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군의 퇴역 호위구축함 및 구축함 종류
| ||||||||||||||||||||||||||||||||||||||||||||
미국 해군 본부에서 군 원조 프로그램의 하에 Cannon, Rudderow, Buckley급 호위 구축함들은 1950년 중순 부터 시작하여 1960년 말 까지 총 9척이 도입 됩니다. 그리고 이함들은 6,25때 미국한테서 빌려 쓰다가 1970년대 초쯤에 돈을 주고 삽니다.(단 PG나 PF가 붙은 함들은 처음 들여왔을 때 부터 산 것입니다.) 이함들중 73충남함이 64년 10월 13일 소련잠수함을 7시간동안 추적 부상하게한 전력이 있으나 67년 1월 14일 진해만 근처에서 정기여객선 한일호(140톤)와 충돌하여 한일호가 침몰해 96명이 익사했습니다. 그후 이 함들은 1977년 시작하여 2000년을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되었습니다. **************************** 한국명(전함종류) (미국명) DE-71 (캐논급) 경기함(DE-770 Muir) DE-72 ( " ) 강원함(DE 771 Sutton) DE-73 (로데로급) 충남함(DE-706 Holt) PF-81 ( " ) 경남함(DE-712 Cavallaro) PG-82 ( " ) 아산함(DE-598 Harry L. Corl) PG-83 ( " ) 영포함(DE-600 Julius A Raven) PF-85 (버클리급) 경북함(DE-207 Kephart) PG-86 ( " ) 전남함(DE-212 Hayter) PF-87 (로데로급) 제주함(DE-236 William M. Hobby) ****************************************** 1) Cannon(경기)급 호위 구축함 | ||||||||||||||||||||||||||||||||||||||||||||
1
| ||||||||||||||||||||||||||||||||||||||||||||
ㅁ 제원 및 성능
2) Rudderow(충남)급 호위 구축함 | ||||||||||||||||||||||||||||||||||||||||||||
2
| ||||||||||||||||||||||||||||||||||||||||||||
ㅁ 제원 및 성능
3) Buckley(경북)급 호위 구축함 | ||||||||||||||||||||||||||||||||||||||||||||
3
| ||||||||||||||||||||||||||||||||||||||||||||
ㅁ 제원 및 성능
[ 퇴역 구축함 종류(DD-911 ~ 25) ]
미국에서 플렛쳐급 구축함은 1942년 ~ 44년 175척이 알렌 M. 섬녀급은 1943년부터 ~ 44년까지 58척이 기어링급은 1944년부터 ~ 46년까지 101척이 건조 되었습니다. 이 구축함들은 1960년대말 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기시작하였습니다. 플렛쳐, 알렌 M. 섬녀, 기어링급들은 퇴역후 한국, 터키, 그리스, 이란, 베네수엘라, 브라질, 멕시코, 파키스탄, 대만등에 수출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플렛처급 3척, 알렌 M. 섬너급 2척과 기어링급 7척(FRAM1- 5척 /FRAM2 -2척)척이 도입되었습니다. 이중 기어링급인 경기함과 전주함은 애스록을 탑재한 FRAM2급 으로 대잠함 입니다. 기어링은 FRAM1(A형 B형 두가지) 과 개수된 FRAM2, FLETCHER, SUMNRR 버전으로 나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1990년대까지 우리 해군의 주력함들이었습니다. ************************************************* 각 구축함의 처음도입과 퇴역 1) 플렛쳐급 2) Allen M. Sumner급 1973년 12월 4일 처음도입되어 1990년대 초쯤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됩니다. 3) 기어링급 1972년 7월 5일 처음도입되어 2000년대에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됩니다. *********************************************************************************** 한국명(전함종류) (미국명)
DD-911 (플렛처급) 충무함(DD-631 ERBEN) DD-912 ( " ) 서울함(DD-686 HALSEY POWELL) DD-913 ( " ) 부산함(DD-673 HICKOX) DD-915 (기어링급) 충북함(DD-805 CHEVALIER) DD-916 ( " ) 전북함(DD-830 EVERETT F. LARSON) DD-917 (알렘섬너급) 대구함(DD-703 WALLACE L. LIND) DD-918 ( " " ) 인천함(DD-727 DE HAVEN) DD-919 (기어링급) 대전함(DD-818 NEW) DD-921 ( " ) 광주함(DD-849 RICHARD E. KRAUS) DD-922 ( " ) 강원함(DD-714 WILLIAM R. RUSH) DD-923 ( " ) 경기함(DD-883 NEWMAN K. PERRY) DD-925 ( " ) 전주함(DD-876 ROGERS) 본 까페 회원이신 비퍼피쉬님 블로그에서 참조 ******************************************************************************* 1) Fletcher(충무)급 구축함 | ||||||||||||||||||||||||||||||||||||||||||||
4
| ||||||||||||||||||||||||||||||||||||||||||||
Fletcher 급 구축함의 도표 | ||||||||||||||||||||||||||||||||||||||||||||
5
| ||||||||||||||||||||||||||||||||||||||||||||
| ||||||||||||||||||||||||||||||||||||||||||||
이함은 5문의 함포, 2~4문(함마다 틀림)의 40mm대공포, 10발의 533MM어뢰등으로 당시 간첩선을 많이 잡았는데 그 당시는 정말 좋은함이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구축함으로써 그 역활을 독톡히 했습니다.
ㅁ 제원 및 성능
ㅁ 외부 연결
2) 알렌 M. Sumner(대구)급 구축함 | ||||||||||||||||||||||||||||||||||||||||||||
6
| ||||||||||||||||||||||||||||||||||||||||||||
기어링FRAM-2와 같이 함포의 수가 같은데 기어링과 구분하는방법은 함교의 모습으로 구분하거나 무장을 자세히 살펴보면 구분할수 있습니다.
ㅁ 제원 및 성능
3) 기어링 FRAM1(광주)급/ FRAM2급(충북)급 구축함 | ||||||||||||||||||||||||||||||||||||||||||||
7
| ||||||||||||||||||||||||||||||||||||||||||||
기어링함은 2차세계대전때 미국에서 대량생산된 구축함으로
기어링 FRAM1급은 다른 구축함에 비해함포가 1문이 적습니다. 기어링 FRAM2급의 주된 구분방법은 함교앞의 함포수로 구분합니다
ㅁ 제원 및 성능
** 기어링급 버전 분류 참조 ** *** 구축함 분류 *** DD- 구축함 DDR- 레이더 초계 구축함 DDG- 미사일 구축함 DDL- 구축함 리더나 프리깃함 DDH- 헬기가 배치된 구축함 DDE- 호위 구축함 DDN- 핵추진 구축함 돌멩이 세상님 블로그 에서 일부참조 ****************************************************************** 출처:맨 윗사이트 참조 + Google, AltaVista - Babel Fish로 번역 + 제가 수정 | ||||||||||||||||||||||||||||||||||||||||||||
| ||||||||||||||||||||||||||||||||||||||||||||
|
'현대전쟁병기 > 바다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해군 심해잠수구조정(DSRV) (0) | 2007.11.07 |
---|---|
우리나라에서 퇴역한 경비/초계함 종류(PF-61 ~ PCE-1003) (0) | 2007.11.07 |
LCAC (Landing Craft Air Cushion) (0) | 2007.11.07 |
불침의 전통 함선 (0) | 2007.11.07 |
최초 초대형 항공모함 (0) | 2007.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