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

2019년 4월 3일 보궐선거 언론사 사설비교

21c-park 2019. 4. 4. 10:26

4월 3일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국회의원 2명과 기초의원 3명을 뽑는 선거였다.

이 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은 한 명도 당선을 시키지 못했다. 이에 대한 진보언론과  보수언론의

사설을 비교해 본다.

한겨레신문은 여당 야당 모두에게 민심의 무서움을 알라고 이르고

조선일보는 문제인 정부를 강도높게 비판하였다.

 

[한겨레 신문 사설]

[사설] 청와대·여야 모두 ‘보궐선거 민심’ 무겁게 새겨야
4·3 보궐선거가 1 대 1 무승부로 끝났다. 경남 창원성산에서 여영국 정의당 후보가, 통영·고성에서 정점식 자유한국당 후보가 당선된 결과를 두고 여야 모두 “선전했다”고 자평한다. 제 논에 물 대기 식 해석보다, 유권자의 절묘한 선택에 담긴 민심을 무겁게 되새기길 바란다. 특히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임기 3년차 문재인 정부를 향한 국민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길 바란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의당과의 후보 단일화로 창원성산에서 자유한국당을 꺾었을 뿐 아니라, 2016년 4월 총선에선 후보조차 내지 못한 통영·고성에서 양문석 민주당 후보가 유의미한 득표를 한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하지만 상황을 좀 더 냉정하게 직시할 필요가 있다. 창원성산 보선에서의 정의당 승리로, ‘정권심판론’을 내건 자유한국당에 민주당은 참패를 면하는 체면치레를 했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지난해 6·13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통영시장과 고성군수에 당선됐던 것에 견줘보면, 부산경남(PK) 지역에선 지지 기반이 약화됐다고 볼 수 있다. 부산경남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민주당 지지율이 하락 추세에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당 안에서조차 내년 4월 총선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걸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해찬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내년 총선에서 민심의 준엄한 심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절박감을 갖고 당 전반을 쇄신하고 다잡길 바란다.

청와대는 장관 후보자 낙마 등 ‘인사 실패’와 관련해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인식을 드러낸 게 후보 단일화 직후 상승세를 타던 창원성산마저 위태롭게 했다는 점을 뼈아프게 반성해야 한다. 선거로 표출된 국민의 뜻을 잘 헤아려 국정을 일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국민 눈높이에 맞게 인사 기준을 손질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지체 없이 제도 정비와 내부 쇄신에 나서길 바란다.

창원성산을 지켜낸 정의당은 “개혁 노선의 승리”라는 자평이 어울릴 만한 성과를 냈다. 진보의 교두보를 지켜냈을 뿐 아니라,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노회찬 의원의 명예회복도 이룬 셈이다. 민주평화당과 제4교섭단체를 다시 꾸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점도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전략 지역에서의 승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회에서 뚜렷한 목소리를 내며 공직선거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법안 입법 등에서 돌파구를 마련하는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자유한국당은 좀 더 책임있는 제1야당의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 이번 선거 결과로 황교안 대표 체제는 일단 순항하겠지만, 그렇다고 부산경남 민심의 분명한 지지를 받았다고 보긴 힘들다. 황교안 대표는 선거기간 내내 “폭정을 연장하는 민주당·정의당 좌파야합 심판”을 주창했지만, 민심은 냉정했다. 막말과 퇴행, 문재인 정부의 실수에 기댄 반사이익만으로 국민 마음을 얻는 데 한계가 있다는 걸 인식해야 한다. 민심의 무서움을 알아야 하는 건, 정부 여당뿐 아니라 자유한국당 역시 마찬가지다.

출처: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888629.html#csidx6a0e7c79a5be62fa9233bb657c45fdc

 

 

[조선일보 사설]

[사설] 민주당, 한 곳도 당선 못한 이유 아는가

경남 지역의 2곳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과 정의당 한 곳씩 승리했다. 집권 여당인 민주당은 한 군데에 후보를 내고 다른 곳에는 정의당과의 후보 단일화를 통해 선거에 임했지만 어느 곳에서도 승리하지 못했다. 경남 창원 성산에서 민주당이 정의당에 후보를 양보한 것은 당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었다. 경남 통영·고성은 문재인 대통령의 출신 지역인 부산·경남 지역이다. 민주당은 내년 총선에서 이곳을 전략 지역으로 꼽고 있다. 그래서 국민 세금을 5조원 가까이 묻지마 식으로 퍼부어 매표 행위까지 벌였다. 그런데 20%포인트 정도의 큰 차이로 완패했다. 이 선거 결과는 예사롭지 않다. 게다가 민주당은 기초의원 선거 세 곳에서도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심지어 민주당 절대 강세 지역이라는 호남에서도 민주평화당에 패했다. 이번 선거는 한마디로 민주당의 완패다. 다시 말해 문재인 정권의 패배다.

문 정부는 소득 주도 성장이라는 경제 실험을 하다가 나라 경제를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갔다. 모든 경제지표가 사상 최악이다. 지난 2월 생산·투자·소비 등 경제의 3대 축이 일제히 내리막을 걷는 '트리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번 선거에서도 경남 지역의 어려운 경제 상황이 주된 화두였다고 한다. 그런데도 대통령은 "경제 흐름은 견실하다"고 했고 경제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경제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는데도 "소득 주도 성장은 세계적으로 상당히 족보 있는 얘기"라며 계속 밀고 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당초 여권이 압승을 예상했던 창원에서 접전이 이어진 것은 정부가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탈원전 정책의 영향이 컸다고 봐야 한다. 원전 제작업체 두산중공업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선거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받았다. 선거 운동 기간 동안 범여권 후보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옹호했다. 노조계 후보가 유리한 지역이기는 하지만 탈원전 정책에 대해선 경고를 보낸 것으로 봐야 한다.

민심 이반은 정권의 오만과 내로남불의 영향이 크다. 집값 잡겠다면서 "살지 않는 집은 파시라"고 했던 정권이 부동산을 굴려 20억이 넘는 수익을 올리고 집을 세 채나 가진 사람에게 주택정책을 맡기겠다고 하는등 국민 정서와 한참 동떨어진 후보자들을 내놨다가 두 명이 낙마했는데 "뭐가 문제냐"고만 했다. 게다가 북한 대변인이나 다름없고 시정잡배 수준의 막말을 내뱉어온 통일부 장관 후보는 정권과 코드가 맞는다는 이유로 그냥 끌어안고 가겠다는 분위기다. 대통령은 인사 실패에 유감 표명 한마디 하지 않고 청와대 소통수석은 "집 세 채가 뭐가 문제냐"고 한다.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가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거금을 빌려 재개발 투자를 했다. 오만과 불통이 전 정부를 뺨치고 내로남불이 도를 넘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북한 비핵화는 가짜 쇼였음이 드러났는데도 정권은 북한 눈치만 보고 있다. 뭐 하나 국정 운영이 제대로 되는 게 없다. 선거 승패가 문제가 아니라 국정이 큰일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보선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국정을 쇄신해야 한다. 집권 세력이 '고작 두 군데의 선거 결과일 뿐'이라고 치부해 버린다면 다음 국회의원 총선에선 더욱 엄중한 국민의 심판이 내려질 것이다. 반면 이번 재보선의 작은 심판을 그동안의 잘못을 추스를 수 있는 경고 신호로 받아들인다면 국민은 문재인 정부에 임기 중반 이후 다시 한 번 기회를 부여할 것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04/201904040000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