핵잠수함(Attack Submarine) SSN
핵 잠수함은 잠수함 운용자들의 꿈인 무한한 항속거리와 지속적인 수중 고속잠항능력을 실현시켜 주었다. 핵 잠수함이 최대수중 속력(약 30노트)을 거의 무한으로 낼 수 있는데 비하여 재래식 잠수함은 고속시(약 20노트) 1시간 내외로 전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즉시 충전하지 않으면 기동 능력을 상실한다. 핵 잠수함은 목표로 하는 지역에 적이 모르게 단시간에 고속이동으로 배치가 가능하고 무한한 항속거리로 식량이 있는 한 작전이 가능하다. 이것은 재래식의 잠수함이 흉내낼 수 없는 핵잠수함의 최대 장점이다.
핵잠수함의 공격력은 주로 어뢰와 대함 미사일에 의존해 왔지만, 현재는 순항 미사일이 보급되어 공격력이 강화되고 있다. 보통 4-8기의 어뢰 발사관을 가지고 있으며 20-30개의 어뢰 또는 대함미사일, 순항미사일 전용의 수직발사관도 도입되고 있다. 공격용 핵잠수함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재래식 함대형 잠수함(항속거리가 큰 대형 잠수함)이 하던 임무를 이어받고 있다. 그러나 군사과학의 발달로 수행하는 임무도 다양화되었다. 가장 전통적인 임무는 대잠수함 공격을 포함한 대함선 공격이다. 평상시에는 적국의 전략미사일 잠수함의 추적과 공격핵잠, 수상함대를 추적하여 정보을 수집하는 것이며 상대방의 통신, 레이더 등 전자장비의 자료를 수집한다. 공격용 핵잠이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려면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음이 적어야 하고, 수중속력이 빨라야 하며, 안전잠수 심도가 깊어야 하고 운동성능이 뛰어나야 한다. 현재의 공격용 핵잠은 이러한 요구를 상당한 정도까지 만족시켰지만, 그 결과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선체가 대형화 되었다.
최초의 공격용 핵잠은 미국의 노틸러스(Nautilas : SSN-571)로서 1954년 취역하였다. 이것은 재래식으로 바꾸어 대형화가 이루어진 잠수함이다. 노틸러스는 최초의 핵 잠수함답게 특수작업과 실험을 담당하는 요원을 탑승시킬 수 있는 여유 공간과 기계공작실 등이 있었다. 순수한 의미에서 노틸러스는 공격용 핵잠이라기보다는 실험용 핵잠이었다. 그 이후에 핵잠들은 수중속력 향상을 위하여 물의 저항이 적은 물방울형(Teardrop Type)의 선체를 도입하고 추진기도 소음의 감소와 효율의 향상을 위해 1축 추진식으로 변경되었다. 소련은 1958년에 미국의 핵잠에 대항하기 위해서 급하게 노벰버(November)라는 공격용 핵잠을 취역시켰지만, 이것은 2축 추진식으로 소음이 심하고 기술적으로도 문제점이 많은 잠수함이었다. 또한 영국도 미국의 원자로 공급으로 1963년에 드레드노트(Dreadnought : S-101)라는 공격용 핵잠을 건조하게 된다.
공격용 핵잠 중에서 가장 독특한 것이 소련의 A(Alfa)급으로 내압선각에 티타늄을 사용한 수중 배수량 3,700톤급 소형 공격용 핵잠이다. 이것은 수중속력이 42노트이고 안전 잠항 심도는 700m를 넘고 있다. 그 당시 서방측 어뢰의 속도는 35노트였고 최대 심도 700m까지 잠수가 가능한 정도였기 때문에 Alfa를 격침시킬 수 없어 새로운 어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핵잠의 동력은 기본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제어되는 핵분열을 에너지원으로 한다. 가압수형 원자로는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1차 냉각수가 흡수하고 그것이 외부로 배출되어 2차 냉각수를 가열해 발생한 증기로 증기터빈을 돌리며 감속치 차로 감속시켜 스크류를 회전시키게 된다.
핵잠의 최대 소음원은 1차 냉각수의 순환펌프와 감속치 차이다. 이것 때문에 재래식 잠수함보다 소음이 크다. 1차 냉각수의 펌프 소음을 줄이기 위해 액체 나트륨을 냉각수로 사용한 방식을 시울프(Seawolf : SSN-575)급이 도입하였으나 성능미달로 제거되었으며, 소련은 A급에 채용하였으나 실용성이 떨어져 그 이후의 핵잠에는 채용되지 않았다. 또한 감속치 차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감속치 차를 없애고 터빈으로 발전기를 돌려 모터로 구동시키는 방식을 도입한 립스콤(G.P.Lipscomb : SSN-686)도 등장했으나 출력저하로 결국 채용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방식은 1980년대에 들어서 프랑스의 아메티스트(Amethyste : S-605)와 르 트리옹팡(Le Triomphant : S-616)급에 채용되었으며 중국의 한(Han)급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전기 추진방식은 소음의 감소에는 유리하나 출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현재는 잠수함의 대형화로 냉각수의 펌프와 감속치 차를 벽으로 둘러싸 소음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현재 미국은 개조된 스터전(Sturgeon : SSN-637)급 37척과 로스앤젤리스(Los Angeles : SSN-688)급 62척을 현재 운용중이다. 현재 스터전급은 퇴역시기가 되어가고 있으며 L.A급도 곧 3척이 퇴역하게 되므로 가까운 장래에 로스앤젤레스급 만이 남을 것이다. 그래서 미국은 스터전급을 시울프급으로 1대 1 대체를 계획했으나 25억불 이상의 건조비로 인해 3척만 건조될 예정이고 그 대신 저가형의 N-SSN의 개발을 진행중이다. N-SSN은 시울프의 75%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가격은 1척당 14억 달러를 생각했으나 초과될 가능성이 높다.
러시아 는 현재 Ⅷ(Victor Ⅲ)형 26척, 시에라Ⅰ/Ⅱ(Sierra)형 4척, 아쿨라 Ⅰ/Ⅱ(Akula)형 12척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아쿨라 Ⅱ형 3척이 건조중이다. 소련의 공격핵잠은 현재 약 40척이 취역중이며 아쿨라와 시에라의 성능은 LA급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부족한 핵잠수는 재래식 킬로(Kilo)형 20여척으로 보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군사 예산상의 문제로 정비가 제대로 안되어 잠수함의 소음이 증가되었고 가동률도 상당히 떨어져 있다. 이밖에 차세대용으로 세버로드빈스크(Severodvinsk)급을 3척 건조중이다.
영국은 트라팔가(Trafalgar : S-107)급 7척, 스위프트셔(Swiftsure : S-126) 5척의 12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위프트셔는 1983년-1991년 중 개량이 가해졌다. 영국은 재래의 업홀더(Upholder : S-40)급 4척을 퇴역시켰기 때문에 현재 미국과 마찬가지로 핵잠만을 보유하고 있다. 스위프트셔의 교체용으로 트라팔가의 성능을 개량한 트라팔가 해치2 를 현재 개발중이다.
프랑스 는 1983-1993년 사이에 6척의 공격용 핵잠을 취역시켰다. 이것은 전기추진 방식의 소형잠수함으로 1-4번함을 루비(Rubis)라고 불렀으나 아메티스트(Amethyste)급인 5,6 번함 취역후 1-4 번함도 차례로 개수되어 아메티그트급으로 불리고 있다.
중국은 80년부터 90년까지 5척의 한급이라는 공격용 핵잠을 취역 시켰으며 3번함부터는 대잠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다. 한급은 전기 추진식으로 25노트의 성능을 내는 저성능의 잠수함이었으나 프랑스제 소나와 ESM장비, 소련제 호밍어뢰의 채용으로 상당한 개량이 진행되었다. 또한 러시아의 기술지원으로 신형의 093이라는 공격핵잠을 개발중이다.
이밖에 인도,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이 공격용 핵잠의 보유를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다.
국가별 공격 핵 잠수함의 성능비교
보유국 |
형식명칭 |
척수 |
수중배수량(톤) |
전장×폭 (m) |
기관출력 (마 력) |
탑재미사일 |
어뢰발사관문/구경 |
수중속도 (knots) |
잠수심도 (m) |
승무원 |
미 국 |
시울프 |
3 |
9,137 |
107.6×12.9 |
52,000 |
하 푼 토마호크 |
8-660 |
35 |
610 |
133 |
로스앤젤러스 |
55+4 |
6,927 |
110.3×10.1 |
35,000 |
하 푼 토마호크 |
4-533 |
32 |
450 |
133 |
스터전 |
25 |
4,960 |
92.1×9.7 |
15,000 |
하 푼 토마호크 |
4-533 |
30 |
400 |
107 |
러시아 |
세베로드빈스크 |
0+3 |
11,800 |
120×15 |
|
SS-CX-5 |
4-650,
2-533 |
28 |
|
85 |
시에라Ⅰ |
2 |
7,900 |
107×12.5 |
95,000 |
A/S, SSN-15/16 |
8-650 |
34 |
650 |
72 |
시에라Ⅱ |
2 |
8,200 |
111×14.2 |
95,000 |
A/S, SSN-15/16 |
8-650 |
32 |
650 |
72 |
아쿨라Ⅰ |
4 |
9,100 |
110×14 |
47,600 |
A/S, SSN-15/16 |
4-533 |
28 |
400 |
85 |
아쿨라Ⅱ |
8+3 |
9,100 |
110×14 |
47,600 |
A/S, SSN-15/16 |
4-650 |
28/ |
400 |
85 |
빅터 |
26 |
6,300 |
107×10.6 |
30,000 |
A/S, SSN-15/16 |
4-650,
2-533 |
30 |
300 |
70 |
영 국 |
트라팔가 |
7 |
5,208 |
85.4×9.8 |
15,000 |
하 푼 |
5-533 |
32 |
300 |
97 |
스위프트셔 |
5 |
4,900 |
82.9×9.8 |
15,000 |
하 푼 |
5-533 |
32 |
116 |
116 |
프랑스 |
아메티스트 |
6 |
2,670 |
73.6×7.6 |
9,500 |
엑조세 |
4-533 |
25 |
300 |
70 |
중 국 |
한 |
5 |
5,550 |
106×10 |
|
C-801USM |
6-533 |
25 |
|
75 | | |
|
♠ 시울프(Seawolf)급 공격원잠 미해군의 가장 신형 공격 잠수함인 시울프급 공격원잠은 세계 최고 고성능의 공격원잠이다. 이 공격원잠의 주임무는 원래 구소련의 탄도 미사일 발사대 중 그 이동성으로 인하여 가장 생존확률이 높았던 전략 원자력 잠수함을 사냥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전략원잠을 호위하는 수상함과 잠수함들을 제압하기 위하여 추진, 잠항심도, 무장, 정숙성, 탐지식별 능력 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원래는 LA급의 후계함으로 30척 정도를 건조할 예정이었으나 25억달러(약 3조원)라는 막대한 건조비용과 냉전종식후 국방비 삭감으로 결국 3척만 건조하기로 하였다. CAD/CAM 설계와 모듈방식의 건조가 적용되었고 높은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HY-130강이 사용되어 610m까지 잠수가 가능하다. 특히 잠수함의 생명인 정숙성이 매우 뛰어나서 20노트의 비교적 고속잠항시에도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소음감소를 위해 추진기에도 펌프제트를 채용하였다.
시울프급의 제원 (미 국) |
제작사 |
|
엔 진 (동 력) |
GE PWR S6W(핵반응로) , 추진방식(펌프젯), 2×증기터빈, 출력52,000hp(38.8MW) |
전장×함폭 |
107.6m×12.2m , 흘수선(10.67m) |
배수량 |
9150톤(잠항시) , 7460톤(수상항해시) |
속 도 |
잠수시의 35노트이며 '무소음' 속도는 20노트 |
승조원 |
12名(장교), 121名(수병) |
무 장 |
하푼 및 토마호크미사일 발사용의 VLS튜브, MK-48 어뢰, 4×어뢰발사관 |
소 나 |
2개 : B-16, B-29 (이중 1개는 감시용, 1개는 전술용) |
레이다 |
BPS 16, I-band |
잠항심도 |
최고 600m깊이 |
관련급 및 취역년 |
USS Seawolf (SSN-21) 1996년 7월 , Connecticut (SSN-22), (under construction) (SSN-23), (funded) | |
 시울프의 해상 시운전 (1996.6) |

미해군의 최신핵잠수함 시울프의 주 통제실. - 감독관이 항해중인 잠수함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 |

시울프 공격핵잠수함이 어뢰를 발사하는 장면의 상상도 | |
 시울프 공격 핵잠수함의 항해모습 |
 건조 중인 시울프의 모습 |

함수部에 장치되는 대형의 ARRAY 시스템(중앙의 구체는 패시브식 소나 어레이, 그 아랫쪽의 반구체는 액티브 어레이, 구체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망형태의 것은 저주파수 패시브 어레이이다.) | |
 |

조립을 위해 이동중인 추진부분(씨-울프급은 모둘러식의 설계에 의해 건조되어 각부분이 따로 제작된후 나중에 결합된다 | |
 시울프 공격 핵 잠수함의 항해모습 |
♠ 로스엔젤레스급 공격원잠
1976년부터 취역하기 시작한 로스엔젤레스급(이하 LA급) 원자력 공격 잠수함은 현재까지 미국의 주력 공격잠수함이며 20여년 동안 62척이 건조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베스트 셀러이다. 추진기관으로는 CGN-25 순양함의 것을 잠수함에 장착하도록 개량한 S6G 원자로를 탑재하며 35000마력을 낼 수 있다. 초기형은 근래의 후기형보다 상당히 성능이 떨어져서 일부는 예인소나를 탑재하지 않은 것도 있었다. 32번함 '프로비던스'부터는 지상 타격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을 탑재하며 이를 위해 함수부분에 12기의 토마호크 수직발사기가 장착된다. LA급은 현재까지 2번의 성능향상이 행해졌는데 40번함 '산 후안'은 극지방의 빙해에서 러시아(구소련)의 델타Ⅳ급, 타이푼급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해 잠항타의 위치를 이전의 사령탑측면에서 함수부분으로 변경하였으며 화력 제어시스템도 개량되었으며 이 함부터 이후의 잠수함들은 LA급 개량형으로 불린다.
로스엔젤레스급의 제원 (미국) |
제작사 |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Division. |
엔 진 (동 력) |
26MW 제너럴 일렉트릭 S6G 원자로 |
전장×함폭 |
109.73m×10.06m / 흘수 (9.9m) |
배수량 |
6080톤 , 6927톤(수중배수량) |
속 도 |
35노트 이상 |
승조원 |
|
무 장 |
어뢰 : 533mm 어뢰 발사관 4기, MK-48 중어뢰, 어뢰(미사일 포함) 최대 26발탑재 미사일 : 토마호크용 수직발사기 12기, 토마호크 TLAM, 서브 하푼 |
소 나 |
TB-23/29, BQG 5D, BQQ 5D/E, BQS 15, Mine and Ice Detection Avoidance System(MIDAS), A Near-term Mine Reconnaissance System(NMRS) |
레이다 |
BPS 15 A/16 탐지, 항해, 발사통제 레이다 |
잠항심도 |
|
관련급 및 취역년 |
| |

로스앤젤레스급 핵 잠수함 Key West(SSN-722)잠수함은 미 항모 Constallation 전투단의 일부분으로서 역할을 한다. (1996.6) | |
 Greeneville(SSN 772) 잠수함의 항해 모습 |
 로스앤젤러스급 잠수함 SSN 753 |

로스앤젤러스급 핵 잠수함 Buffalo 하와이 근해 태평양에서 부상하는 모습 | |

로스앤젤러스급 핵잠수함의 통제실 - 장비들을 조작하는 모습 | |

대함 미사일 하푼이 잠수함으로부터 발사되는 모습 | |
 로스앤젤러스급 핵잠수함 Louisville. |
 로스앤젤러스급의 전투상황실 |

SH-60 SeaHawk로부터 로스앤젤러스급 Scranton(SSN 756) 핵잠수함에 우편물을 전달하는 모습. | |
♠ 아쿨라(AKULA)급 핵 잠수함 SSN
러시아 해군은 아쿨라급 핵잠을 16척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가 러시아 태평양지역에서 작전을 수행중이다. 이 잠수함들은 Komsomolsk-on-Amur에 있는 Amur Shipbuilding Plant Joint Stock사 와 Severodvinsk 조선소에서 만들어졌다. 아쿨라Ⅰ급은 1986년에서 1992년 사이에 만들어졌고, 성능이 향상된 아쿨라급 3척이 1992년과 1995년 사이에 취역하였다. 한 척의 아쿨라Ⅱ가 1992년에 취역하였으며, 2척이 더 취역할 예정이다. 이 아쿨라급 핵 잠수함은 다목적 임무 수행 잠수함이며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가 진행중이다.
아쿨라(AKULA)급 핵 잠수함의 제원 (러시아) |
제작사 |
Amur Shipbuilding Plant Joint Stock사 와 Severodvinsk 조선소 |
엔 진 (동 력) |
190 MW VM-5 가압수 원자로, 35 MW GT3A 터빈 고정피치 프로펠러이며 7개의 날개. |
전장×함폭 |
110m×14m /9.68(높이) |
배수량 |
8,140톤(수상항해시) , 12,770톤(잠항,만재) |
속 도 |
33노트(잠항시), 10노트(수상항해시) |
승조원 |
73명 |
무 장 |
4개의 650mm and 4개의 533mm 발사관, 순항미사일(지상공격용): 12×Granat 대잠/대함 미사일 : 28×Stallion, Starfish미사일 대잠/대함 어뢰 : 러시아製의 각종 어뢰 대공미사일 : 18×Strela 이동식 미사일 SS-N-15 Starfish, SS-N-16 Stallion, Type 40 torpedo, |
소 나 |
Skat-KS(MGK-500 Shark Gill LF 액티브/패시브, 패시브 어레이, 토우드 어레이) |
레이다 |
Snoop Pair or the Snoop Half(적함 탐지용) |
잠항심도 |
600m |
관련급
및
함정명 |
Northern 함대 : K-480 Bars(1984), K-317 Pantera(1990), K-461 Volk(1992), K-328 Leopard(1993), K-157 Tigr(1994), K-? Vepr(1995), K-? Gepard(1995), Pacific 함대 : K-284 ?(1984), K-263 ?(1985), K-322 ?(1986), K-391 ?(1987), K-331 ?(1988), K-419 ?(1989), K-267 ?(1995) | |
 아쿨라級에 어뢰를 장입하고 있는 모습 |
 센서 하우징部가 부착된 특이한 후방핀의 모습과 전형적인 러시아잠수함의 세일部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 |
 아쿨라급 잠수함 모형도 |
 러시아의 아쿨라급 핵 잠수함 |

아쿨라급은 전기추진 호밍어뢰를 포함하여 대잠, 대함어뢰를 발사할 수 있다. | |

아쿨라급 핵 잠수함은 계속적인 업그레이드가 진행중이다. | |

러시아 해군은 16척의 아쿨라급을 가지고 있다. | | |
♠ 루비스 아메티스트(RUBIS AMETHYSTE)급 핵 잠수함 프랑스 해군은 6척의 루비스 아메티스트급 잠수함을 DCN사의 조선소에서 건조하였으며, 동력은 원자력 발전에 의해서 얻어지는 동력으로 추진을 한다.
루비스 마메티스트(RUBIS AMETHYSTE)급 핵 잠수함의 제원 (프랑스) |
제작사 |
Cherbourg Naval Dockyard of DCN |
엔 진 (동 력) |
48 MW 가압수로원자로 CAS 48 A diesel-electric SEMT-Pielstick and Jeumont Schneider 8 PA4 V 185 SM |
전장×함폭 |
|
배수량 |
|
속 도 |
25 knot(잠항시) |
승조원 |
|
무 장 |
4개의 533mm 어뢰 발사관, ECAN F17 Mod 2 어뢰, ECAN L5 Mod 3 어뢰 , Exocet SM39 대함미사일 |
소 나 |
passive towed array system (DSUV 62C), Thomson Sintra DMUX 20 다기능 능동소나 |
레이다 |
Type 1007 navigation radar |
잠항심도 |
550m |
관련급 및 취역년 |
Rubis S601 (1983), Saphir S602 (1984), Casabianca S603 (1987), Emeraude S604 (1988), Amethyste S605 (1992) , Perle S606 (1993) | | |

6척의 RUBIS AMETHYSTE 급중의 한척인 공격핵잠수함 | |

RUBIS AMETHYSTE 급의 기동훈련모습 | |

Mesma 무공기추진(AIP) 시스템 이것으로 인해 잠항기간이 훨씬 길어지게 되었다. | |

SSK Turquoise급 잠수함.이 잠수함의 통제실은 Rubis Amethyste급과 유사하다. | |

Turquoise SSK 잠수함은 수출을 위해 발전시킨 Rubis Amethyste급의 파생형이다. | |
 Mesma 무공기추진(AIP) 시스템 | |
♠ASTUTE 급 공격핵잠수함
영국해군의 Astute급 잠수함은 영국의 차세대 잠수함이며, 1973년에서 1977년사이에 건조된 5척의 Swiftsure급 잠수함을 대체하기 위한 공격핵잠수함이다. Astute급의 첫 번째 잠수함이 2000년에 건조가 시작되어 2006년에 취역할 예정이다.
ASTUTE급의 제원 (영국) |
제작사 |
- |
엔 진 (동 력) |
Rolls-Royce PWR 2 , 2개의 GEC 터빈 |
전장×함폭 |
91.7 × 10.4 / 높이(10 m) |
배수량 |
6000 ton(수상시) , 6500 ton(잠항시) |
속 도 |
- |
승조원 |
- |
무 장 |
6개의 21 inch 어뢰발사관 Tomahawk Block III 순항미사일 Harpoon 미사일 , Spearfish 어뢰 |
소 나 |
Thomson Marconi Sonar 2076 |
레이다 |
I-band navigation radars |
잠항심도 |
- |
관련급 및 취역년 |
- | |
 Astute 설계는 Trafalgar급과 유사하다. 이 사진은 HMS Triumph의 모습이다. Astute는 Trafalgar급보다 선체지름이 증가하였다. | |
 Astute급 잠수함의 어뢰 발사 상상도 |
 Astute급 잠수함의 상상도 |
 영국의 Astute급 잠수함의 상상도 |
 Astute급 잠수함의 기관 부의 상세도 |
 Trafalgard의 HMS Torbay |
 Trafalgar급의 HMS Talent 잠수함. 이 잠수함은 1988년에 취역하였다. | |
디젤잠수함 |
디젤 잠수함은 1970년대부터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선체는 수중저항이 적은 누적형(淚滴型)이 되고 추진기도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1축을 사용하게 된다. 수중 작전능력도 증가하여 2-3시간 충전으로 3일정도 수중항해를 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 또한 유도어뢰와 대함 미사일의 보급으로 공격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현대 해군에서 디젤잠수함은 매우 중요하며 행동의 은밀성으로 억제무기의 역할도 하고 있다. 그리고 중소 해군국을 중심으로 신형 디젤잠수함의 도입이 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가격이 저렴하고 수상함 운용능력이 있으면 도입후 2-3년 간의 운용실험 후 실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격원잠에 비하여 전체적인 능력은 떨어지지만 자국의 해역에서는 충분히 적함대를 공격하여 격파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 해군에서 잠수함이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 이는 해군 관계서적에서 항상 잠수함을 제일 앞에 다루는 것으로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디젤 잠수함은 현재 최고의 기술수준에 도달하였으며 해군에서 가장 효과적인 무기체계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문제점이었던 부족한 수중항속능력도 새로운 추진시스템인 AIP기관의 도입으로 비약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디젤 잠수함의 최대 장점은 운용하는데 고도의 기술이 필요 없으며 중·소국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몇 년의 준비기간을 거쳐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공격원잠은 원자력기관을 동력으로 사용하므로 높은 기술수준이 필요하고, 운용과 정비유지에 디젤 잠수함의 몇 배 이상의 비용이 필요하다. 디젤 잠수함은 신형함이라 해도 보통 2-3억불로 저렴하며 이 가격은 저성능 프리키트 정도의 가격이므로 중소국에서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금액이다. 참고로 미국의 로스엔젤레스급은 10억달러, 시 울프급은 25억달러, 영국의 트라팔가급은 7억달러 정도이다. 단순히 잠수함을 1-2척 보유하는 것은 군사적으로 가치가 거의 없고 항상 작전지역에 잠수함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척 이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디젤 잠수함의 저가격은 엄청난 장점이다.
디젤 잠수함은 디젤엔진으로 발전하여 축전지를 충전하며 이 전기로 추진모터를 구동하여 항해하므로 발생소음이 적어서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 활동 지역인 연안에서는 강대국만이 보유한 공격원잠보다 우위에 설수 있으며 먼저 발견, 공격하여 격파할 수 있다. 디젤 잠수함은 특징인 정숙성을 이용하여 적함대에 침투하여 유력함정을 격침할 수 있다. 잠수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저지형 뿐만 아니라 활동지역의 수중상태를 결정하는 온도, 해류, 염분농도 등을 계측하여 음파속도와 전달특성에 대한 모든 정보를 사전에 조사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면 작전시에 효과적으로 적을 탐지할 수 있고, 공격 후에 퇴각하는데도 유리하다. 우리나라도 U209-1200 도입후에 집중적으로 해저 지형과 수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디젤 잠수함은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약점도 가지고 있다. 이는 디젤엔진을 수중에서 사용할 수 없고, 축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2-3시간의 충전으로 3일 정도는 수중에서 저속으로 작전이 가능하지만 속도는 5knot 내외이다. 공격원잠이 30knot정도의 속도를 무한정 낼 수 있는 것과 많은 차이가 있다. 디젤 잠수함의 최고속도인 20kt이상을 내면 1시간 이내에 동력이 떨어지고, 스노켈을 사용하여 충전하여야 한다. 제해권을 가진 해역에서 스노켈을 충전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적함대가 지배하는 해역에서 사용하는 것은 공격받을 위험성이 매우 높다.
보통 디젤 잠수함의 어뢰 탑재수량은 10-20발이므로 몇 번의 공격으로 전부 소모하면 공격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어뢰공격은 10km이내에서만 가능하므로 어뢰발사 후에 위치가 드러나 적의 반격을 받게 되면 저속이기 때문에 후퇴할 때 많은 제한을 받으며 적의 어뢰가 추적해 오면 크게 불리하다. 만일 일시적으로라도 고속기동을 하게 되면 발생소음이 크기 때문에 자신의 위치가 드러난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상 전투함은 대잠헬기를 탑재하므로 고속으로 후퇴하는 것이 반드시 유리한 것은 아니다. 현재 디젤 잠수함 중에서 재함미사일 발사능력을 가진 것은 소수로서 일본, 영국, 러시아, 이탈리아, 호주, 네덜란드 등에 한정되고 있다. 어뢰는 근거리까지 접근하여야 공격할 수 있지만 대함 미사일 발사능력을 보유하면 장거리 공격이 가능하고 퇴각할 때 적 함대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유리하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된 U209시리즈의 자기추진식 어뢰발사관은 자체추진 능력이 없는 대함 미사일은 발사할 수 없으며 유일하게 터키의 U209-1400형만이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어뢰발사관을 탑재하여 대함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
♠ 킬로(Kilo)급 잠수함 SSK
러시아의 킬로급 잠수함은 1980년대 초부터 활동에 들어간 것으로 성 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루빈 중앙 해양 설계국(Rubin Central Maritime Design Bureau)에서 설계되었다.
킬로급 TYPE 636의 제원 (러시아) |
제작사 |
聖 페테르부르크의 Admiralty 조선소 |
엔 진
(동 력) |
디젤-일렉트릭. 5500마력
프로펠러 : 고정핏치형 , 7개의 날개 |
전장×함폭 |
73.8m×9.9m , 흘수선(6.3m) |
배수량 |
2,350tons(수상) |
속 도 |
11knots(수상) , 20knots(잠항시) |
승조원 |
52명 |
무 장 |
어뢰 : 6×533 mm 어뢰발사관,
SS-N-16 Stallion Missile(?) |
소 나 |
MGK-400EM 디지털 소나 |
레이다 |
radio communications,
combat control information system,
navigation system Radar general purpose detection radar |
잠항심도 |
최대 300m |
관련급 |
877형 : 러시아 해군용
877E형 : 수출용, 전장이 3m 짧다.
877M형 : 러시아용, 유선유도 어뢰만 사용한다.
877EM형 : 수출용, 유선유도 어뢰만 사용한다.
877K형 : 신형 지휘시스템 채용한 러시아형.
877EKM형 : 수출용, 신 지휘시스템 채용.
636형 : 수출용. 신 지휘시스템 채용, 거주성을 개량.
4B : 자국용 636형 최신 개량형. | |
계속적인 업그레이드형의 개발로 현재 Type 877EKM과 최신형 모델인 TYPE 636모델까지 나와 있는 상태다. 또한 AIP(air-independent propulsion:공기 독립적 추진장치)를 갖춘 킬로급의 후계함에 대한 설계도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빈설계국에서 설계중인 AIP는 다른 형의 잠수함에 대해서도 개장공사를 통해 장착 될 수 있다. 이 급의 잠수함은 애초에 콤스몰스크(Komsomolsk)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나, 현재는 성 페테르부르크의 Admiralty 조선소에서 건조된다. TYPE 877 EKM 킬로급 잠수함은 이란(3척), 인도(9척+현재 건조중), 폴란드, 루마니아, 알제리아 등에 수출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현재 보유중인 TYPE 877 EKM 킬로급 잠수함 2척 이외에 추가적으로 TYPE 636형에 대한 건조계약을 1999년 체결하였다. Type 636은 ASW/ ASuW /기타 일반적인 정찰 및 순시임무 수행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분류상 SSK(submarine with ASW capability)로 분류된다.
Type 636 잠수함은 현재 지구상에서 제작된 잠수함 중 가장 '조용한'디젤 잠수함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이 잠수함은 자신이 적에게 발각될 가능성이 있는 거리보다 3∼4배 먼 곳에서 적 잠수함을 발견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얘기할 수 있다.
|
 ▲ 킬로형 877EKM. 중국 2척, 이란 3척, 인도는 9척을 소유하고 있다. |
 ▲ 킬로급 Type 877EKM 부두에 계류중인 상태. |
 ▲수상에 계류하여 있는 킬로급 Type 877EKM -아무래도 어떤 행사가 있는 듯하다. |
 ▲ INS Sindhuvir Type 877EKM 인도해군의 킬로급 9척중의 하나인 877EKM형 잠수함. |
 ▲ 킬로급 Type 877EKM 부두에 계류중인 상태. |
 ▲킬로급 Type 877EKM의 통제실 내부 모습. |
 ▲킬로급 Type 877EKM의 통제실 내부 모습. |
 ▲킬로급 Type 877EKM 어뢰 발사실에 탑재되어 있는 어뢰의 모습. |
 ▲ 킬로급 Type 877EKM 에 어뢰를 탑재 하는 모습. | |
♠ 고틀란트(GOTLAND)급 디젤잠수함 SSK
스웨덴의 고틀란트급은 A-17(베스테르 고틀란트)을 기초로 하여 설계되었고 1번함인 고틀란트는 1992년에 건조가 시작되어 1997년에 취역하였으며, 건조에서 취역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된 것은 AIP시스템 탑재로 여러 가지 운용실험이 행해졌기 때문이다. 2, 3번 함정도 현재 건조가 진행중이다. 이 잠수함의 최대 특징은 무외기 추진기관(AIP)인 스털링 엔진을 세계최초로 탑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스텔링 엔진은 A-14 네켄을 9m 연장한 함정으로 10여년간 각종실험을 한 후 고틀란트급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 고틀란트가 A-17과 비교하여 외형적으로 크게 변한 것은 선체가 7.5m 연장되었고, 배수량이 수상 170톤, 수중 347톤이 증가된 것으로, 이 증가된 공간에 V4-275R 스털링 엔진 3기 예산부족으로 2기만 탑재되었다. 추진기관은 MTU 디젤엔진 2기를 탑재하며 주전동기 1개를 사용하는 1축 추진방식이다. 이 잠수함은 X형의 종횡타를 채용하여 수중기동성을 향상시켰다. 기본적으로는 A-17과 거의 같은 구조이고 내부의 배치도 스털링 엔진이 탑재된 것을 제외하면 성능상 큰 차이점은 없다. 탑재무장은 수상목표 공격용 533mm 어뢰발사관 4기, 수중목표 공격용 400mm 어뢰발사관 2기이며 어뢰의 탑재수는 모두 18발이다.
고틀란트급의 제원 (스웨덴) |
제작사 |
- |
엔 진 (동 력) |
디젤2기, 전동기 1기 스털링 AIP |
전장×함폭 |
60m×6.1m , 흘수(5.6m) |
배수량 |
1,240톤(수상시) , 1.490톤(잠항시) |
속 도 |
11노트(수상) , 20노트(잠항시) |
승조원 |
28명의 수병과 5명의 장교 |
무 장 |
533mm 어뢰발사관 4기 400mm 어뢰발사관 2기 |
소 나 |
CSU 90-2 integrated sonar sensor Passive cylindrical bow array |
레이다 |
Terma Scanter navigation radar. |
잠항심도 |
- |
관련급 |
HMS Gotland 1996년 , HMS Uppland 1997년 HMS Halland 1997년. | |
 A-19 Gotland 잠수함은 A-17 Vastergotland와 유사하다.
|  고틀란트급의 두 번째 함인 HMS Uppland. 이 잠수함은 1997년에 배치되었다. |
 HMS Gotland급의 첫번째함 |
 고트란트급 잠수함은 Kollmorgen 탐색 및 공격이 가능한 잠망경과 Terma Scanter navigation 레이다를 탑재하고 있다. |
 고틀란트급의 잠수함 9SCS Mark 3 Combat Management System을 탑재한다. |
 코틀란트급 디젤잠수함이 탑재한 AIP 시스템 |
 4개의 21인치 어뢰 발사관과 2개의 15.75인치 어뢰 발사관을 탑재한다. |
 스웨덴 해군의 최신어뢰 Bofor 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 ♠아고스타(Agosta) 90B급 디젤잠수함 SSK
프랑스의 아고스타(Agosta) 90B는 프랑스와 몇 개 국가의 해군에서 운용중인 아고스타급 잠수함의 직계 파생형으로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소나의 탐지능력이 확대된 모델이다. 현재 MESMA AIP 시스템이 장착된 3척의 AGOSTA 90B급이 건조중으로 파키스탄에 공급될 예정이다. 아고스타급 잠수함은 현재 3개국에서 사용중이다. AGOSTA 90B급 잠수함은 프랑스해군이 기존의 AGOSTA급 잠수함을 운용하면서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수명, 음향감소, 추진기술, 잠항능력 부분에서 개선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음향적 광학적 전자기학적 열적 센서에 대한 정밀한 조사에 근거하여 최고로 가능한한 조심스럽게 설계되었다. 또한 선체와 부속품과 프로펠러는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조심스럽게 최적화 설계되었다. 추진기와 디젤엔진과 기타 추진기용 부속품들과 함체 사이에는 진동방지용 물질들이 삽입되어 함체에 곧바로 추진시의 소음과 진동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매달려'있는 형태로 장착된다. 해상에서 입증된 아고스타의 특별한 개선으로 획득된 경험으로부터의 설계사상의 이점은 고성능과 더 좋은 전투성능 두가지 모두를 충족시켰다. Agosta 90B는 기존의 아고스타급에 비해 증대된 작전범위를 가능케 하는 배터리 파워의 개선, 더 깊은 잠항능력을 부여하기 위한 HLES 80 강(鋼) 등 신규 재질의 채용, 보다 더 조용한 주행을 가능케 하는 동력부의 서스펜션 장치, 새로운 MESMA AIP(air-independent propulsion)시스템에 의해 확보된 더 높은 수준의 성능 등 수 차례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설계되었다.
아고스타급의 제원 |
엔 진 (동 력) |
MESMA Air-independent propulsion(AIP) |
전장×함폭 |
67.6m× , 흘수(5.4m) |
배수량 |
1,510톤(수상) , 1,760톤(잠항) |
속 도 |
17노트 |
승조원 |
36명의 수병+5명의 장교 |
무 장 |
어뢰 : F17 Mod.2 미사일 : 엑조세 SM 39 잠수함 발사 對艦 미사일 |
잠항심도 |
항속거리 : 10,000 해상마일 무보급 작전가능 일수 : 68일 | |
 어고스타 90B급은 어고스타급의 직계파생급이다. |
 어고스타 90B급은 공격잠수함이며 앞에서 찍은 모습이다. |
 어고스타 90B급의 항해모습을 뒤쪽에서 찍었다. |

어고스트 90B급의 전투상황실 |

어고스트 90B급의 현대 잠항장비 |
 엑조세 SM 39 잠수함 발사 대함 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 |
♠ 일본의 디젤 잠수함
일본 해상자위대는 그 애매모호한 희한한 명칭에도 불구하고 이미 그 규모나 집행 예산면에서 세계 4위권안에 드는 막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1997년 현재 미쓰비시중공업 및 가와사키중공업에서 제작된 자국산의 배수량 2000톤∼3000톤에 달하는 18척의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
하루시오급은 10척이 취역한 유우시오급의 개량형으로 1990년부터 1996년까지 모두 7척이 취역하였다. 특징을 보면 완벽한 누적형의 형태에 선체는 단각식 2층 구조이며 ,처음부터 견인식 소나를 탑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7엽 프로펠라를 채용했으며 승무원은 75명이다. 이 인원수는 많은 편으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때문인데 이것은 원거리 작전에 많은 어려움을 주는 부분이다. 수중배수량은 2,450t이며 수상배수량은 2,500t이다. 전장이 77m이고 전폭이 10m이다. 추진기관은 자국제인 가와사기/MAN사의 V8V형 4사이클 12V25/25S 디젤엔진 2기, 주전동기 1개, 1축 추진 방식이다. 출력은 디젤3,400HP 주전동기 7,200HP이고 축전지는 240개로 구성된 2개군을 탑재한다. 어뢰발사관은 533mm 6문으로 서브하푼을 발사할 수 있다.
오야시오급은 하루시오급의 개량형으로 변화된 점은 수중탐지능력의 향상과 선체 모양의 변화에 있다. 전통적인 누적형을 채용하지 않고 개량형(고래형)누적형을 채용함으로서 변화된 외형을 가지고 있다. 종횡타는 +형으로 전장 82m, 전폭 8.9m, 디젤엔진 2기, 주전동기 1기, 7엽 프로펠러를 채용한 1축 추진방식이다. 출력은 디젤 3,400hp 주전동기 7,750hp이고 무장은 533mm6문과 하푼 대함 미사일이 있다. 승무원은 70명으로 최신 디젤잠수함 중에서 가장 많은 인원수라 하겠다. 특이할 점은 일본잠수함 최초로 방음 타일을 장착했다는 점과 AIP기관(일본은 지금 개발 중이다)을 채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
유우시오급의 제원 |
하루시오급의 제원 |
오야시오급의 제원 |
제작사 |
|
|
미쓰비시중공업 |
엔 진 (동 력) |
3400hp(수상),7200hp(잠항시) |
3400hp(수상), 7200hp(잠항시) |
디젤 전기식 추진 1 3400hp(수상),7750hp(잠항) |
전장×함폭 |
76m×9.9m |
77m×10m |
81.7m×8.9m |
배수량 |
2200(수상) , 2450(잠항시) |
2450(수상) , 2750(잠항시) |
2700(수상), 3000(잠항시) |
속 도 |
12노트(수상), 20노트(잠항시) |
12노트(수상), 20노트(잠항시) |
12노트(수상),20노트(잠항시) |
승조원 |
75명 |
75명 |
70명 |
무 장 |
하푼미사일 , HU603 533mm 어뢰발사관 6문 |
하푼미사일, HU603 533mm 어뢰발사관 6문 |
하푼미사일 HU603B 533mm 어뢰발사관 6문 |
소 나 |
ZQQ-4/BQR-15 소나 |
ZQQ-5/ZQR-1 소나 |
ZQQ-5/ZQR-1 소나 |
레이다 |
ZPS-6 수상레이다 , ZLS-6 ESM |
ZPS-6 수상레이다 ZLR-3 ESM |
ZPS-6 수상레이다 ZLR-3 ESM |
관련급 |
제1잠수함대 : 유우시오(8006) 79년, 모찌시오(8007) 82년, 세또시오(575) 82년, 오끼시오(576) 83년, 나다시오(577) 84년, 아끼시오(579) 86년. 제2잠수함대 : 하마시오(578) 85년, 다께시오(580) 87년, 유끼시오(581) 88년, 사찌시오(582) 89년 |
제1잠수함대 : 하루시오(583) 90년, 나쯔시오(584) 91년 하야시오(585) 92년, 아라시오(586) 93년 후유시오(588) 95년, 아사시오(589) 96년 제2잠수함대 : 와까시오(587) 94년 |
제2잠수함대 : 오야시오(590) 98년3월 | | |
이 타일은 경질 고무로 되어 있으며 일본에서 제작한 것으로 선체 수선 아래쪽에도 부착되어 있다. 선수부는 상반부가 어뢰발사관, 하반부가 소나로 되어 있다. 세일의 위쪽 측면은 음향 스텔스를 의도하여 경사져 있다. 기준배수량 2,700톤, 전장 82미터, 폭 8.9미터, 흘수 7.4미터, 디젤 전기식 추진 1축, 출력 7,700마력, 수중속력 20노트, 승무원 80명, 533mm 어뢰발사관 6문(Harpoon USM 발사 가능)이고, 건조비는 521억 9000만 엔이다. 오야시오 잠수함은 제 2 잠수대군 제 2 잠수대에 배속되었으며, 모항은 요코스카이다.
 유우시오급 일본 잠수함의 부상하는 모습. |
 하루시오급 잠수함의 수상항해하는 모습 |
 오야시오급 잠수함의 수상항해 하는 모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