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하늘밀리

C-130J 허큘리스(HERCULES)Ⅱ

21c-park 2007. 6. 27. 16:34

C-130J 허큘리스(HERCULES)Ⅱ 수송기

 

영국 공군의 C-130J기.

 

미국 공군의 C-130J기

형식
전술 수송/다용도 항공기.

프로그램
1951년 미공군의 신형 전술 수송기에 대한 수요 제기및 대체적인 규격 제기에 의해 탄생한 것이 오늘날까지도 미국과 동맹국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중인 허큘리스 수송기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의 첫번째 기종이 앨리슨社製의 T56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C-130A로, 미공군과 록히드社는 1952년 가을 최초로 이 기종에 대한 최초의 제작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기종의 처녀비행은 1954년 8월 23일 실시되었으며, 현재까지 허큘리스 시리즈는 2대의 YC-130 시제기, 231대의 C-130A, 230대의 C-130B, 491대의 C-130E, 1089대의 C-130H, C-130J의 도입이전에 제작된 L-100과 민수용의 L-100J 기종 113대가 제작되었다.
이로서 시제기를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2,156대가 1998년 C-130H 최종기체가 인도되기까지 제작되었다.

이후 미정부의 예산 도움없이 업체가 독자적으로 후에 C-130J(민간용은 L-100)로 명명된 허큘리스Ⅱ 수송기의 개발과 비행 테스트 프로그램을 1991년부터 시작했다.
1번기체(C/N 5408)인 동시에 초도 양산 제작 기체(즉, 시제기의 제작과정은 생략되어졌다.)의 제작을 위한 부품 제작이 1994년 3월 2일부터 시작되어 1994년 3월 19일부터는 앨리슨(Allison)社製의 AE 2100 엔진과 다우티(Dowty)社製의 R391 프로펠러를 장착하여 추진 시스템의 장착 특성을 테스트하고 프로펠러와 샤프트의 피로도와 소음, 진동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50시간 동안의 '단일 엔진 장착 시범기' 비행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이때 사용된 기체는 영국 공군(RAF)의 허큘리스 C. Mk 1(XV181) 기체였으며, 캠브리지의 마샬 에어로스페이스(Marshall Aerospace)社가 좌측편 안쪽에 평가용 엔진을 장착하였다.
영국 공군의 이 기종에 대한 관심은 1994년 12월 확정 주문 계약으로 귀결지어졌으며, 이때 최초의 영국 공군용 C-130J 기체(C-130J-30 허큘리스 C. Mk 4 ZH865, 시리얼 넘버-5408)가 1995년 10월 18일 죠지아州의 마리에타 공장에서 출고되는 것으로 예정되었었다.
영국 공군의 최초의 C-130J의 출고일 일주일을 앞두고 미국은 두대의 C-130J 기를 평가 목적으로 구매키 위해 주문계약을 체결하였다.
미국이 주문한 C-130J 두대는 각기 1996년 4월 5일과 6월 4일 처녀비행을 실시했다. 이후 영국 공군과 미국 공군의 C-130J 기(이 기종은 정확히 지적하면 공군 주방위군-Air National Guard-소속이다.)에대한 비행이 각기 1번씩 더 있었으며, 1997년 초 5번째 기체와 1997년 2월 15일 6번째 기체에 대한 비행이 실시되었다.
C-130J의 처녀비행은 에이니오닉스에 대한 인티그레이션 안정화 문제로 수개월 지연되기도 했다.
1996년 중반까지 처음 단계의 기체 4대(두대의 미국 공군 주방위군소속 C-130J와 두대의 영국공군 소속 C-130J-30)은 총 60번의 임무비행중 220시간의 비행시간을 기록했고 일년후 비행시간은 (추가로 제작된 영국 공군소속의 C-130J 3대와 미국 공군 주방위군 소속 1대와 호주공군 소속 2대의 기록을 포함해서) 1900시간을 상회하게 되었고, 다시 1998년 2월까지는 1,000번 이상의 임무비행 동안 2,500 시간을 상회하게 되었다.
이들 기체들에 대한 시험 운용 평가 비행은 중간에 수직미익 부분에 결빙 현상이 발견되는 등의 문제가 있은 끝에 1998년 3월에 완료되었다.

 

 록히드마틴社의 마리에타 공장에서 첫번째 출고되고 있는 영국공군의 C-130J-30기

이런 평가 비행의 목적에는 C-130J의 민수용 버라이언트인 L-100J기에 대한 미연방항공국(FAA)의 인증 획득을 위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FAA의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테스트 비행은 1996년 12월부터 시작되어 1997년 5월경 Pt 25 인증을 획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실제 Pt 25 인증은 11대의 L-100J 기종의 총 1,700 차례의 비행을 통한 4,300시간(이중 실제 인증 획득을 위한 것은 9대의 L-100J기가 기록한 4,100시간이다.)의 비행시간이 기록된 1998년 9월 9일에야 취득되었다.
영국에 공급될 첫번째 기체의 출고일은 1998년 8월 24일이었으며, 1998년 8월 26일 영국 Boscombe Down에 보내져 영국의 국방 평가 연구소(DERA-Defence Evaluation Research Agency)에 의한 평가작업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1998년 말까지 11대의 C-130J가 추가로 영국에 보내어져, 영국 캠브리지에 위치한 Marshall Aerospace社에 의해 영국 공군에 인도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실시되었다.
이때 보내진 기체중 1대(ZH873/N4242N)는 1998년 9월초 개최된 Farnborough Air Show에 전시되기도 했으며, 다른 1대(ZH871)는 11월 30일 Boscombe Down으로 보내져, DERA의 평가 프로그램을 적용받았다.

록히드마틴社의 C-130J 포스터.

한편 영국 공군에 작전용으로 인도된 첫번째 C-130J 기체는 1999년 11월 21일 Lyneham에서 영국 공군 수송부대에 인도된 ZH878 기체이다.
1999년 말까지는 총 22대의 C-130J가 영국에 인도되었으며, 이중 2000년 4월 중순까지 영국 공군이 인수받은 기체는 총 7대 이다.

C-130J기의 첫 작전 임무는 1998년 11월 말 록히드마틴社의 시험 조종사에 의해 달성되었다. 당시 C-130J기는 마리에타 공장으로부터 온두라스의 Tegucigalpa 까지 허리케인 구호 공급을 위해 총 37,560kg(8,3000파운드)의 물자를 공수하는 3번의 임무 출격을 완료했다.

이어서 1999년에도 미공군 예비사령부와 공군 주방위군, 그리고 영국 공군과 호주 공군의 작전부대에 대한 C-130J의 공급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을 유지하고 비행중인 C-130J기.

기종

C-130J
C-130J 시리즈의 기본 모델로 이전 기종인 C-130H와 그 크기가 비슷하나 신형의 장비를 탑재하였으며, 따라서 기체의 성능및 특성도 이전 모델과는 상이하다.
이 기종을 미국방부가 처음으로 주문한 것은 1994 회계년도 기간중이었으며, 이어서 1996 회계년도에도 다시 2대를 추가로 주문했다.
이들 4대의 기체들은 시험 평가를 위해 구입된 것이다.
미국방부는 97 회계년도와 98 회계년도에 작전용의 기체 8대를 추가 발주했으며, 이 기체들은 메릴랜드州 발티모아市에 위치한 마틴 스테이트 공항에 위치한 공군 주방위군 소속 제135공수비행대대에 배치되었다.
한편 미공군이 주문한 첫번째 C-130J 기체는 1999년 3월 31일 훈련용으로 미시시피州 키슬러 공군기지에 위치한 미공군예비사령부의 제403 비행전대에 배치되었다.

C-130J-30
이 기종은 C-130J의 동체연장형 기종으로 C-130J에 비해 전장이 약 4.57m 더 길다. 이에 따라 적재능력은 임무와 환경에 따라 최소 31%에서 최대 50%까지 증대되었다.
현재 영국, 호주, 이탈리아로부터 주문되었다.

EC-130J
이 기종은 영문으로는 `Commando Solo'라는 닉네임을 가진 기종으로 평시 혹은 전시에 적에 대한 '선무방송'용으로 제작된 '심리전 수행'기체로 미공군으로부터 두대의 제작에 대한 비용이 98회계년도에 승인되어 1999년 10월 17일 미공군에 인도되었다.
EC-130J기는 특수장비를 갖추고 모든 민간용의 AM, FM 라디오 주파수와 VHF, UHF TV 주파수 그리고 군용의 VHF, HF, FM 주파수를 사용하여 방송을 송신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으로 EC-130J기로부터의 방송전파는 민간지역이나 군사지역을 가리지않고 송신될수 있다.
즉 이 항공기는 VOA와 같은 미국 선전방송들을 미국이 의도하는 지역에 마구 뿌려대는 작업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 기체는 간단한 비행 테스트후 각종의 임무용 시스템 장착을 위해 다시 캘리포니아州 팜데일에 위치한 록히드마틴사의 스컹크웍스(Skunk Works)로 이송되었으며 2001년 2/4분기가 되어서야 펜실바니아州 해리스버그 공군에 위치한 연방방위공군 소속의 제193 특수작전비행대대 기체로 활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 기종의 3,4번째 기체 제작을 위한 예산이 99회계년도및 00회계년도 예산으로 반영되어 있다.

KC-130J
기종의 제식코드로 알 수 있듯이 이 기종은 미해병대용의 급유기종으로 두개의 공중 급유용 Mk32B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기존에 미해병대가 보유하고 있는 KC-130 급유기 시리즈의 최신형이라고 보면 된다.)
97회계년도중 3대의 기체 주문을 위한 예산이 반영되었으며, 이후 98회계년도와 99회계년도에 각 2대, 00회계년도에 각 1대의 주문을 위한 예산이 반영되었다.
첫번째 KC-130J 기체(165735)의 최종 조립은 1999년 3월 22일 시작되었으며, MCAS 체리 포인드에 위치한 미해병대 VMGR-252 공중급유/수송 비행대대 소속으로 배치될 예정이다.
이 기종의 후방동체/램프 아랫쪽에 텔레스코픽식의 급유봉을 장착할려는 연구는 중단되었다.
이 기종에 장착된 각 급유포드는 분당 1,136리터(300 US 갤론, 250 국제갤론)의 항공유를 대상기체에 급유할 수 있다.

미국공군예비사령부 소속의 WC-130J기.

WC-130J
C-130 시리즈는 미군에서도 여러가지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중 한가지 분야가 바로 기상관측용 기종으로 C-130J기 역시 기상관측용으로 WC-130J기를 내 놓았다.
이 기종은 공중 기상 관측사용 콘솔, 드롭존데(Dropsonde : 항공기로부터 낙하산으로 투하되어 기상을 관측하는 기구) 시스템 운용요원용 콘솔, 도롭존데 발사 튜브등을 갖추고 있다.
이 기종의 초기 공급분 4대에 대한 예산은 96회계년도에 반영되었으며, 이후 97회계년도에 3대, 98회계년도에 2대, 99회계년도에 1대의 구매 예산이 추가 반영되었다.
이 기종들은 모두 미시시피州 키슬러 공군기지에 위치한 미공군예비사령부 소속의 제53기상관측비행대대에 배속되어 있다.(혹은 배속되게 된다.)

 

 C-130J AEW&C기의 상상도.

 

 

 C-130J AEW&C기의 구조도

 

C-130J-30 AEW&C
1996년 9월, 록히드마틴社와 노드롭-그루만社는 국제적 AEW&C 시장에의 공동참여를 위해 공동 팀을 구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그 기본기체를 C-130J-30 기종으로 사용키로 했다.
이 기종에 탑재될 레이더 시스템으로는 AN/APS-145와 최신형의 UHF 레이더로 결정되었으며 임무 시스템으로는 E-2C 호크아이 AEW&C 기종에 사용되는 시스템의 파생형인 노드롭-그루만社 ESID 디비젼의 GroupⅡ+ 임무 시스템을 사용하기로 했다.
AN/APS-145 레이더는 동체 후방 상부에 설치된 파일론 위에 장착되며, C-130J-30의 카고데크부에는 전술 지령센터와 승무원 휴식용의 공간이 탑재된다. 전술 지령센터에는 7명의 운용자용 콘솔과 ESID GroupⅡ+ 임무 시스템이 탑재된다.

흔히 AURA 기종으로도 불리우는 이 기종은 오스트레일리아기 AWACS 기 획득을 위해 수립한 'Australian Project Air 5077 Wedgetail AWACS' 프로젝트 입찰에 참가하여 보잉/노드롭-그루만 팀과 레이디온/IAI 팀과 경쟁하였다.
결국 1999년 12월 보잉/노드롭-그루만 팀이 제시한 안이 선정된바 있다.(이 기종에 대한 설명은 본 홈페이지의 B737 AEW&C 항목에서 살펴보시기 바란다.)

C-130J-30 AEW&C 기종은 최대 이륙중량 79,380kg(175,000 파운드)으로 양쪽 주익의 아랫쪽에 두개의 보조연료탱크를 달고 시속 556km(300 해상마일, 345 마일)의 속도로 비행하며, 최대 13시간동안 임무 비행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국가
C-130J의 최초 사용국가는 이미 전술한 바 있듯이 영국 공군(RAF)로 1994년 12월 25일 주문되었다.
영국 공군이 주문한 기종은 영국 공군 제식명칭 C. Mk 4로 정해진 C-130J-30 기 15와 C. Mk 5로 정해진 C-130J 스탠다드형 10기이다.
영국 Boscombe Down에서의 평가를 위해 공급된 첫번째 기체의 공급은 1996년 11월로 예정되었었으나 실제 공급은 1998년 8월 26일 이었다.
영국 공군중 최초로 C-130J기를 인수한 곳은 제57예비비행대대이며, 이후 제24비행대대와 제30비행대대에 C-130J기가 배치되었다.
이들 부대들은 모두 Lyneham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들 작전 기지에의 공급은 1999년 11월 21일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첫번째로 공급된 C. Mk 4 ZH878기는 일시적으로 지상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이틀 뒤인 11월 23일에는 C. Mk 4 ZH875기가 Lyneham 기지에서의 공식 기념식을 거친후 인도되었다.
현재 까지 영국 공군에 의해 주문된 총 25기의 C-130J와 C-130J-30기는 2001년 중반기까지 공급 완료될 예정으로 있으며, 영국 공군은 이외에 5기종을 옵션 구매 대수로 잡아 놓고 있다.
이들 기종의 도입을 위한 총 계약액은 대략 10억파운드(10억파운드는 현 가치로 대략 15억달러에 해당한다.)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C-130J 기종의 두번째 고객은 미국으로 미공군이 1995년 10월 13일 두대의 C-130J기의 구매를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이것은 C-130J 1번기가 마리에타 공장에서 출고되기 일주일 전이다.
이후 96회계년에 2대, 97/98회계년도에 8대, 99회계년도에 3대가 공군예비사령부와 공군주방위군용으로 주문되었다.
공군주방위군으로 C-130J기를 된 곳은 발티모아州 마틴 스테이트 공항에 위치한 제135비행대대이다.
한편 미공군은 2001년 다시 2기의 C-130J기의 제작주문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C-130J기의 세번째 고객은 수년새 군사력 강화에 부쩍 열을 올리고 있는 호주로 1995년 12월 21일 12기의 C-130J기를 주문하였다.
호주 공군은 이 기체를 리치몬드州에 위치한 제37비행대대 소속의 12기의 C-130E기와 대체하여 배치할 예정이다.
호주공군의 총 계약액은 6억6천만 달러로 발표되었다.
호주 공군은 계약 내용중 24기의 옵션 구매대수를 포함시켜 향후 이에 대한 구매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호주 공군이 C-130J기를 주문할 당시 공급 가격상의 잇점을 위해 뉴질랜드 공군이 8기의 옵션 구매계약을 포함시켰다.

호주 공군용으로 공급될 C-130J기체중 C-130J기(A97-440/N130JQ, c/n 5440)가 1997년 2월 15일 처녀비행을 실시 하였으며, 호주 공군에의 공급은 A97-464 기체가 1999년 9월 7일 리치몬드州에 도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후 1999년 말까지 5대의 C-130J기가 추가로 공급되었으며, 모든 기체가 2000년 중반까지 인도될 예정이며, 제37비행대대는 2001년 초부터 100% C-130J를 기존의 C-130E와 대체하여 운용할 예정이다.

C-130J의 네번째 고객이자, 규모상 두번째 고객인 이탈리아는 현재까지 12기의 C-130J와 10기의 C-130J-30기를 주문한 상태이다.

이밖에 덴마크, 쿠웨이트, 포루투갈등이 현재 록히드마틴社와 구매협상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쿠웨이트의 경우 2000년중에 4기의 C-130J기를 주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노르웨이의 경우 기존에 보유중인 6기의 C-130H 기를 대체하기 위해 C-130J기의 구매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록히드마틴社는 C-130J기의 구매를 촉진시키기위한 일환으로 1998년 2월부터 8월가지 총 32개국에 C-130J 순회 행사를 가진 바 있으며, 130차례의 시범 비행을 실시했다.

C-130J-30 AEW&C 기종의 경우 스페인, 이탈리아, 터키등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격
미공군은 2001회계년도 예산에 두대의 C-130J 구매를 위해 1억4900만달러를 요청해 놓고 있다.
호주공군은 1995년도 주문시 대당 5500만 달러에 계약하였다.

설계특징
전형적인 전술 수송기인 C-130J기는 동체 후방이 RAMP의 장치를 위해 윗쪽으로 경사진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주익은 악조건에서의 이,착륙 성능을 좋게하기 위해 휠을 동체에 거의 붙여서 장착함으로써(※ 편집자 註 : 일반 여객기나 전투기처럼 랜딩기어를 길게 만들면 악조건의 활주로에서 박살나기 쉽다.) 주익에 장착되는 엔진에 연결된 프로펠러가 땅에 닿지않고 원활하게 회전 할 수 있도록 High-Wing 타입으로 동체 상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휠은 동체에 거의 붙어있다시피한 pannier-mounting 타입 랜딩기어에 장착된다.
인원및 수하물은 당연히 대형의 스윙식 램프를 통해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낙하산병의 공중 강하를 위한 사이드도어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C-130J 기종에 도입된 설계사상은 이미 30년간의 사용기간을 기록하고 있는 기존의 C-130 보유 고객들이 쉽게 C-130J 기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도록 최적화시킨다는 것이었다.(그러나 기체가격은 결코 만만치 않다.)
완전히 새로 설계된 플라이트 데크는 기존의 아날로그 계기판을 제거하고 4개의 MFD(MultiFunctional Display)와 두개의 HUD(Head Up Display)등을 채택하는등의 디지탈화를 적극적으로 반영시켜 조종사의 업무량을 대폭 감소시켰다.
플라이트 데크의 조명은 NVG(Night Vision Goggle) 장비의 채택에 알맞게 조절했다.
모든 비행계기는 미션 컴퓨터와 연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외의 유압 시스템과 같은 것들은 기존의 C-130H에 사용되오던 것을 그대로 채택하였다.
이밖에 자체 방어 장비의 적용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어 예컨데, 수요자 요구시에 후방감시레이더, 채프/플레어 발사기, 적외선 재머등을 쉽게 장치할 수 있다.
추진 시스템은 기존의 앨리슨社製 T560-A-15 엔진 대비 15%의 효율 상승과 29%의 추력이 증대된 롤스로이스-앨리슨社製의 AE 2100D3 터보프롭 엔진 4개를 장착함으로써 종전에 비해 대분의 임무 비행시 주익하면에 보조연료탱크를 달아야 하는 경우가 감소되었으며, 이에따라 적재량은 증가 될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 파트는 종전 대비 50%의 부품이 줄어들고, 중량 역시 15% 적어졌다.
각종의 부품을 단순화 하고 모듈화 함으로써 (미공군의 경우) 예컨데 C-130H 16대의 기체를 보유하고 있는 수송비행대대가 모든 기종을 C-130J로 교체할 경우 38%의 인원절감이 가능하다.

조종
모든 조종 계기는 디지탈식의 오토파일롯/플라이트 디렉터에 통합되어 있으며, 플랩이나 아일러론과 같은 조종면은 이중식의 유압시스템에 의해 작동된다.

구조
주익은 全鋼材로 제작되며, 플랩은 카본-화이버 복합재로 만들어지고, 트레일링 에지부의 판넬은 32 그라파이트-에폭시材로 제작된다.

추진체
C-130J기는 4기의 롤스로이스-앨리슨社製 AE 2100D3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각기의 엔진은 4,591마력(3,424 kW)의 출력을 가지며, 도우티 에어로스페이스社(Dowty Aerospace)製의 R391 6엽 복합재 프로펠러와 루카스 에어로스페이스社의 FADEC(full authority digital engine control)이 장치되어 있다.

이밖에 자동 출력 조종 시스템(ATCS-Automatic thrust control system)와 자동 프로펠러 각도 조잘장치(Autofeather System)과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EMS)가 기체의 자기진단 시스템(IDS-integrated diagnostic system)과 연계되어 있다.

공중급유를 받고 있는 영국 공군의 C-130J.

내부 연료탱크에는 압축 적재시(※ 편집자 註 : 여기서 압축 적재란 항공유를 진짜 압축시킨다는 의미가 아니라, 거품없이 항공유를 급유함으로써 더 많이 적재시킨다는 뜻이다.) 25,552 리터(6,750 US 갤런, 5621 국제 갤론)의 항공유를 적재할 수 있으며, 비압축식으로 적재할 경우 24,363 리터(6,435 US 갤론, 5,359 국제갤론)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주익의 하면에 각기 1개씩 장착할 수 있는 보조연료탱크는 각기 압축적재시 5,220 리터(1,379 US 갤론, 1,148 국제 갤론), 비압축적재시 4,883 리터(1,290 US 갤론, 1,074 국제 갤론)을 적재할 수 있다.
이로써 C-130J가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은 압축적재시 35,992 리터(9,508 US 갤론, 7,917 국제 갤론), 비압축적재시 34,129 리터(9,016 US 갤론, 7,507 국제 갤론)이다.
C-130J의 급유기종인 TC-130J기는 13,578리터 용량의 적재함 고정용 연료탱크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공중급유 시스템은 1개의 가압식 공중급유장치와 윙하면에 중력식의 공중급유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공중급유기로부터 공중급유를 받을 수 있는 프로브는 영국 공군용의 C-130J 기종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기타의 경우에는 옵션으로 제공된다.

규격 팔렛트에 얹혀져서 저공 강하되고 있는 M551 쉐리던 경전차의 모습.

(사진의 기종은 C-130H인 것으로 보인다.)

C-130J-130기의 적재 예시도.

C-130J기의 적재칸 바닥의 모습.(이와 같은 롤러는 팔렛타입의 적재대 적재시 사용된다

팔렛트에 실려 C-130기로부터 공중 강하되고 있는 수하물

승무원
플라이트 데크에는 조종사와 부조종사 두명이 탑승하며, 기타 필요시 1명의 요원이 더 탑승 가능한 스테이션이 준비되어 있다.
조종석은 수요국의 요구에 의해 적절하게 재조정이 가능하여, 좌석배치, HUD의 배치, 조종대의 배치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밖에 조종석의 아랫쪽에는 '갤리'가 있어 두개의 간이 침대와 3개의 좌석이 안전요원, 플라이트데크 승객등을 위해 제공된다.
영국 공군용의 C-130J기의 경우 로드마스터(수화물 적재요원)의 자리는 접이식 데크와 함께 적재칸에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것은 다른 국가에도 옵션 제공된다.
조종석과 갤리는 가압/공지정화등의 장치가 되어 있다.

일반적인 C-130J의 경우, 92名의 무장병력이나 64명의 공중 낙하병이나 74개의 환자용 들것+2명의 간호요원을 탑승시킬 수 있으며, 팔렛화 되어 있는 탑승용 좌석을 놓을 경우 54명의 추가 병력을 더 탑승 시킬 수 있다.
또한 C-130J-30의 경우에는 128명의 무장병력, 92명의 공중 낙하병, 97개의 들것+간호요원 2名을 탑승 시킬 수 있으며, 팔렛화 되어 있는 탑승용 좌석을 설치할 경우 79名의 병력을 더 탑승 시킬 수 있다.
기타 공중강하 적재능력이나 경장갑차량의 적재능력은 기존의 C-130H와 비슷하다.
C-130J의 경우 463L형 팔렛타입 적재대를 5개 적재 할 수 있으며, 램프를 오픈시킬 경우 추가로 1개를 더 적재할 수 있다.
C-130J-30의 경우 463L 팔렛타입 적재대를 7개 적재할 수 있으며, 역시 램프를 오픈시키고 비행할 경우 1개를 더 적재할 수 있다.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동체 후방의 램프는 기체가 463km로 비행하는 조건에서도 비행중 오픈 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동체 왼쪽편에는 승무원용의 도어가 별도로 붙어 있다.
또한 랜딩기어 수납부 뒷쪽에 있는 기체 양옆의 사이드 도어는 낙하병 강하시 사용된다.
이밖에 두개의 비상문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한편 미공군이 주문한 C-130J기의 경우 적재칸 부분의 Flush Mounted Winch, 램프부분의 공중 강하용 In-ramp Towplate, 저상 레일, 전자식 록킹 장치등이 옵션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밖에 옵션으로 프로그래밍에 의한 자동 강하 시스템을 장착 할 수 있다.

랜딩기어
전형적인 유압 신축식의 3축 타입이나 메인랜딩기어는 지주식이 아니다.(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다.)
각 메인 랜딩기어는 대형의 타이어가 종렬로 붙어 있으며, 비행시에는 동체내부로 들어간다.
Oleo 쇽압소버 타입의 노우즈 랜딩기어는 좌우로 60˚씩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C-130J의 최소회전반경은 노우즈 휠을 기준으로 11.28m, 윙팁을 기준으로 25.91m 이며, C-130J-30의 최소회전반경은 노우즈 휠을 기준으로 14.33m, 윙팁을 기준으로 27.43m이다.

시스템
많은 부분에 있어서 C-130H와 동일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나, 냉각용량은 30%정도 증대외었으며, 전기 조절 시스템은 디지탈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밖에 지상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 하니웰(Honeywell)社의 GTCP85-185L(A) 보조 전원 공급장치와 MIL-STD-1553B 디지탈 데이터 버스, 내장형의 이상상황 진단 시스템, BFGoodrich社의 공압식 결빙방지 시스템등이 장착되어 있다.

 

 C-130J기의 조종석 모습. 천장쪽의 투명한 햇볕 가리게 모양의 것이 HUD이다

 

HUD에 띄워진 각종 비행정보

에이비오닉스

통신장비 : 하니웰社의 com/nav/ident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인텔(Intel) 80960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된다.
이밖에 AN/ARC-222 VHF, HF/UHF 무선통신 장치, 내부통신용 인터콤, 피아식별장치(IFF)등이 기본장착 되며, 위성통신 시스템 장착을 위한 사전 준비가 되어 있다.
C-130J기에 장치되는 모든 통신 장비는 암호화된 비밀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레이더 : 노드롭-그루만社의 지상 매핑 기능이 포함된 AN/APN-241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플라이트 : HG-9550 레이더 고도계, AN/ARN-153(v) 타칸(Tacan), 디지탈 오토파일롯/플라이트 디렉터, 하니웰社의 GPS 기능 통합형 레이저식 관성항법 시스템, 도플러 속도 측정 센서, VOR, ILS, UHF/VHF DF, ADF, E-TCAS, 지상 충돌방지 시스템(GCAS-grou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글로벌 디지탈 지도 디스플레이가 기본 장치되며, 마이크로웨이브 착륙 시스템의 장치를 위한 준비가 제공 되어 있다.

계기 : 전술한 바와 같이 NGVs의 사용을 위해 설계당시부터 소위 Dark Cockpit 개념으로 제작되었다.
기본적으로 조종사와 부조종사를 위한 HUD가 제공되며, 4개의 152×203mm 크기의 다기능 천연색 LCD가 제공되어 비행계기 상황, 항법데이터, 엔진 정보등을 표시해주며, 5개의 58×76mm 크기의 흑백 LCD가 디지탈식의 셀렉터 역할을 한다.

임무장비 : 시에라 테크놀러지(Sierra Technologies)社의 AN/APN-243(v) 스테이션-키핑 장비가 제공된다.

자체방어 : 록히드마틴社의 AN/AAR-47 미사일 경보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으며(장착할 수 있도록 준비만 되어 있고, 필요시 별도 주문해야 한다.), 샌더스(Sanders)社의 AN/ALQ-157 적외선 대응수단 시스템과 BAe社의 AN/ALE-47 채프/플레어 발사 시스템, AN/ALR-56M 레이더 경보 수신기나 AN/ALP-69 고성능 레이더 경보 수신기등을 역시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다.
애초 영국 공군이 주문한 C-130J 기종에는 원래 미국산 장비들이 제공되었으나, 이후 레이더경보 수신기와 채프/플레어 발사 장치등은 현재 영국제 장비가 장착되도록 변경되었다.

기타 장비
미해병대와 이탈리아공군의 KC-130J기들은 주익 하면에 Mk 32B-901E 호스 포드 공중급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8월 4일 작성.

<제 원>

크기(외부)

W/S

40.41m

Wing Aspect Ratio

10.1m

전장

C-130J 29.79m
C-130J-30 34.37m

전고

C-130J 11.84m
C-130J-30 11.81m

수평미익 W/S

16.05m

메인휠간 너비

4.34m

프로펠러 직경

4.11m

강하용 도어 크기

높이 : 2.77m
너비
: 3.12m
지면에서 바닥까지 : 1.03m

메인 적재 도어 크기

높이 : 1.83m
너비
: 0.91m
지면에서 바닥까지 : 1.03m

비상구 크기

높이 : 1.22m
너비 : 0.71m

크기(내부)

적재칸 길이(램프 제외)

C-130J 12.19m
C-130J-30 16.76m

적재칸 길이(램프 개방하여 램프 포함)

C-130J 15.32m
C-130J-30 19.89m

너비

3.12m

높이

2.74m

각부 면적

주익

162.12m2

아일러론(각부 총계)

10.22m2

트레일링 에지 플랩(총계)

31.77m2

수직미익

20.90m2

러더(방향타)

6.97m2

수평미익

35.40m2

수평미익 엘리베이터

14.40m2

중량/부하

작전 기체 중량

C-130J 34,274kg
C-130J-30 35,966kg

최대 연료적재량

내부 20,819kg
외부(옵션) 8,506kg

최대 적재량

C-130J 18,955kg
C-130J-30 17,264kg

평상 이륙중량

70,305kg

최대 이륙중량

79,380kg

평상 착륙중량

58,965kg

최대 착륙중량

70,305kg

연료제외 기체중량

53,230kg

최대 주익하중

433.7kg/m2

성능

최대순항 속도

645km/h

최저속도(저고도 지상 강하시)

185km/h

해수면 고도에서의 최고상승 속도

640m/min

6,100m까지 도달시간

14min

항속고도

8,535m

66,680kg(147,000파운드)적재시 항속고도

9,315m

이륙활주 거리

930m

최대효율 이륙활주 거리

549m

58,967kg(130,000파운드)적재시 착륙활주 거리

427m

18,144kg(40,000파운드)적재시 항속거리

5,25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