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하늘밀리

AH-1W 슈퍼코브라

21c-park 2007. 6. 27. 16:40

AH-1W 슈퍼코브라

 

1985년이후 미해병대에서 사용중인 AH-1W 슈퍼코브라.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개관
올바른 공격기를 선택하는 것은 좀처럼 쉽지않은 일이다. 오늘날의 병장은 대부분의 경우 다목적의 능력을 요구하며 경제성면에서도 획득시의 가격은 물론 유지보수측면에서의 비용도 고려되도록 요구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사항을 꼼꼼히 따져볼수록 벨社의 AH-1W 슈퍼코브라를 선택해야 할 이유가 많아진다. 슈퍼코브라는 세계에서 가장 파워풀하며 가장 우수한 공격헬리콥터이다.
슈퍼코브라는 가장 폭넓은 무장 적재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동급의 공격헬리콥터 가운데 가장 저렴한 가격에 공급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미 해병대와 전세계의 다른 정예 군들이 슈퍼코브라를 선택한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벨社의 슈퍼코브라는 전세계에 존재하는 공격헬리콥터중 가장 높은 중량대 출력비를 자랑한다. 두개의 제너럴일렉트릭社製 T700-GE-401 터보샤프트 엔진은 총 2410kW의 출력을 내며, 이것은 가장 악조건의 환경하에서 조차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슈퍼코브라는 914m(3000피트)의 상공에서 4발의 TOW 혹은 4발의 헬파이어 미사일과 탄환이 장착된 포탑과 로켓을 만재한 채 머무를 수 있다(즉 호버링 할 수 있다는 뜻). 실제로 기준조건하에서 슈퍼코브라는 空對空 무장을 장착한채 단 한 개의 엔진을 사용하여 초당 4.1m의 속도로 이륙하여 상승 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공격헬리콥터라면 흉내도 내지 못할 성능이다.
효과적인 기능만큼이나 유지보수면에서의 효율도 뛰어난 슈퍼코브라 헬리콥터는 다른 공격헬리콥터와 대비하여 볼 때 최소한의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할 뿐이다.

뛰어난 환경 적응력및 실전 기록
슈퍼코브라의 내구성은 단지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의 의미 이상의 것을 가능케 한다. 전세계의 공격헬리콥터 가운데 슈퍼코브라만이 소금기를 머금은 바다나 모래먼지가 휘날리는 사막과 같은 열악한 조건하에서의 작전가능성이 높은 해병대에서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조종석 주변은 장갑으로 보호되며 연료공급 시스템은 그자체가 23mm 크기의 파편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밖에 이중의 레이더 경보시스템, 적외선 재머, 이중의 채프 발사기, 적외선 효과 저감용 페인팅등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 시스템들이 채택되어 있다.
미해병대는 공격헬리콥터 기종선정 작업에서 AH-64 아파치대신 AH-1W 슈퍼코브라를 선정하였으며 이것은 미해병대의 가혹한 작전환경을 만족시키는 최소한의 인원과 비용으로 얻을 수 있는 슈퍼코브라의 적 제압을 위한 공중 화력지원능력, 對戰車/對空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편집자註 : 일반적으로 미해병은 미육군에 비해 예산배정이 박해 육군장비 대비 한그레이드 떨어진 장비를 보유하는 경향이 없지않다.)
미해병이 최고를 요구하는데 결코 주저하지않는 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공격헬리콥터의 실전 테스트는 물론 전장에서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사막의 폭풍작전시(※ 편집자註 : 미국은 신형병기의 실전테스트를 이용하는데 이라크를 마음껏 이용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신형 무기 테스트 비용을 이라크에 지급해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일례로 1999년 5월 중순경 코소보에 덜어뜨린 송전/발전 설비 파괴용의 카본-화이버 폭탄은 이미 1991년 이라크의 발전설비에 대해 테스트 된 바 있으며, F-16기GPS를 장착해서 실전 테스트를 벌인것도 사막의 폭풍 작전이 최초였다.) AH-1W 슈퍼코브라는 공격헬리콥터 작전의 20%미만의 출격비율을 기록했지만, 총 비행시간의 50% 이상을 점유했다.
사막의 방배/사막의 폭풍 작전 기간을 통틀어 슈퍼코브라는 다른 어떤 공격헬리콥터에 비해 월별 항공기별 비행시간면에서 3배이상 활동하였다.
100시간동안의 작전수행 시간을 기준으로 92%의 작전 수행율을 기록했으며 이것은 다른 공격헬리콥터의 작전수행율에 비해 24%이상 높은 것으로 당시 슈퍼코브라는 제작사에 의한 어떤 유지보수 지원도 받지않았다.
아마 가장 인상적인 것은 이런 기록이 어떤 현대적 병기들조차 경험해보지 못한 가장 불리한 조건하에서 쌓아 올려졌다는 것이다.
체감온도는 지속적으로 57∼63。를 유지했으며, 대단히 작은 파우더와 같은 모래알갱이와 먼지가 지속적으로 사람과 기계를 공격하는 상황이었다.(※ 편집자註 : 실제로 사막의 폭풍 작전 당시 연합군은 총구에 끼는 모래먼지로 인한 작동불량을 막기위해 콘돔으로 총구를 씌우는 고육지책을 쓰기도 했다. 근데 사막에 전쟁을 하러가면서 콘돔은 왜 가져갔나?)
이런 환경하에서 미해병대는 AH-1W 슈퍼코브라를 사용하여 적 탱크 97대와 장갑차 104대를 파괴했으며, 16개의 벙커와 두개의 공항 포병대를 붕괴시켰다.
그것이 주간이건 야간이건 혹은 불리한 기상여건이건 AH-1W 슈퍼코브라는 작전에 참가할 수 있으며, 슈퍼코브라가 장비하고 있는 FLIR(Forward-Looking InfraRed-전방감시 적외선 장비)와 레이져 거리측정기/디지네이터, 자동 표적 추적기, TV와 비디오 레코더등으로 통합되어 있는 야간 타게팅 시스템(Night Targeting System)은 현재의 TOW 미사일헬파이어 미사일시스템을 사용할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야간 시야용의 고글과 통합되어 있는 HMD(Helmet-Mounted Display)는 미사일의 타게팅용과 항법용으로 사용될뿐 아니라 포탑의 조종을 위한 조준시스템으로도 사용될수 있는 가장 현대적인 장비이다.
정확한 표적 위치화를 위해 슈퍼코브라의 항법시스템은 도플러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폭넓은 무장 탑재능력
어떤 공격용 헬리콥터에 대한 진정한 테스트는 그 헬리콥터가 전장까지 배치될수 있느냐로부터 시작된다. 장거리로부터 출격하여 적 기갑부대나 기계화되된 군사력을 발견하여 파괴하도록 설계된 슈퍼코브라는 뛰어난 다양한 화력전개능력면에서 다른 기종들과는 비교될수 없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슈퍼코브라는 TOW헬파이어에 의한 이중의 對裝甲 능력을 갖춘 전세계에서 유일한 공격헬리콥터이다.
헬파이어 미사일은 重裝甲 차량과 단단하게 방호되는 시설물들을 6km떨어진 곳에서 효과적으로 격파 할 수 있으며, 레이져 표적 조명기능과 조합되어 사용될 경우 슈퍼코브라 운용요원은 fire-and-forget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생존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NTS(Night Targeting System-야간 타게팅 시스템)은 슈퍼코브라로 하여금 자동화/자동 표적 분류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먼지와 매연, 모래바람 혹은 다른 환경조건에 의해 레이져 유도식의 헬파이어 미사일을 사용하기가 곤란해질 경우에는 유선유도식으로 3km의 사정거리를 갖는 TOW 對戰車 미사일을 사용 할 수 있다.
슈퍼코브라는 또한 전형적인 70mm 로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수많은 자탄을 가진 탄두가 장착 될 수 있다.
또한 2km이내의 근접거리에서는 20mm 3연장 회전포신을 가진 개틀링 건을 사용하여 적 표적을 제압할 수 있으며 20mm 탄환은 750발 적재된다.
개틀링 건은 전방에 장착되어 조종수는 손쉽게 AH-1W를 기동시키며 개틀링건을 사격 할 수 있다. 조종수 이외의 다른 승무원도 역시 HMS를 사용하여 표적을 바라보며 사격을 가 할 수 있다.
이밖에 선택적으로 12.7cm Zuni 로켓 폭탄과 마베릭 對地 미사일을 사용 할 수 있으며 空對空 병장으로는 사이드와인더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슈퍼코브라는 사이드와인더 空對空 미사일과 사이드암 對레이더 미사일을 발사 할 수 있는 최초의 공격헬리콥터이다.
어떠한 공격헬리콥터도 슈퍼코브라와 같은 정도로 다양한 무장을 장착 할 수는 없다.

 
  1999년 10월 3일 개최된 공군 창군 50주년 기념 에어쇼에

 전시된 우리 육군의 AH-1기종의 건 튜렛부의 모습이다

 

향후 성능 향상 계획
벨 헬리콥터社의 엔지니어들은 지속적으로 AH-1W 슈퍼코브라의 성능개선작업에 종사하고 있다.
다음의 사항들은 곧 또는 멀지않아 사용 가능하게될 슈퍼코브라의 새로운 기능이다.

기계적인 면에서 슈퍼코브라의 4개의 블레이드를 가진 로터시스템은 장래에 힌지부위도 없으며 베어링도 없는 분리할 수 있는 조립파트가 몇개되지 않는 혁신적인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될것이다.
두개의 복합적인 요크(Yoke)가 많은수의 베어링과 핑 스트랩(ping strap), 그립(grip)과 힌지를 대체 하게 될것이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준비하여할 스페어 파트는 70%까지 저감되며 유지보수 역시 대폭 간단해 진다.

네개의 블레이드는 단순히 유지보수 측면에서만 이점이 가해지는 것은 아니며 10000시간동안의 사용시간이 보증되며 탄도 화력에 의한 생존성이 강화되어 23mm탄에 의한 직사에 견디며 작전을 계속 할 수 있다. 이 블레이드들은 AH-1W 슈퍼코브라의 적재시 중량보다 2배이상의 부하를 견딜 수 있게 설계되었다.

획기적으로 저하된 진동은 조종사에게 훨씬 더 좋은 응답성과 기동성을 제공하게 해준다. 높은 G 부하에서도 순항과 최대속도로 비행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밖에 Wing storage의 개선으로 종전에 대비하여 두배의 무장을 적재 할 수 있다.

또한 공중 표적 이관 시스템(Airborne Target Handover System)이 새로 설치되면 OH-58D나 AV-8B 헤리어기등 미해병이 보유한 항공장비에 슈퍼코브라가 획득한 표적에 대한 정보를 넘겨서 대신 처리케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이밖에 레이져 경보장치와 미사일 경보장치와 엔진 적외선 방출 억제 장치등의 적 탐지장비에 대한 대응 수단이 추가될 예정이며, 다기능 디스플레이와 미션 데이터 전송장치와 온보드식의 자가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이 갖추어진 조종석 개선사항은 조종사의 업무를 경감시켜 줌으로서 슈퍼코브라의 공격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 시켜 줄것이다.

결론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이 전세계에서 가장 경험많은 헬리콥터 제조사이기때문에 가능한 서비스에 의해 지원 받을 수 있다는 것은 AH-1W를 선택해야 할 많은 이유중의 하나이다.

 

AH-1 씨리즈의 최종 진보화 모델 AH-1Z

아랫글은 AH-1Z에 대한 내용으로 이글 역시 벨 핼리콥터 텍스트론社의 싸이트에 있는 내용을 거의 그대로 옮긴것이다.
어쨌든 자기네 싸이트의 모든 이미지와 텍스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 벨社의 웹마스터에게 감사한다.
다른 한편으로 자기네 싸이트의 내용을 사용하는 것은 '범죄행위'라며 당장 삭제 할것을 요구해온 '시콜스키'社의 처사는 솔직히 이해 할수 없다.
물론 나역시 그들의 정책이 그렇다는 데야 할말이 없고, 또 엄연히 그네들의 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시콜스키에 있기때문에 RAH-66 코만치 항목에 있던 세개의 그림을 삭제했다.
사실상 공짜로 한국어로 자기네 제품 선전해 주겠다는데, 그걸 범법행위 어쩌구하면서 삭제를 요구하다니, 엄청 웃기는 애들이다. 그렇다고 그걸 가지고 내가 무슨 상행위를 하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戰場에서 테스트된 이점
지난 35년이상의 세월동안 AH-1 코브라 시리즈 헬리콥터들은 전세계의 조악한 전장 상황에서 효율성을 입증해왔다.
은 러시아의 텐덤식 무장 헬리콥터를 제외하면 전세계 헬리콥터 시장에서 70%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런 자랑스러운 유산은 AH-1Z이라는 벨의 최신형 공격 무장 공격 헬리콥터의 개발에 의해서 지속될 것이다.

입증된 디자인, 최신의 기술
AH-1Z은 입증된 AH-1W 기체의 신뢰성에 혁신적인 새로운 복합재질의 네개의 블레이드로 된 메인로터와 테일로터, 제너럴 일렉트릭社의 T700 시리즈 엔진의 인상적인 성능, 완전히 통합된 무장과 에이비오닉스 시스템이 더해지는 형식을 띄게 될 것이다.
AH-1Z의 조종석은 예술적 경지의 조종석 설계에 의한 (인간과 기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휴먼-머신級으로 통합된 진보된 기술인 MEP(mission equipment package)를 통하여 미래의 디지탈화된 전장에서의 작전 운영을 최대로 발휘하게 해줄 것이다.
시스템 집적화와 생산 처리과정의 최신의 기술이 결합된 입증된 전투 기체설계의 조합은 현재와 미래의 戰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최신의 무장 정찰 헬리콥터를 창조케 했다.
AH-1Z은 다중임무 수행능력과 선택적 화력면에서 현재의 무장 헬리콥터를 뛰어넘는 뛰어난 개선사항들을 제공한다.

 

세계에서 가장 기능적인 조종석
AH-1Z의 조종석은 세계 최고의 기능을 자랑하며, 호환성있는 집적화된 핼리콥터 승무원석이며, 최신의 혁신적인 글래스 칵핏식 설계가 적용되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속화된 의사결정 도움을 위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사용등의 임무 지향적인 자동화는 승무원의 업무량을 줄여줌으로써 임무 효율을 눈에 띄게 개선시키게 되는 한편 승무원이 그들의 상황인지를 즉각적으로 할수 있게 해준다.
AH-1Z 승무원석/MEP는 예술적 경지에 도달한 통신, 항법, 사격관제장비등의 특성을 가지는 최신의 칵핏 설계분야에서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社이 오랜기간동안 축적해온 경험의 산물이다.
각 조종석에 마련되어 있는 두개의 대형의 고해상도 총천연색의 다기능 디스플레이(MFDs : multifunction displays)는 모든 임무와 비행 정보가 단 한번의 버튼 조작만으로 표시되도록 해준다.
별도로 장치된 풀스케일의 알파벳타입의 키보드와 좀더 제한된 기능의 디스플레이는 MFDs를 보충한다.
AH-1Z은 IHMDSS(Integrated Helmet Mounted Display and Sighting System-집적화된 헬멧 장착식의 디스플레이와 조준 시스템)과 통합되어 있다.
IHMDSS는 헬멧에 탈착 가능한 저광량 이미지 집중 카메라(low light image intensification - I2)를 포함한 AH-1Z에 장착된 모든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나타 낼 수 있다.
IHMDSS는 투사된 이미지위에 비행 계기상황과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되는 심볼이 위에 겹쳐져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AH-1Z은 또한 움직이는 고충실도의 3차원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DMS(digital map system)와 비행경로, 항법 데이터, 사전계획과 응급 대응상황을 위한 상호대비 정보등을 제공해주는 집적화된 임무 계획 시스템을 통합한다.
AH-1Z은 조종사와 무장운용요원사이에 상호 임무 교환을 가능케 해주는 텐덤식의 칵핏 환경을 가지고 있다.
승무원사이의 공격임무와 비행의 협동은 직접적이며, 간단하고 뚜렷하다. 칵핏의 외부 시야성은 오늘날 사용되고 있거나 개발중인 다른 어떤 무장 헬리콥터보다 뛰어나며 전방의 조종석은 실질적으로 매우 자연스러운 시계를 확보 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조종석의 조종칸은 전통적인 센터장착형 스틱식 조종대가 아닌 사이드 장착형 스틱식으로 조종성을 좋게 해주는 한편 SCAS(Stability and Control Augmentation System)은 획기적으로 조종사의 업무 강도를 줄여준다.

 
 AH-1Z의 무장장착 능력을 보여주는 사진

 

공격헬리콥터중 최고의 타게팅 능력
벨社는 최근 록히드마틴을 AH-1Z에 장착될 TSS(Target Sight System)의 공급자로 선정하였다.
TSS는 예술적 경지에 도달한 주야간 운용시 확대된 범위에서 표적 탐지, 인식, 분류를 제공하는 전자-광학식 센서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TSS의 능력은 특히 다중 임무 요구에 부합되도록 되어 있다. TSS는 헬파이어 미사일이 공격 임무수행시에 가진 모든 능력을 수행하도록 해주며 적방공망 바깥쪽에서 정찰임무가 수행되도록 해준다.
TSS는 임무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기때문에 로켓과 개틀링건의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TSS의 통합은 또한 AH-1Z이 획득한 표적에 대한 정보를 인근의 우군에 이관하여 대응할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오늘날 디지털화된 전장 환경에 완전히 적응될 수 있도록 해준다.
TSS는 임무용 손잡이나 또는 IHMDSS를 착용한 다른 승무원의 손동작에 의해서 구동된다.
일단 작동자가 표적을 탐지하면, 방위각/고각/거리가 AH-1Z의 임무 컴퓨터에 기록된다. 기록된 정보는 지상의 협력 세력이나 표적권에 접근한 다른 항공기의 DMS에 전달되어, 표적에 대한 정보는 다른 항공기나 지상세력에 이관된다.
임무 컴퓨터내에 저장될 수 있는 표적은의 수량은 단지 임무 컴퓨터내의 시스템 메모리에 좌우될 뿐이다.
표적을 탐지하고, 인식하고, 분류하기위한 TSS의 FLIR(전방감시 적외선 장비), TV, 레이져 디지네이터/거리측정기의 능력은 AH-1Z이 탑재하고 있는 무장의 최대사정거리를 훨씬 뛰어 넘는다.

생존성
AH-1Z은 최신의 EWSP(electronic warfare self protection-전자적 병장자체방호) 장비를 가지고 있으며 탄도학적으로 강화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현대의 위협적 무기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또한 추락시를 대비하여 AH-1Z은 화재에 의한 피해를 방지해주는 충격방지 연료시스템과 사고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해주는 충격방지 좌석을 갖추고 있다.

 
 T700-GE-401엔진의 모습.

 

제너럴 일렉트릭社製의 T700-401 엔진
모듈러식 설계개념하에 제작되는 엔진인 제너럴 일렉트릭社의 T700-401 시리즈는 수개기종의 군용 헬리콥터에 사용되어 오면서 입증된 신뢰성과 뛰어난 연비성능을 가진것으로 폭넓게 인정되고 있다.
AH-1Z은 두개의 T700-GE-401 터보샤프트 엔진을 장착하여 항상 운용자의 임무 요구를 만족시키고도 남는 충분한 파워를 가진다.

복합재질의 無베어링 형식의 메인 로터
無베어링 형식의 복합재질로 된 메인 로터 시스템은 이미 1980년대 초반 벨社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고 현재 벨社의 민수용 헬리콥터인 Bell 430 헬리콥터에 적용되고 있다.
이런 특징적인 로터시스템의 성능을 기반으로 하여 미해병대는 미해병의 새로운 AH-1Z 헬리콥터에 적용키로 했다.
이 독특한 로터 시스템은 전례없는 기동성을, 충분히 늘어난 속력, 부드러운 탑승성, 더욱 안정화된 무장 플랫폼, 뛰어난 신뢰도를 제공한다.
이것은 또한 승무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전투 임무 효율을 높이게 될 것이다.
메인로터의 허브部는 두개의 복합재질로 된 요크(Yoke)로 조립되는 無베어링 어셈블리, visco-elastic 댐퍼, elastomeric shear restraints, pitch horns, pitch change adapters, composite cuffs, blade retention bolts, drive bushings, splined drive plate, upper/lower flapping stops로 구성된다.
네개의 블레이드를 가진 복합재질의 無베어링 메인로터는 AH-1Z에 뛰어난 기능과 높은 적재능력을 제공할 것이다.

극도로 가혹한 해상환경을 위한 뛰어난 품질수준
AH-1Z은 가장 가혹한 해상환경에서도 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H-1Z의 기체는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의 운용을 고려하여 조립되었으며 예를 들어 변속기 케이스는 알루미늄으로 되어 녹 발생을 방지할수 있게 되어 있다.
에이비오닉스와 전자 시스템에 더하여 AH-1Z의 엔진은 제작단계에서부터 선박건조시에 적용되는 전자기 환경에 대한 방호 능력을 가지는 등 함정상에서의 운용을 위하여 완전히 해상화 되었다.
AH-1Z은 또한 Ah-1Z만의 반자동식 메인 로터 블레이드 접힘 장치를 가지고 있어서 한정된 장소에 쉽게 옮겨져서 격납될수 있다.

전장에서의 유지보수능력의 극대화, 낮은 운용 비용
AH-1Z은 엔진과 기체 모두 유지보수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제작된다. AH-1Z은 전장에서 기본적인 장비만으로 유지보수하기 쉽도록 설계되었으며, 또한 유지보수없이 운용할수 있는 기간이 어느 공격헬리콥터보다 길어 결과적으로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기대 할 수 있다.
이런 AH-1Z의 특성은 그간 쌓아온 AH-1의 낮은 유지보수 비용의 명성을 그대로 이어갈 것이다.

임무효율, 전장에서 테스트된 높은 임무 달성도
AH-1Z은 뛰어난 표적 획득/무장 장착, 저고도에서의 빠른 속력으로 비행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무장 화력 지원, 다양한 무기 사용을 통한 裝甲 목표물이나 병력대한 공격, 병력 수송및 병참수송 헬리톱터에 대한 호위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AH-1Z은 비행 승무원에 의해 위의 임무중 한가지 목적에 부합되도록 즉각적으로 재환경 설정 될 수 있다.
AH-1Z은 주야간 구분없이, 기상조건에 상관없이, 사전에 준비되었거나 그렇지않거나 이들 임무를 달성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 관련소식 게시판 관련 항목 :
AH-1Z 처녀 비행 실시.
AH-1Z, UH-1Y 비행테스트 프로그램 지속.

<AH-1W의 제 원>

일반제원

전장 : 13.9m
전고 : 4.02m
로터직경 : 14.63m
자중 : 5534kg(4953kg)
최대중량 : 7620kg(6690kg)
내부연료적재량 : 1250kg(946kg)
최대무장탑재량 : 1775kg(753kg)
HOGE(Hovering out of ground effect) 총중량 : 7530kg(4672kg)

성능

최고속도 : 389km/h(315km/h)
순항속도 : 3000피트(914m), 화씨 91.5도조건에서 274km/h(254km/h)
순항속도 : 4000피트(1219m), 화씨 95도조건에서 254km/h(243km/h)
최대항속거리 : 647.7 km(20분 비행가능한 보조연료탱크 포함하여)
최대항속시간 : 3시간 30분(2시간 48분)(20분 비행가능한 보조연료탱크 포함하여)
최대 g-load : +3.2g(+2.5g)
최소 g-load : -0.5g(+0.5kg)
최고수직 상승 속도 : 530m/m(197m/m)(3000피트고도에서)
최고수직 상승 속도 : 422m/m(129m/m)(4000피트고도에서)

엔진

제너럴일렉트릭社製 T700-GE-401 터보샤프트 엔진 2개

 

 

'현대전쟁병기 > 하늘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767 AWACS. 조기경보기  (0) 2007.06.27
아파치 헬기  (0) 2007.06.27
작지만 강한 놈들  (0) 2007.06.27
C-130J 허큘리스(HERCULES)Ⅱ  (0) 2007.06.27
EA-6B 프라울러(PROWLER : 배회자, 좀도둑)  (0) 2007.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