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H-64D
개요 AH-64 아파치 헬리콥터는 1970년대 구소련의 증강되는위협과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의 대 기갑부대에 대항하고 베트남 전쟁에서의 교훈을 바탕으로 미 육군은 공격 헬리콥터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프로젝트팀을 가동시켰다. 진전이 된 것은 1965년의 AAFSS(신형 항공 화력지원 시스템) 구상을 발전시켜 1972년의 AAH(Advanced. Attack Helicopter) 선진 공격 헬리콥터 개발계획이 정식으로 개시 되었을 때이다.
AAH계획에 참가한 회사는 보잉사(Boeing) 록히드사(Lockeed) 시콜스키사(Sikorsky) 휴즈사(Hughes) 벨사(Bell)의 5개 회사였다. 그 결과,국방성과 미 육군은 벨사와 휴즈사의 설계안을 채택하여 벨사의 AAH 계획안을 YAH-63A , 휴즈사에는 YAH-64A의 명칭을 주어 시험 제작기 개발을 주문 하였다. 1975년 양 회사의 원형 시험 제작기는 첫 비행을 성공시켜 1976년 6월부터 육군에서의 본격적인 평가시험이 행해진 결과 1976년 12월 10일 휴즈사의 YAH-64A가 채택되었다. 채택된 휴즈사의 YAH-64는 AH-64의 형식명칭이 붙여져 1984년 1월 26일에 양산 1호기가 육군에 인도되어 양산 14호기부터 부대 배치가 시작되었다. 휴즈사는 그후 1984년에 맥도널드더글라스사 산하에 들어가게 되고 맥도널드더글라스사는 1997년에 보잉사로 합작, 현재는 보잉 AH-64 아파치로 불리운다.
현재는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를 탑재한 최신형의 AH-64D 아파치,·롱보우와 레이더가 탑재되지 않은 AH-64D 아파치, 구식화한 D형으로 개량된 A형이 있으며 2003년부터 D형 아파치 롱보우의 발전형 블록II의 배치가 전개되고 있다.
아파치 시리즈는 미국 육군 외에도 사용되며 D형 아파치 롱보우를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이스라엘(18기) , 영국(67기:명칭 WAH-64D) , D형 아파치를 채용하고 있는 것은 싱가폴(8기),네델란드(30기) , A형 아파치는 사우디아라비아(12기),이집트(36기),UAE(30기),그리스(20기) 등이 보유하고 있다. A형에서 D형으로 개량 예정인 것이 UAE의 30기,그리스 12기,쿠웨이트 16기(일부 사양이 다르다 )의 도입을 결정,부대배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2001년 8월 27일에 육상 자위대가 현재 보유중인 AH-1S의 후계기로서 차기 공격 헬리콥터 AH-64D 아파치 롱보우를 선정,중기 방위정비계획 기간중에 10기를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60기의 도입을 예정하고 있다.
■[AH-64A 아파치] AH-64아파치의 개발은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의 기갑부대를 격파할 수 있는 대전차 병기의 탑재 능력과 베트남 전쟁과 구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으로 드러난 헬리콥터의 생존율의 취약성을 철저하게 개선했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야간 전투시의 교전 능력과 거기에 따른 기동성의 확보를 들수 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비교적 높은 고도를 비행하는 헬리콥터(수송용)는 구소련제 보병용 휴대용 대공 로켓 SA-7의 절호의 목표가 되어 전쟁 기간중 약 5000기에 이르는 손실이 있었다. 이 때문에 특히 공격 헬리콥터는 저공 침입 능력에 중점이 놓여지고 LLF (*1), CF (*2), NOE (*3)비행을 할 수 있고 다른 공격 헬리콥터와 각개 공중전을 행할 수 있는 운동 성능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한 신형 양산형 AH-64A형은 압도적인 공격력과 양호한 생존률의 추구, 고 기동성에 의해 구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운용한 공격 헬리콥터의 개념과는 다른 대전차 공격 헬리콥터의 지위를 확립했다. 실질적으로는 육군 해병대에 채용된 AH-1G(휴이코브라/시코브라)의 후계기로서 자리잡고 있지만 베트남 전쟁중에 필요를 느껴 전장에 투입된 AH-1G와는 달리 최초부터 공격 헬리콥터로서 설계된 것이 AH-64 아파치이며 결정적인 차이는 AH-64A 아파치의 전천후·야간 저공 침입 전투 능력이다.
AH-64A 아파치는 1991년 1월의 걸프전쟁에 288기가 실전 투입되어 개전벽두에 이라크와 쿠웨이트국경 서쪽의 지상 레이더 시설을 파괴하여 미 기갑부대의 진입로를 확보하고 이라크군 주력전차(T-72, T-64)와 다른 궤도차량 500대 이상,장갑차 300대 이상, 공격·수송헬리콥터 12기,고정익기10기,최대 주요 파괴 목표인 진지 65개소를 파괴하는 대전과를 올려 최강 공격 헬리콥터의 자리를 입증했다. 걸프전쟁으로 공격 헬리콥터의 높은 유용성이 실전에서 증명되었지만 그것은 미 육군으로서는 전쟁 전부터 검토되고 있던 AH-64A 아파치의 발전형을 개발 개량을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걸프전쟁 후 미국방성 및 미 육군은 AH-64A 아파치의 능력 향상 프로젝트에 착수, 그 목적을 걸프전쟁으로 표면화된 아군끼리의 교전 및 오발을 방지하는 일과 공동 교전 능력을 부여시키는 일로 효율적인 공격에 의해 한층 더 전투력을 향상 시키는 일이었다.
미 육군에서는 AH-64A형 아파치에 공동 교전 능력을 부여하기 위해 대용량 고속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통신시스템 SINCGARS(Single Channel Ground & Airborne Radio System) 단일 채널·지상/공중 통신 장치를 탑재하는 일로 디지털 암호화된 음성이나 지도·문자 정보를 VHF의 주파수 모드로 송수신 되어 거기에 따라 조종석의 디스플레이를 개량하는 일이다. SINCGARS의탑재에 의해 동일 시스템을 탑재한 다른 병종과의 정보교환이 긴밀하게 이루어져 아군 부대의 상세한 정보와 공격 목표의 선별이 간편화 되어 걸프전쟁에서의 피의 교훈을 되살렸다. 이 개량형은 AH-64B형으로 호칭되었지만 시험기로서의 특색이 강하고 이 후, 각종 아비오닉스를 강화한 AH-64C형과 단독 전투 능력에 특화한 롱보우 레이더를 탑재한 AH-64D형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1)LLF(Low Level Flight) 저공비행 레이더 탐지나 지상부로부터의 발견을 피하기 위해 고도 60m 이하로 비행하는 방법으로 주로 아군 세력권에서 이동시에 행한다. 장애물이 적기 때문에 고속으로 순항할 수 있고 연비에도 좋고 시간적 손실도 적다. 때문에 아군 부대의 지원 요청이나 긴급히 적의 공역내를 이탈할때 등의 고속 이동시에 이용한다.
(*2)CF(Contour Flight) 지형 추종비행(등고선 비행) 적의 공역으로 진입하는 전술 기동으로서 적으로부터의 발각,공격을 피하기 위해 고도15m~30m의 낮은 고도로 지표를 스치듯 비행하며 장애물이 있는 경우는 그것을 피하듯이 지형에 따라 비행하는 방법.
(*3)NOE(Nap of the Earth) 초 저공 포복비행 자신의 기체를 노출하는 일 없이 목표로 접근할 때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고도를 지표로부터 15m 가까이 초 저공 비행하며 장애물은 우회하여 통과한다.
■[AH-64D 아파치 롱보우] AH-64A형 아파치로부터 C형과 D형의 개량은 대규모로 게다가 다방면에 걸쳐 개량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C형은 각종 아비오닉스와 엔진,제2세대 헬 파이어 대전차미사일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개량하고 D형은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사의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가 탑제되며 AH-64D 롱보우아파치라고 호칭된다. C형도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를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나중에 AH-64D형으로 변경되고 이 기종도 AH-64D 아파치라고 호칭되게 되었다. AH-64D 아파치 롱보우는 AH-64 아파치 시리즈의 최신형으로 메인로터 마스트상에 AN/APG-78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가 탑제되어 256개의 목표를 동시에 탐지하여 목표의 종별의 특징이나 위협도를 판정하여 공격 우선 순위의 판정을 즉석에서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전술정보는 SINCGARS에따라 다른 동일 시스템을 탑재한 부대등에 송신되어 상급 사령부가 외부 센서로 밖에 얻을수 없었던 각종 정보를 공유 할수있어 효율적인 공격을 할수가 있고 부대간에도 긴밀한 작전을 행할 수 있다.
AH-64D 아파치 롱보우에 탑재된 밀리파 레이더는 Longbow Fire Control Radar System:LFCRS 롱보우 레이더 화기 관제시스템으로 불리며 AGM -114L 헬 파이어II 대전차 미사일이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에 의해 유도되는 방식으로 완전한 공격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AH-64A형 아파치에서는 세미 액티브 레이저 유도 방식의 AGM-114A 헬 파이어가 사용되어 목표의 공격에는 레이저를 발사해 유도해야 하는 결점이 있어서 공격 헬리콥터로서 가장 위험한 포지션에 놓이게 되고 레이저 유도 방식이기 때문에 기후나 사진에 영향을 받기 쉬운 결점도 있었다. 이러한 점이 개선된 AH-64D 아파치 롱보우는 2001년의 아프가니스탄"아나콘다 작전"과 2003년 이라크전쟁 "이라크의 자유작전"에 실전 투입되어 큰 전과를 올렸다.
AH-64D 아파치 롱보우 BlockII 2003년 2월에 부대배치가 개시된 FBCB2(Force21 Battle Command Brigade and Below) 포스 21여단·부대용 전투 지휘 시스템을 탑재한 AH-64D 아파치 롱보우 최신형. 육군의 다른 플랫폼에 탑재되고 있는 최신형의 디지털 정보통신 데이터 링크 시스템으로 주로 자기 위치와 아군 위치 정보를 리얼타임에 상호 전달,상급 사령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술 정보를 기본으로 공격목표를 선정하는 것으로 FBCB2에서는 전술 인터넷을 이용해 공격 목표의 상세한 정보를 입수하여 최적인 공격 방법을 선택, 때로는 목표의 공격을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즉석에서 그 정보를 다른 하드웨어에 전달하여 다른 공격 헬리콥터 및 포병 부대나 항공기,지상 부대등에 지원 요청을 할수 있다.
AH-64D 아파치·롱보우 BlockIII 현재 개발중의 블록 III에서는 미래형의 UAV(Unmanned Air Vehicle ) 무인 비상체의 원격 조작 기능과 데이터 링크 기능을 갖게하는 페어 전술을 채용, 밀리파 레이더의 탐지 거리 외, 적의 색출, 목표추적 능력과 공격시의 서포트 및 전투 손해평가(BDA) 를 행할 수 있다. 이 블록 III는 2008년경에 부대배치를 목표로 현재 개발중이다. AH-64D 롱보우 아파치의 기체구조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세미모노코크 구조로 특히 기체의 생존률과 승무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방탄 장갑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기체는 피발견율을 극력 억제한 디자인으로 폭을 좁고 전고를 낮추었으며 또 태양광의 반사를 줄이기위해 평면 캐노피를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등장한 AHM(Anti Helicopter Mine) 대 헬리콥터 지뢰는 패시브 방식의 음향 센서로 접근해 오는 각종 헬리콥터를 탐지하기 위해 메인브레이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 후부의 테일로터도 2매 2조로 오프셋되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기체의 각 부분에는 총탄에도 견딜수 있도록 설계 단계부터 고려되고 있고 베트남 전쟁의 교훈을 살려 메인로터는 복대 스텐레스재, 카본 섬유재의 복합재제로 23mm HEI탄의 작렬 파편에 견딜 수 있고 조종석 주변은 특히 견고하게 장갑화가 되어있으며 앞자리의 사수와 뒷자리 파일럿석의 바닥과 측면은 23mmAP탄의 직격과 HEI탄의 작렬 파편에 승무원을 보호하기위해 방탄판으로 덮여있어 승무원의 생존성을 높이고있다.
엔진은 1발의 피탄으로 동시에손상하지 않게 기체 좌우로 나누어 배치되어있고 유압 계통도 안전성을 고려해 2계통이 준비되어있다. 그리고 엔진부 및 트랜스미션부 복부(기체 중심부와 테일로터부의 중간)의 조종계통에는 23mmHEI탄의 작렬 파편에 견딜 수 있도록 세라믹스 복합재로 방어되어 있고 유압계통도 12.7mm 탄에도 견딜수 있는 내탄성이 확보되어 있다.
베트남 전쟁이나 구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문제화한 보병용의 적외선 유도 대공 화기에 대처하기 위해 태양 광열의 반사를 억제하는 특수 흑색 도료가 도포되어 있고 엔진 흡입구와는 다른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엔진 배기와 혼합시키고 배기 온도를 약160도 이하에까지 내리게 하는 블랙홀 적외선 억제 엔진 배기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엔진은 피탄에 의한 손상이나 화재를 방지하기위해 자동 소화장치와 방화벽이 갖추어져 있다. 피탄에 의한 손상이나 고장에 의한 비상시에 대비해 디지털 자동비행 안정장치(DAFSS) 가 탑재되어 있어 파일럿이 실속이나 급격한 조종을 했을 경우 컴퓨터의 판단으로 비행이 안정화 하도록 기체의 움직임 컨트롤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만일의 추락에 대비하여 기체 하부는 추락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고 있고 기체 앞부분 하부에는 스키드 러너가 내장되어 있어 추락시의 70%의 충격을 흡수하며 D형( 구C형도 포함)에서는 각종 아비오닉스를 강화, 측면의 FAB(Forward Avionics Bay) 앞부분 전자기기 격실도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한층 더 승무원의 생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AH-64A형 아파치 및 D형 아파치 롱보우에서는 종래의 헬리콥터와는 다른 고차원의 운동 성능과 대 헬리콥터 전투(일부 대 항공기)를 할 수 있는 공중 전투 능력을 얻기 위해 제너럴일렉트릭사(영국아파치는 롤스로이스제 RTM322) T-700 GE-701C 터보 샤프트 엔진이 탑재되어 있다. T-700의 최고 출력은 1698hp로 통상은 1510hp로 사용된다. 엔진은 저공 특히 지표 부근에서 사용되는 일을 상정하여 방빙장치(어는것)와 이물 혼입을 방지하는 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운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인 블레이드를 강화한 신기축을 도입하고 있어 종래의 헬리콥터에서는 메인 블레이드와 기체의 결합부의 조인트부가 구조적으로 고부하를 견딜수 없어 격렬한 운동은 불가능했지만 아파치에서는 리짓트형 로터헤드의 채택으로 보다 지금까지는 생각할 수 없는 기동성을 발휘 할 수 있게 되었다. 고정익기와 같은 롤,루프,스프릿S,임멜 등의 조종이 가능하여 대 헬리콥터,항공기 전투에 위력을 발휘한다. 실제 걸프전쟁에서 10기의 미그 전투기, 12기의 헬리콥터 격추에 성공하기도 하였다.
시스템&아비오닉스] AH-1G 휴이코브라의 후계가 되는 AH-64A 아파치가 크게 진보한 점은 전천후 전투 능력이라고 말할수 있으며 탑재되는 TADS /PNVS는 주 야겸용 전천후 장치로 기후에 영향을 받기 쉬운 우천이나 안개, 등에 대해서도 양호한 시야를 사수에게 제공해 공격 헬리콥터로서의 전투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일에 공헌하고 있다. 한층 더 사수의 로드워크를 경감하기 위해 IHADSS(통합 헬멧 표시 조준시스템)가 부착 되어 사수는 비행 조종에 필요한 데이터와 목표의 탐색 및 조준을 헬멧에 표시된 디스플레이상에서 확인을 할 수 있고 효율적인 목표 공격이 가능하다.
AH-64A 아파치는 한층 더 진화와 개량이 더해져 AH-64D 아파치 롱보우에서는 메인로터 마스트위에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를 부착하여 대전차 헬리콥터로서 고차원의 전투력이 부여되었다. D형 아파치(밀리파 레이더 미탑재) 및 D형 아파치 롱보우(밀리파 레이더 탑재)에는 TADS /PNVS의 FLIR(전방 감시용 적외선 장치)를 제2 세대의 Arrowhead 에 호환되어 보다 양호한 시야를 제공해 정확한 목표 탐지와 정밀 사격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IHADSS도 한층 더 진화한 것이 탑재되어 RAH-66 코만치 무장 정찰 헬리콥터에도 채용되고 있는 HIDSS (Comanche Helmet Integrated Display Sighting System)가 탑재되어 있다. 한층 더 최신형의 AH-64D 아파치 롱보우 BlockII에는 FBCB2(Force21 Battle Command Brigade and Below) 포스 21여단·부대용 전투 지휘 시스템이 탑재되어 각종 전술 정보를 실시간에 상급 사령부와 공유하여 효율적인 전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TADS는 AH-64 기수부 선단 터릿에 탑재된 사수용(CPG) 주 야겸용 목표포착 레이저 조사 조준기로 직접 시찰용 광학 스코프(DVO:Direct Vision Optical) , 주간용 TV 카메라(DTV:Daytime Television) , 전방 감시용 적외선 장치(FLIR:Forward Looking Infrared rays)의 3종류의 광학식 사이트와 레이저 측거·조준 장치(LRFS:Laser Rangefinder Sight)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초 노스롭사의 TADS /PNVS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성능면에서 뛰어난 마틴 마리에타사의 AN/ASQ-170(TADS)이 채택되게 되었다. 기수 선단의 TADS 터릿은 기체 중심선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좌우 각 120도까지 선회,수직 방향으로는 기체 중심선으로부터 윗쪽 30도, 하부 60도까지 가동하며 사수(CPG)의 IHADSS와 연동여 목표의 탐색,포착,공격을 신속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AH-64는 주간에는 DVO 모드와 DTV 모드의 병용으로 목표를 공격하며 야간 및 악천후 하에서는 FLIR 모드를 사용한다. DVO 모드에서는 시야 범위 4도의 협각 시야에서 18.2도,시야 범위 18도의 광각 시야에서 3.5도의 2단 전환 방식으로서 DTV 모드에서는 0.9도(16배)의 협각 시야와 4도(3.5배)의 광각시야가 갗추어져 되어 있다. FLIR 모드는 협각 3.5도,중각 10.2도 광각 50도로 되어있다.
LRFS는 목표의 거리 및 가속도를 검출하는 레이저 측거 장치와 목표의 추적 및 탑재 병기를 유도하는 스태빌라이져(stabilizer)부착의 레이저 스포트 추적 장치가 내장되어 세미 엑티브 레이저 유도방식의 AGM-114A 헬 파이어를 정확하게 유도한다.
FLIR의 탑재는 AH-64의 전천후 하에서의 전투 능력을 현격히 향상시켰지만 원거리의 화상의 해상도가 현저하게 뒤떨어져 걸프전쟁에서는 실수로 아군을 오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1999년의 유고 공중폭격 때에는 야간 비행중인 AH-64D 아파치 롱보우가 사고로 추락하게 되자 현장에서는 보다 선명한 해상도의 신형의 FLIR의 도입이 강하게 요망되었다.
육군에서는 2000년부터 TAS(TeamApacheSystems:록히드 마틴 보잉 공동출자 회사), 록히드 마틴 미사일&파이어 컨트롤사(Lockheed Martin Missiles and Fire Control)와 공동으로 제2 세대 FLIR의 개발에 착수하여「아로헤드 시스템(Arrowhead)을 개발, 2003년 에 채용하였다. 2004년도부터 AH-64D 아파치 롱보우도 개량 작업이 시작되어 최종적으로는 500기의 아파치에 탑재되었다. 종래에는 적외선이 방출되고 있는 물체로부터 투영(실루엣)밖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는 목표의 윤곽밖에 파악할 없어 결과적으로 적 아군의 식별이 곤란했지만 장파 적외선에서는 방출되고 있는 적외선의 세분화된 표시 가능해져 TV 화상의 형상에 목표의 요철이 보다 선명해져 식별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아로헤드 시스템은 주야를 불문하고 사수(CPG)의 목표 포착과 공격,파일럿의 야간 비행시의 안전성 확보에 도움을 주고 있다.
PNVS는 TADS가 장착되어 있는 기수 선단 터릿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파일럿용 야간 악천후용 암시 장치로 TADS와는 독립된 FLIR(전방 감시용 적외선 장치)이 탑재되어 있다. 제작은 TADS와 같이 마틴 마리에타사제로 비행시의 거동이나 진동을 안정화 시키는 스태빌라이져(stabilizer)가 내장되어 파일럿에게 양호한 시야를 제공하여 야간 비행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PNVS는 기체 중심선으로부터 수평방향에서는 좌우 각 90도 , 수직 방향에서는 기체 중심선으로부터 윗쪽 20도 ,하부 45도까지 가동되며 시야 범위는 수평 방향 30도×수직 방향 40도로 되어있고 PNVS 비행 모드로는 후방 파일럿의 IHADSS와 연동하여 작동, 매초 120도의 선회 가동이 가능하다. PNVS는 아로헤드 시스템에 의해 제2 세대 FLIR와 호환되어 파일럿에게 양호한 시야를 제공, 특히 야간 비행시의 안전성이 꾀해져 야간 NOE 비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TADS /PNVS에서 보내온 광학 암시 영상은 사수(CPG) 및 파일럿의 헬멧에 장착되어 있는 HMD(헬멧·마운트·디스플레이) 에 표시된다. 이 HMD는 하니웰(Honeywell Sensor and Guidance Products)사 제작으로 IHADSS(통합 헬멧 표시 조준 시스템)라고 부르며 사수(CPG)/파일럿의 헬멧 편안에 콘비나 렌즈가 장착되어 화상이 투영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IHADSS는 파일럿의 헬멧 움직임을 감지해 TADS /PNVS 터릿과 연동,사수(CPG)의 시선에 조준점을 목표에 맞추는 것 만으로 공격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M203E1 30mm 체인암도 IHADSS와 연동,조준이 가능하다.
LFCRS(Longbow Fire Control Radar System) 롱보우 레이더 화기 관제 시스템 AN/APG-78 AH-64D 아파치 롱보우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탑재된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는 지금까지 육안이나 광학식 사이트가 행하고 있던 목표의 탐색 및 조준공격을 파장 1mm ~1cm의 극초단파를 이용한 밀리미터파(EHF:extremely high frequency wave)가 사용되어 기후,대기중의 먼지등에 영향받는 일 없이 모든 환경 하에서 전천후 탐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 EHF 레이더는 대기중에서의 산란에 의해 현저하게 감쇠하기 때문에 탐지거리는 다른 레이더와 비교해 짧으나 지극히 지향성이 강하여 적의 전파 방해 기만등에 대항성이 높다.
육군의 각종 하드웨어에 배치 탑재되고 있는 최신형의 디지털 정보통신 데이터 링크시스템으로 군사 정찰위성 공군 정보수집기 E-3C 센트리(AWACS),E-8C(J-STARS) , UAV등으로부터 얻어진 각종 전술 정보는 상급 사령부에서 통합되어 리얼타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가 있다. 노스롭 그라만사제 FBCB2용 컴퓨터 단말은 대용량 고속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 SINCGARS(Single Channel Ground & Airborne Radio System)단일 채널·지상/공중 통신 장치와 AN/TSQ -158 EPLRS(Enhanced Position Location Reporting System) 능력 향상형 위치 보고시스템에 접속되어 육군의 전술 인터넷상에 상호 전달된다.
FBCB2가 탑재된 AH-64D 아파치 롱보우는 자기 위치와 아군부대 위치 정보를 전술 인터넷을 이용해 상호 통신하여 얻어진 전술 정보를 기본으로 공격 목표를 선정하는 것으로 목표의 상세한 정보를 입수해 최적의 공격 방법을 선택, 때로는 목표의 공격을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즉석에서 그 정보를 다른 하드웨어에 전달하여 기갑부대나 포병부대 항공기의 지원 요청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FBCB2에 의해 전투 능력은 큰폭으로 향상되어 목표의 최단 거리와 우위인 포지션에서의 공격태세, 아군부대의 오발공격, 목표의 중복을 방지하고 있다.
·Aircraft Survivability Equipment(ASE) 항공기 자기 방어 장비 그 외의 장비로서 다른 항공기에도 탑재되고 있는 RWR(Radar Warning Reciever) 레이더 경계 수신장치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Litton) (현,노스롭 그라만)사제 AN/APR-39레이더 경계 수신장치를 탑재, 다른 항공기나 지상으로부터의 레이더 조사를 감지하여 대공 미사일등의 공격으로부터 재빨리 피할수 있다. 그리고 적의 레이더 주파를 분석해 전술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이 록히드 마틴사제 RF(Radar Frequency Interference)레이더 주파 간섭장치AN/APR-48A로 지상 레이더 시설이나 항공기 대공 차량등의 레이더 주파 특성이 미리 입력되어 있어 레이더 반사를 받으면 즉석에서 그 레이더파를 반사한 시설,항공기,차량등의 특정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조합 데이터로 부터 얻어진 전술 정보는 위협도가 높은 경우 신속한 대응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무장] AH-64아파치의 A형 및 D형에 탑재되는 공격장비는 M203E1 30mm 체인암과 AGM-114 헬파이어 대전차미사일,하이드라 70로켓 발사기 포트,스팅거 대공미사일 등으로 대물 대인 전투에 절대적인 위력을 발휘한다. AH-64D형 아파치 롱보우에서는 밀리파 레이더의 탑재에 의해AGM-114헬 파이어II 미사일을 레이더로 유도가 가능하다.
걸프전쟁의 교훈이나 효과적인 공격을 실시하기 위해 아파치에는IDM(Improved data Modem) 개량형 데이터 모뎀을 개입시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DLS(Data Link System) 이 탑재되어 비 사격존(NFZ:No Fire Zone)과 우선 사격존(PFZ:Priority Fire Zone) 을 설정,아군 부대의 오발이나 개별의 기체에 사격존을 마련하여 오버킬(중복공격)을 피하고 효율적인 공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H-64A형 아파치의 주 화력인 AGM-114헬 파이어 대전차미사일은 , 주로 장갑차, 견고한 진지, 건축물등 에 사용되는 대 장갑용 미사일로 록히드 마틴/보잉사제(구 록웰마틴 마리에타사:Rockwell/Martin Marietta),전체 길이 1. 63m,탄두 직경은0.18m로 약 8kg의 HEAT(성형작약) 탄두를 탑재하고 있어 최대 16발을 탑재 할 수 있다. 유도 방식은 Semi Active Laser유도 방식에서 자기 혹은 타기 OH -58D나 AH-64A·D형의 레이저에 의해 유도된다. 유도 방식으로는 발사전에 헬 파이어의 탄두부에 있는 세미 액티브 레이저 시카(SAL)가 목표를 레이더 추적 하는 LOBL(Look-on Before Launch)모드와 발사 후에 헬 파이어 SAL이 목표를 레이더 추적 하는 LOAL(Look-on After Launch)모드가 사용된다. LOBL 모드는 근거리 및 악천후 하에서 목표의 육안 확인 가능한 경우에 이용된다. LOAL 모드에서는 레이저에 의해 유도된다.
AGM-114K /L 헬 파이어 II 대전차미사일 롱보우 헬 파이어 미사일을 동시에 2발 발사하는 D형 아파치·롱보우. 밀리파 레이더를탑재, 목표를 확인 할 수 없어도 레이더유도로 구릉지대의 반대 측에 있는 목표에 대해서도 아웃 레인지로 공격이 가능하다.
70mm(2.75inch)/Hydra70 Folding-Fin Aerial Rockets 70mm(2. 75inch) 로켓탄은 M261 로켓 발사기 포트에 19발의 하이드라 70로켓탄 FFAR(Folding -Fin Aerial Rockets)이 장전 되어 있어 유탄,철갑탄,성형작약탄,소이탄,발연탄,조명탄,신호탄등 7종류가 사용 가능하며 사수의 임의의 선택으로 발사 가능하다. 기체의 그루터기윙 하드포인트 4개소에 최대 4개의 M261를 탑재 가능하며 사정거리는 최대 8800m 이며 주로 경장갑의 차량이나 대물,대인 전투시에 사용된다.
FIM-92A Stinger 대공 미사일 스팅거 미사일은 패시브 적외선 호밍 유도방식에서 고성능 적외선 시카를 탑재해 보다 고 정밀도에 목표 항공기를 추적해 격파할 수 있는 고성능 소형 대공미사일이다. 같은 적외선 유도 방식의 AIM-9Sidewinder(Sidewinder)가 파일론 하드 포인트 BOX내에 2발, 합계 최대로 8발이 탑재 가능하지만 아파치의 본래의 운용 목적으로부터 현저하게 위배되기 때문에 실제로 탑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AGM-122 Sidearm Sidearm은 AIM-9Sidewinder(Sidewinder)를 개량한 대 레이더 미사일로서 개발된 것으로 적의 레이더시설을 파괴하기 위하여 레이더시설의 전파를 탐지, 호밍해 파괴한다. 걸프전쟁의벽두에 AH-64A 아파치를 사용하여 이라크·쿠웨이트 국경의 서쪽에 기갑부대의 침입로를 구축했다. 파일론의 하드 포인트에 좌우 4발 탑재 가능
■성능 제원 AH-64D 아파치·롱보우 대전차 공격 헬리콥터 AH-64D Apache Longbow AH-64 A 아파치 초기 생산 타입 AH-64 B 아파치 개량 실험기 AH-64 C 아파치 기체 측면 아비오닉스 증설 엔진 배기 온도 냉각 장치 AH-64 D 아파치 아비오닉스 개량 AH-64 D 아파치·롱보우 롱보우 밀리파 레이더 탑재형 AH-64 D 아파치·롱보우 BlockII 디지털 정보 데이터 링크 시스템 탑재 AH-64 D 아파치·롱보우 BlockIII 개발중 UAV의 리모트 조작 기능 부여
[기체 제원표] 전체 길이:17. 73m(메인로터 포함 ) 동체 전체 길이:15. 47m(테일로터 포함 ) 동체장:14. 60m 전폭:5. 227m 전고:4. 95m(롱보우 레이더 포함 ) 전고:4. 05m(메인로터 까지 ) 전고:3. 66m(뒷날개 높이) 주 회전익 직경:14. 63m 테일로터 직경:2. 79m 자중:5. 360kg 총 중량:10. 107kg 제너럴 일렉트릭 T700-GE701C 추진력:1. 940shp×2 연료 중량:1. 412리터 증조:865리터×4 최대 속도:365km/h 최대 순항속도:285km /h 항속 거리:490km 최대 상승 한도:6400m 상승률 한도:800m/min 평균 상승률:138m 공중 정지 한계[IGE]:4172m 공중 정지 한계[OGE]:2889m 승무원:2명[D형] [앞자리] 사수(CPG) [뒷자리] 파일럿
AN/APG-78롱보우 화기 관제 레이더 LRU:×4 LRM:×55 밀리파 주파수 지역(35~120GHz) 자기 진단기능 첨부(고장 탐지율 99%) 유니트 격리 시스템(고장 격리율 96%) C4I 탑재 링크 기능부 개량형 데이터 모뎀 출력(IDM):16kb 총 중량:116. 5kg 마틴·마리에타·롱보우·인터내셔널사제
ADSS(Air Data Sensor System) 플라이트 데이터 센서 A형:메인로터·블레이드·마스트상 D형:좌우 엔진외판 측면부
[무장] M203E1 30mm 체인암 기관포×1 380발 ~1200발(최대) AGM-114A 헬 파이어 (최대 16발) 최대 사정거리 6800m ~8000m(일부) AGM-114K 헬 파이어 II(최대 16발) 최대 사정거리 6800m ~8000m(일부) AGM-114L 헬 파이어 II(최대 16발) 최대 사정거리10000m(일부) 2. 75인치 로켓 발사기 포드(최대 4개) 하이드라 70FFAR(19~76발) 최대 사정거리 8000m AAM 스팅거(대공용) 4~10(최대) AGM-122 Sidearm(대공 레이더 미사일) 최대 4발
AH-64A/D APACHE 니콜라스 케이지와 숀 영이 나온 '아파치'라는 영화의 진짜 주인공은 아마 정말 안 어울리는 배역을 맡아서 건들거리는 군인의 모습을 보여준 니콜라스 케이지나 항상 1급 배우가 될듯 말듯하다가 그저 그런 역할을 맡는 것으로 만족하는 숀 영이 아니라, 아파치 헬리콥터 였을 것이다. 물론 그 영화에서는 기껏해야 마약상들이나 두들기는 역할을 하는데 그치지만... 아파치는 두개의 엔진을 가진 주야간 육군 공격 헬리콥터이다. 아파치는 맥도넬더글러스 헬리콥터 시스템(McDonnell Douglas Helicopter Systems: 이전의 휴즈 헬리콥터(Hughes Helicopters), 현재는 보잉사와 통폐합되었슴)에의해서 개발되었다. 아파치는 현재 미육군 이외에 이집트, 그리스, 이스라엘, 네덜란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영국등에서도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개발 배경 최신의 육군 공격헬리콥터는 1975년 후보기들에 대한 평가 시험이 이루어졌고, 동년에 미 육군에 의해서 맥도넬 더글러스사의 제품이 선정되었으며, 1981년 아파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미 육군은 1984년부터 동 헬리콥터에 대한 구매를 시작했다. 모든 AH-64A 아파치 헬리콥터는 2010년 까지 AH-64D 모델로 업그레이드 될 예정이다. 타겟 핸드오버(Handover; Fire and Forget- 쏘고 잊어버린다. 이것은 조종사가 미사일을 발사한후에는 이 미사일에 대한 조종권이 모두 미사일 발사 시스템으로 넘겨져서 조종사는 다른 임무 수행에 충실을 기할수 있게 한다는 뜻이다.), 글로벌 포지셔닝 그리고 개선된 통신장비와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AH-64B로의 업그레이드는 1992년에 취소되었다. 또한 도플러 네비게이션(Doppler navigation)과 Military Standard 1553 data bus를 포함하는 AH-64C로의 업그레이드는 더욱 강력한 엔진의 장착을 포함하는 AH-64D로의 업그레이드가 결정된 1993년에 취소되었다. AH-64D 롱보우(Longbow)는 Longbow millimetric fire control radar와 Longbow Hellfire missile를 장착한다. 현재 이 기종은 미육군에서 800기 이상 사용되고 있으며, 이밖에 1000대 이상이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그리스, 아랍에미레이트, 네덜란드, 영국로부터 계약되었다. 웨스틀랜드 헬리콥터(Westland Helicopters Ltd),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Shorts로 구성된 콘소시엄은 영국 육군용 롱보우아파치에 대한 공급 계약을 1995년 영국 국방성에서 체결하였으며, 이 헬리콥터에 대한 명칭을 WAH-64D 롱보우 아파치로 확정 지었다. WAH-64D 롱보우 아파치는 영국의 웨스틀랜드 헬리콥터社로 부품들이 옮겨져 조립된다. 아파치가 최초로 전투에 사용된것은 1989년 12월 파나마의 독재자 노리에가 장군과 파나마 국방군에 대한 '공정한 이유' 작전시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파치는 1991년 1월과 2월 '사막의 폭풍' 작전 당시 288대로 이루어진 15개 대대에서 사용되었다. 이 작전에서의 최초의 이라크군에 대한 공격은 1991년 1월 17일 이루어졌으며, 제101공정대의 아파치에 의해서 새벽 2시 37분 50초에 최초의 발사가 이루어졌다. 공격헬리콥터의 중요한 임무는 지상군의 공격에 앞서서 적 지상군을 쓸어버림으로써 아군 지상군의 진격을 쉽게 하는 것이다. 아파치 헬리콥터를 이용한 작전의 전형적인 예는 지상 적군이나 적 레이더에 발각되지 않기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약 15미터의 저고도 비행과 100노트의 속력으로 적지에 근접하여 OH-58 정찰 헬리콥터로부터 적 목표물에 대한 위치및 피아식별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작전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아파치는 이렇게 함으로써 적에게 들키지않고 적의 위치까지 도달하고 목표를 측정할수 있다. 각 헬리콥터들은 제1, 제2 목표물을 설정하고 있으며, 제2목표는 주변의 헬리콥터의 제1 목표물로 설정되어 있도록 한다. 사막의 폭풍 작전 당시 아파치는 거의 19000 시간을 비행하였으며, 출전 대기율은 86%에 도달했었다. 또한 아파치는 10000건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약 1000대의 탱크및 적 차량을 파괴하였고, 약 100의 적 부대를 포로로 잡았다. 아파치는 현재 터키와 보스니아를 포함한 긴장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무장 기관포 아파치는 맥도넬더글라스에서 개발된 M230 체인건인 30mm자동 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화기는 동체의 아래쪽에 장착된다. M230은 1분에 고폭탄을 625발 발사할수 있다. 탄환은 1200발 적재된다.
미사일 롱보우 아파치는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社에서 공급되는 밀리미터파 롱보우 레이더(millimetre-wave Longbow radar)와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社의 AGM-114D 롱보우 헬파이어 미사일로 장비되어 있다. 롱보우 레이더는 적 탱크등의 차량및 적 항공기을 포함하는 적 타겟에 대한 빠른 검색, 분류, 우선순위 결정을 가능케 한다. 이 레이더는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주 회전익의 위에 장치된다. 이 레이더는 TV 카메라등 기존의 장비에 비해서 비,안개나 전장지역의 매연등으로 인해 시야가 불량한 상태에서도 최선의 시야를 확보하여 적에 대한 효과적인 공격을 가능케 한다. 또한 매우 짧은 이 레이더의 파장은 적에 의한 재밍이나 전자 유인장비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검색을 가능케 한다. 전장에서의 상황은 다중기능 디스플레이(multi-function display)에 의해서 나타나지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다중 목표물에 대한 분류및 우선순위를 보여주며 또한 이미 측정된 데이타를 표시하고, 우군의 위치를 표시해준다. 목표물에 대한 분류는 '이 목표물을 첫번째로 공격하라', '이 목표물을 두번째로 공격하라', '이미 이 목표물에 대해서는 사격이 가해졌다.' '이 목표물은 무한궤도 차량이다', '이목표물을 바퀴 굴림 차량이다', '대공 차량이다', '헬리콥터다', '고정익기이다'등등으로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이들 데이터는 secure digital data burst를 통하여 주변의 우군 헬리콥터들에 전달되어, 이들 데이터 값에 의해서 2대의 헬리콥터에 의한 1개의 목표물에 대한 2중사격등을 방지하고, 우군끼리의 교전을 막는다. 롱보우 아파치는 30초이내에 보통 헬파이어의 발사로부터 시작되는 효과적인 공격을 할수 있다. 이 헬리콥터에 장비된 전자장비들은 최대 256개의 적 목표물들의 위치, 속도, 운행방향등을 결정할수 있다. 헬파이어 미사일은 록크웰(Rockwell)社에서 조립되는 4개의 레일 발사관에 장착된다. 이 미사일은 흔히 對戰車용 헬리콥터 장착 미사일로 알려져 있으나, 對艦용으로도 사용될수 있다. 이 미사일은 록웰인터내셔널(Rockwell International)社, 록히드마틴 전자&미사일(Lockheed Martin Electronics and Missiles)社에 의해서 개발되었고, 공급된다. 롱보우 아파치에 장착되는 헬파이어의 또 다른 버젼들의 추적시스템은 레이저, 적외선등 방식이 쓰여지나, 롱보우 아파치에 장착되는 헬파이어 시스템의 추적장치는 밀리터리파 추적장치이다. 이 추적장치는 롱보우 아파치 헬리콥터가 Fire and Forget 모드로 조작될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기존의 레이져 유도방식의 미사일들이 발사후에도 목표물에 미사일이 명중될 때 까지 조종사의 유도를 요구하게 되는것과는 달리 조종사가 사격후에는 다른 임무에 전념할수 있게 해준다. 헬파이어 미사일의 일반적인 탄두는 두개의 원뿔모양의 성형작약탄이 있으며, 록웰사에서 개발된 한개의 긴 모양의 신형 탄두는 현대의 반발 장갑에 대한 관통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 미사일은 길이 170cm, 지름 18cm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고체연료 로켓에 의해서 마하 1이상의 속도로 비행한다. 사정거리는 8에서 12km이며, 사정거리는 헬파이어의 사양및 모터의 특성에 따라 변경된다. 아파치는 이밖에 스타스트릭, 스팅어, 사이드와인더,미스트럴등의 空對空 미사일과 사이드암과 같은 對레이더 미사일, 2.75인치 로켓을 장착한다. 아파치는 임무의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의 무장 조합을 가질수 있다.
시스템 롱보우 아파치는 개선된 공격능력이외에 개선된 정찰 능력을 가지고 있다. 집적된 운항시스템(navigation system),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Doppler navigation, 관성 운항(inertial navigation), 대기 정보 레이저/레이더에 의한 고도계 운항(air data/laser and radar altimeter navigation), 전방 감시 적외선(FLIR:forward looking infra-red) 센서등에서의 개선도 이루어졌다. 또한 데이터 모뎀은 미공군 감시 및 목표 공격 시스템(Joint-STARS)의 디지탈 데이터의 안전 전달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된 정보는 전장에서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안전하게 전달하여 지상및 공중에서의 작전수행능력을 제고 시킨다.
TARGET ACQUISITION AND NIGHT VISION TADS(Target Acquisition Designation Sight) - 코드 AN/ASQ-170 - 과 PNVS(Pilot Night Vision Sensor) - 코드 AN/AAQ-11 - 는 록히드마틴 전자&미사일(Lockheed Martin Electronics and Missiles)社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사수는 적을 수색하고, 인식하기위하여 직접 시야용 광학장치및, 텔리비젼, 적외선 영상을 제공하는 TADS를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목표 지역의 시야 상태에 따라서 함께 혹은 독자적으로 운영된다. 사수는 이렇게해서 확보된 목표물에 대하여 수동으로 추적하거나 자동으로 추적하여 30 millimetre gun, rockets, Missiles을 사용할수 있다. TADS는 아파치의 기수에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회전 포탑과 부조종사(사수)의 조종석에 있는 광학적 릴레이 튜브(optical relay tube), 세개의 전자 보조시스템, 조종석에 설치된 콘트롤 및 디스플레이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부가 있는 포탑은 상하 -60。∼30。, 좌우 -120。∼120。의 범위로 움직인다. 주간 채널은 50'의 좁은 시야및 4。의 광각 시야를 제공하는 TV 카메라및 4。의 좁은 시야와 18。의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직접 시야용 광학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야간 채널은 포탑의 오른쪽에 장치되는 전방 감시 적외선(FLIR:forward looking infra-red)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다. 이 센서는 좁은 시야(3。6'), 중간 시야(10。6'), 넓은 시야(50。)를 제공한다.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Litton社의 Laser Systems Division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조종사용의 야간 시야 센서는 아파치의 기수위에 즉 TADS의 위에장치된 회전포탑내의 FLIR 센서, 항공전자장비 부에 위치한 전자 보조시스템, 조종수용 조종석의의 디스플레이와 콘트롤로 구성되어 있다. 조종사용 나이트 시야 센서의 회전은 좌우 -90。∼90。, 상하 -45。∼20。이다. FLIR은 30。×40。의 시야각을 가지고 있다. PNVS로부터의 영상은 조종수및 부조종수(사수)가 착용하는 HADDS(Honeywell Integrated Helmet And Display Sighting System)의 부분인 외경(한쪽만 있는 안경 같은 모습의) 렌즈에 표시된다. 이 렌즈에 표시된 이미지는 헬리콥터를 전천후 비행가능하도록 한다. 고도및 풍향 풍속을 포함하는 비행자료는 외경 렌즈에 표시되는 이미지위에 표시된다.
ELECTRONIC WARFARE 아파치는 적의 레이더 콘트롤 對空포, 레이더 콘트롤 地對空 미사일, 空對空미사일의 발사 경보를 제공하는 Litton社와 Loral社의 APR-39A(V) 수동 레이더 경보 수신기(passive radar warning receiver), 적의 열추적 미사일로부터 아파치를 보호해주는 Lockheed Martin社의 AN/ALQ-144 적외선 은폐/엄폐 장치(infra-red countermeasures set), 레이저 전파의 출현을 검출하고 특징을 분석하고, 징후를 판별하는 역할을 하는 Hughes Danbury Optical Systems社의 AN/AVR-2 레이저 경보 수신기(laser warning receiver), ITT社의 AN/ALQ-136(V) 레이더 방해전파발사기(radar jammer), 채프발사기(chaff dispensers)-알루미늄 가루를 뿌려서 한마디로 적 유도무기를 헷갈리게 한다. 톰 클런시의 '붉은 폭풍'중 미국의 순양함에 발사된 적 미사일에 대한 유도체계를 혼란시키기위해 채프를 발사하는 장면이 나온다.-등의 전자적 무장 슈트로 장비되어 있다.
구조 이 무식한 헬리콥터는 지상으로부터의 발사되는 12.7mm 탄환을 직접 두둘겨 맞으면서도 30분간 비행이 가능하다. 또한 주회전날개등과 같은 일부 부분은 23mm기관포탄을 맞아도 견딜수 있다. 조종사들이 탑승하는 구역은 보강된 복합재질의 강하면서도 가벼운 화이바인 Kevlar 시트로 장비된다. 부조종사(사수)의 좌석은 앞쪽에 있으며, 조종사의 좌석은 뒷쪽에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조종석의 바닥과 옆은 12.7mm탄환을 견딜수 있는 장갑으로 보호되며, 조종사자석과 부조종사좌석 사이의 장갑은 1개의 탄환에 의해 두명의 조종사가 동시에 사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익의 4개의 날개는 접혀지거나 분리될수 있으며, 23mm기관포를 견뎌 낼수 있다.
엔진 아파치는 두개의 터보샤프트 엔진으로 움직이며, 각 엔진은 1265kW의 출력을 가진다. 미육군의 아파치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社의 T700-GE-701 엔진을 장착하며, 영국 육군의 아파치는 Rolls-Royce/Turbomeca의 RTM322엔진을 장착한다. 동체의 양쪽 날개위에 장착되는 엔진은 장갑으로 보호된다. 또한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열추적 미사일에 대한 보호를 위해 감소되도록 설계되었다. 기어박스와 샤프트는 지속적인 탄환에 의한 피해에도 1시간동안 작동될수 있으며, 주 트랜스미션은 1시간동안 오일없이 작동이 가능하다.
기동성 아파치는 곡예비행이 가능한 고기동성을 가진 공격헬리콥터이다. 아파치는 수송기에 의해 수송이 가능하며(C-5수송기에 6대, C-17에 3대), 주회전날개의 날개는 접거나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헬리콥터의 랜딩기어는 수송시에 전고(全高)를 낮추기위해 접는 것이 가능하다.
--- 1998년 4월 7일 최종 수정되었슴.
--- 1999년 4월 22일 'NATO의 세르비아 공격작전(1999년 4월)' 투입을 위해 알바니아에 배치된 AH-64A의 사진 추가.
--- 1999년 7월 22일 롱보우레이더만 내놓고 은폐한채 작전중인 AH-64D 사진 추가.
아파치 헬리콥터의 空對空 무장능력 부가 프로그램 미육군의 AH-64D 공격헬리콥터 세력은 현재 空對空미사일(AAM)을 장착하고 있지않다. 이것은 미국이 보스니아 사태에 개입하면서 부터 미국방성과 미의회 두곳으로부터 문제를 제기하게했다. 그 이유는 이지역에서 활동중인 유고슬라비아군의 Mi-25 하인드(Hind) 공격헬리콥터들은 이미 1970년대 이후 空對空 미사일을 갖추고 있어, 이지역에서 AH-64D가 활동하게 될 경우 위협요소가 될수 있기때문이다. 현재 AH-64D 롱보우 아파치에 장착할 空對空 미사일로는 휴즈미사일시스템社의 스팅어 블록 Ⅱ(Stinger Block II)와 영국의 쇼트 미사일 시스템(Shorts Missile Systems)社의 스타스트릭이 검토되고 있다.
미육군과 스타스트릭 미육군은 현재 영국 쇼트 미사일 시스템社의 미국측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는 오를랜도에 위치한 록히드 마틴 일렉트로닉스&미사일과 함께 스타스트릭미사일에 대해 Foreign Comparative Test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의 프로그램은 2단계(Phase 2)째의 시험평가(T&E : testing and evaluation)중에 있다. 이단계에서의 시험평가는 1998년 4월과 6월 사이에 20개의 스타스트릭 미사일을 다양한 목표물에 대해 실제 발사하는 것으로 정점을 이루게 될것이다. 록히드마틴社는 이단계에서의 시험평가를 지원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상태이다. 1998년에 계획된 2단계 시험평가 작업은 스타스트릭 미사일에 대한 미육군의 현재의 약속이행의 끝이다. 미육군은 줄곳 더이상 스타스트릭 미사일의 시험평가에 시간을 보내는 것은 의회의 지시에 의한 것이지 미육군의 요청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얘기해왔다. (※ 편집자 註 : 즉 미육군은 스타스트릭 미사일을 AH-64D에 장착하는 것에 관심이 없을뿐 아니라 불만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아래에 나올것이다.) 실제로 미육군은 스타스트릭 미사일 시험평가는 소위 two-way street으로 표현되는 미국과 유럽과의 협력관계를 고려한 미의회의 지시에 따른 결과로 스타스트릭 미사일에 대한 2단계째의 시험평가의 결과에 상관없이 스타스트릭에 대해 관심이 없으며, 2005 회계년도(FY2005)부터 AH-64D에 장착이 시작되는 (개발의) 최종단계에 와 있는 스팅어 블록 Ⅱ 미사일에만 관심이 있슴이 (다른 관측자들에 의해) 주장되어 왔다. 스타스트릭 미사일 지지자들은 2단계 시험평가에서의 성공이 미육군의 자세를 바꾸게 할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하며, 스팅어 블록 Ⅱ 미사일의 개발 지연을 지적하고 있다. 스팅어 블록 Ⅱ의 지연에 따른 공격을 우려하고 있는 의회는 미육군에 스타스트릭 미사일과 스팅어 블록 Ⅱ 미사일의 실발사 경쟁 시험에 드는 비용으로 얼마가 소요될지를 산출할 것을 요청했다. 약 2000만달러의 예산이 들것으로 보고한 미육군은 현재의 프로그램을 다시 의회가 생각하고 있는 경쟁시험 프로그램으로 대체 할려는 것에 대해 못마땅해 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미육군 헬리콥터에 장착될 스팅어 블록 Ⅱ의 개발 프로그램 AH-64D에 空對空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스팅어 블록 Ⅱ 프로그램의 요체로 이것은 미육군이 현재 이른 시일내에 단거리 방공 체계의 구축을 위한 미육군의 요구를 만족시킬것으로 믿고 있다. 가장최근에까지 조차도, 1996 회계년도와 1997 회계년도까지는 AH-64D 아파치 헬리콥터의 空對空 공격능력 보유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정된 예산이 MIL-STD 1760 발사기를 개발하는데 충당되었었다. 스팅어 블록 Ⅱ 미사일에 대한 전체 프로그램은 스팅어 블록 Ⅰ 미사일의 空對空 임무수행시의 모자란 점으로 지적되었던 복잡한 전장환경에서의 요격능력을 해결하게될 최신형의 적외선 focal plane array(초점면 배열) 씨커의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미육군 공격헬리콥터의 空對空 미사일 능력의 결여에 대한 의회적 관심은 1천백3십만 달러를 1998 회계년도에 배정해줄것을 요청한 미국방성 案이 반영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이 자금은 미육군의 AH-64D 아파치 헬리콥터에 스팅어 블록 Ⅱ 미사일을 장착하는데 필요한 수많은 요소들에 지원될 것이다. 이것은 종합 발사기(Universal Launcher)를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추가적인 EMD(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Development)를 포함한다. 우선 스팅어 블록 Ⅱ는 AH-64D 아파치에 장착될 예정이지만, 후에는 RAH-66 코만치에 장착될 예정이며, 각각의 종합 발사기는 두개씩의 스팅어 블록 Ⅱ 미사일을 장착하게 될 것이다. 이밖에 종합 발사기를 AH-64D 아파치 헬리콥터의 전자/콘트롤시스템에 통합하는 연구개발을 위한 추가 자금도 제공될 것이며, 롱보우 사격관제 레이더의 소프트웨어는 空對空 성능을 갖도록 개량될 것이다. 그러나 이정도 자금으로 스팅어 블록 Ⅱ를 양산화 하여 AH-64D에 통합시키기까지에는 턱업이 부족하다. 아마도 1999회계년도에 700만달러가량의 추가적인 예산지원이 요청될 것이다. 이정도로 충분할지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현재의 예산 소비수준을 고려해보면 추가적인 예산배정 요청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요청된 모든 예산이 미육군 의도대로 지원된다면 2005년부터는 AH-64D는 스팅어 블록 Ⅱ에 의한 空對空 능력을 보유하게 될것이며, 2000년경부터는 양산계약을 위한 예산배정이 시작되어야 할것이다.
WAH-64 첫번째 양산 기체 GKN-웨스틀랜드에 공급 - 1999년 12월 16일 Daily Defence Systems 2000년 봄부터 2003년 말 사이에 영국 육군에 인도될 예정인 WAH-64 아파치기가 최초 공급 예정일을 약 100일 앞두고 웨스틀랜드社에 공수되었다. 이것은 기체 테일部에 식별기호 ZJ171로 표기된 WAH-64 아팟치 양산 1번기가 미국 보잉社로부터 GKN 웨스틀랜드 헬리콥터社의 Yeovil에 공급됨으로써 확인 되었다. 이 기체는 영국 육군 항공대용으로 영국 국방성에 의해 발주된 67대중 1대로 첫번째 8대의 기체는 보잉사의 아리조나州 메사 공장에서 제작되어 영국의 GKN-웨스틀랜드 헬리콥터社에서 최종조립및 최종 테스트가 실시되기로 계약되어 있으며, GKN-웨스틀랜드 헬리콥터社의 Yeovil 아팟치 제작라인에서의 Full Model 양산은 2000년 1년동안 점진적으로 진행 될 예정이다. GKN 웨스틀랜드의 Yeovil 설비에서 진행된 WAH-64 병참/유지관리 데몬스트레이션(Logistic and Maintainability Demonstration - LD/MD)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GKN 웨스틀랜드 아팟치 프로그램의 디렉터인 Martin Fausset 씨는 "영국 육군의 파일롯은 공격헬리콥터를 열열히 기다리고 있으며, 첫번째 WAH-64의 도착에 고무되어 있으며, 파일롯들과 비행교관들에 대한 교육은 현재 미국에서 제대로 실시되고 있으며, 무장 및 항공 시스템 집적화는 목표에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ZJ171은 보잉社의 Mesa 공장에서 제작될 기체중 6번째로 WAH#6으로 분류된다. 1번기체인 WAH#1은 롤스로이스社의 터보메카(Turbomeca) RTM322 엔진 장착시험이 완료되었다. 참고로 영국육군의 WAH-64 아팟치는 미군용의 AH-64 아팟치가 제너럴일랙트릭社의 GE T-700 엔진을 장착하는데 반해 롤스로이스社의 터보메카 RTM322 엔진을 장착하기로 되어 있다. WAH#2 와 WAH#4는 2000년 2/4분기중 영국의 아팟치 훈련 센터에 공급되기 이전에 GKN 웨스틀랜드社의 테스트 파일롯과 영국 육군 항공대의 비행교관 훈련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밀리미터파 센서 기술 현황 - Armada International, 1998. 3/4 :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정보에서 발췌.
개관 지난 10년 동안 군사용 레이다에 사용되었던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은 J 대역(10∼20GHz)의 마이크로파 영역이었으나 현재에는 점차적으로 K 대역(20∼40GHz)와 M 대역(40∼100GHz)의 밀리미터파로 전환되고 있다. 엄격하게 구분하면 밀리미터파 영역은 M 대역을 포함한 30∼300GHz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나, 실제적으로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부분 주파수는 전력 소모가 낮고 송출력이 높은 35GHz와 95GHz 대역이다. 안테나의 빔폭(beam width)은 파장에 비례하고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밀리미터파 신호의 주파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작은 안테나에서도 좁은 빔폭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낮은 고도에 있는 표적을 향해 좁은 빔폭의 밀리미터파를 발사할 경우 해수면(sea surface)이나 지형(terrain)에 스쳐갈 가능성이 적으며, 따라서 다중 경로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귀환 신호(returned signal)에 존재하는 표적과 레이다 클러터 신호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좁은 빔폭은 또한 재밍이나 디코이와 같은 전자 방해책에 거의 영향받지 않는다. 레이다의 작동 주파수가 전체적으로 K 밴드와 M 밴드로 이동되면 안테나의 이득 성능은 증가하지만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밀리미터파 레이다의 안테나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J 밴드 이하에 사용되는 큰 안테나보다도 수신되는 에너지 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감시 레이다의 성능은 송신 출력과 안테나 크기의 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밀리미터파 주파수를 장거리 감시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그다지 실용적이 못되지만 좀 더 근접된 단거리에서의 표적 포착과 추적용으로는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빔폭이 좁은 밀리미터파 주파수는 저공으로 비행하는 표적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우수한 탐지 능력을 보인다. 그러나 밀리미터파의 가장 큰 취약점은 신호에 대한 대기 흡수율이 높다는 점이다. 밀리미터파 신호는 3가지 주파수 영역에서 감쇄 정도가 극히 심각한데, 이들 주파수들은 약 22 GHz(대기중의 수증기) 그리고 60GHz과 118GHz(산소)가 해당된다. 안개의 영향은 약 20GHz에서 100GHz까지 1.6km당 1dB를 감쇄시키며 약 200GHz까지 계속적으로 증가된다. 시간당 5mm 비율로 떨어지는 빗방울에서는 30GHz에서 1.6km마다 1dB 감쇄가 일어나며 100GHz에서 1.6km당 약 3dB 감쇄가 발생된다. 기존 레이다는 전자기파를 방사하여,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에너지를 레이다 수신기로 탐지하는 능동 소자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밀리미터파 레이다도 능동형이지만 일부 레이다는 모든 물체의 온도에 따라 방출되는 밀리미터파 에너지의 복사량을 탐지하는 완전 수동형도 있다. 수동 밀리미터파 센서는 장파장에서는 적외선 탐색기처럼 작동하며 대상 지역을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의 영상과 마찬가지로 밀리미터파 영상도 광량에 따른 온도 차이를 나타나며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한다.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에너지와 달리 밀리미터파 에너지는 구름, 안개, 눈, 먼지를 비롯한 여러가지 미립자에 대한 투과 능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대기 입자들에 의한 에너지 감쇄는 극히 미약하기 때문에 영상 화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밀리미터 주파수를 감시용 장비 및 유도 탐색기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밀리미터파 에너지는 또한 인공적으로 제작된 장애물도 투과할 수 있는데 천막, 위장이나 나무 등으로 엄폐된 금속 표적도 식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수동 밀리미터파 영상은 전자파를 방사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다 클러터, 섬광 그리고 다중 경로 귀환과 같은 재래식 레이다에서 발생되는 문제가 자동적으로 해결되는 장점도 있다.
탐색기 밀리미터 탐색기는 각분해능(angular resolution)이 높기 때문에 hit-to-kill 미사일용 탐색기로 채택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Longbow 사격 통제 레이다(FCR : Fire Control Radar)과 이와 연동된 AH-64D 아파치 헬기용 AGM-114L Hellfire 미사일이다. 즉 AH-64D 아파치 헬기는 밀리미터파 레이다로 표적을 탐지하면 밀리미터파로 유도되는 Hellfire 미사일을 발사한다. Longbow FCR의 안테나에는 레이돔(radome)에 설치되어 있다. 공격시에는 레이돔을 열어 간단히 한 번의 레이다 스캔만 수행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처리기에서는 레이다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256개 표적들을 궤도 차량, 차륜 차량 등으로 분류하여 각 표적들의 위치, 속도 그리고 방향을 결정한다. 또한 항공 표적의 경우에는 호버링(hovering) 헬기, 비행 헬기 또는 고정익 항공기 등으로 구분시킨다. 표적에 대한 위협 우선 순위가 결정되면 위협 순위가 높은 16개의 표적이 조종실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탐지되고 식별된 모든 표적 정보는 전술 상황 표시기에 나타나며, 이 정보는 디지털 통신 링크에 의해 여러개의 지휘소로 전달된다. 아파치 헬기가 레이다로 획득된 위치와 속도에 대한 표적 공격 정보는 AGM-114L 미사일로 전송된다. 레이다 지상 클러터의 세기가 낮은 단거리 정지 표적과 이동 표적에 대해서, 미사일이 아직 발사되기 전에도 탐색기에서 표적을 포착하고 추적할 수 있는데 이를 발사전 표적 고정(lock-on-before-launch)으로 표현된다. 이외의 높은 클러터에 있는 다른 정지 상태 표적의 경우에 미사일은 발사후 포착 모드(lock-on-after-launch)로 작동된다. 발사된 미사일이 관성 유도의 부스터 단계를 벗어나면 탐색기는 표적을 즉시 포착(lock-on)하고, 이후 마지막 비행 단계에서 미사일 유도 장치는 높은 분해능의 레이다 자료를 활용하여 표적에 대한 최종 조준점을 선정한다.
지뢰 탐지 식물과 토양도 밀리미터파 복사를 일부 투과시키기 때문에 수동 밀리미터파 영상은 지뢰를 탐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네덜란드의 TNO 연구소가 94GHz 복사계(radiometer)를 사용하여 지뢰 탐지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보면, 밀리미터파 영상에 의한 지뢰 탐지는 대개 기상 조건에 좌우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플라스틱 기뢰는 배경보다 밝으며 금속 기뢰는 어둡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Thomson-Thorn사의 95GHz 복사계를 사용한 시험에 의하면 지뢰의 신호 특성은 주야간에 무관하고 나뭇잎에 가려진 상황에서도 탐지될 수 있으며 다만 토양의 매설된 경우는 한정된 범위에서만 적용된다. Thomson-Thorn사는 또한 오경보율이 낮고 기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검출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밀리미터파와 적외선 센서 자료를 결합시킨 데이터 융합 기법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독일의 Foeschungsinstitut사가 수행한 최근 연구에서는 35GHz와 94GHz가 동시에 작동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에서 레이다의 분해능이 지뢰의 크기와 비슷하다면 지뢰를 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비행 지원 임무 밀리미터파 레이다는 비행 경로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탐지하여, 조종사에게 사전에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조종실 표시 장치를 통해 제공함으로서 장애물을 회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에는 헬기를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고정익 항공기에도 탑재될 수 있다. Thomson사의 Romeo 2 장애물 경보기는 아마 대표적인 장비로 알려져 있지만 NASA의 Ames 연구소와 Honeywell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35GHz 레이다 전방 센서는 RASCAL(Rotorcraft Aircrew Systems Concepts Airborne Laboratory) UH-60 연구 헬기에서 비행 시험되었다. 이 계획은 원래 군사용에 초점을 두었으나 자동화한 침투 비행(nap-of-the-earth flight)에 대한 일부 고유한 기술적 발전은 비상 의료 헬기, 재래식과 고속 수송기, 원격 조종 항공기 등의 민수 분야에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밀리미터파의 또 다른 잠재력이 있는 적용 분야는 짙은 안개와 같은 악천후 조건에서도 민/군용 항공기용 착륙 지원 역할이다. 이런 관점에서 Textron사는 Thomson-CSF와 공동으로 MMLS(Mobile Microwave Landing System) 장비를 프랑스의 Foch 항공모함에서 장착하여 시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메라 NASA Langley 연구소는 5개의 기관 및 업체로 구성된 TRW사 팀과 공동으로 수동 밀리미터파 카메라를 시험하고 있다. 밀리미터파 카메라의 영상은 45cm 직경의 렌즈를 통해 1,040개의 검출 소자가 내장된 비주사 초점면 배열(staring focal plane array)에 집속된다. 각 검출기는 극히 작은 89GHz 수신기이다. 적외선 비주사 배열의 검출기처럼 각 검출기에 의해 구현된 영상은 조종사의 HUD(Head-Up Display)에 나타나며 최대 가시 거리는 약 8km이다. 쾌청한 날씨의 경우 밀리미터파 영상은 FLIR(Forward-Looking Infrared)보다도 훨씬 떨어지지만, 악천후에서도 원할한 성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열악한 기상의 비밀 항공 작전 등에 적합하다. ThermoTrex사는 가시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수동 영상 복사계를 개발하였는데, 이 복사계는 음향 광학 스펙트럼 분석기를 결합시킨 주파수 스캔 안테나 배열을 사용하고 있다. 사람 피부는 우수한 밀리미터 복사 방출원이며 밀리미터파는 쉽게 의복을 통과하는 특성이 있다. 총, 폭발물 또는 밀수품 등에서 발생되는 밀리미터 복사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TermoTrex사는 밀리미터파 복사계와 전자광학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수동 밀리미터파 카메라를 개발하였는데 근 실시간 응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 카메라는 10m 이상에서 떨어진 거리에서도 칼이나 권총과 같은 무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을 감시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는 또한 여러가지 형태의 건물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방 외부에서도 방 내부에 있는 사람과 물체들의 위치를 관측할 수 있다. 따라서 투과 밀리미터 영상 장치는 특수군, 경찰 장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Millimetrix사에서는 가까운 장소에서 고립된 실내를 감시하기 위해 능동형 레이다 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센서는 94GHz 송신기로 표적 영역에 에너지를 조사하면 반사된 에너지는 수동 초점면 배열 수신기로 탐지된다.
맺음말 레이다와 지휘 통제에서는 점차적으로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을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현재 2-18GHz의 주파수 범위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레이다 경보 장치와 재밍 장비의 주파수 영역은 밀리미터파로 확대되어 전자전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더욱 다양화될 전망이다.
영국 WAH-64 1번기 출고 - 2000년 3월 16일 디펜스 시스템 데일리. 3월 15일, 영국 GKN-Westland社는 영국 육군이 도입키로 한 AH-64 아파치 롱보우(Apache Longbow)의 영국 버젼인 WAH-64기 67대중 첫번째 기체의 출고식이 GKN-웨스틀랜드社의 Yeovil 공장에서 있었다. 영국 육군의 WAH-64 아파치는 미국 육군이 사용중인 아파치 롱보우보다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롤스로이스社의 최신형 RTM322 엔진에 의해 추진되며, 적의 미사일 공격을 탐지하여 채프와 디코이를 발사함으로써 헬리콥터를 보호해주는 기능을 가진 BAe 시스템社(과거의 로열 오드넌스社)의 고성능 방어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WAH-64 롱보우 사통레이더는 한번에 1000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하여 파일롯에게 그것이 戰車인지 트럭인지 아니면 방공시스템인지를 분별하여 알려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WAH-64의 기본무장으로 장착될 헬파이어 최신버젼은 본격적 Fire-and-Forget식의 對戰車 미사일로 4마일(6.4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중장갑 戰車를 격파할 수 있으며, 역시 무장으로 장착되는 BAe 시스템社의 CRV7 로켓은 경장갑차량과 비장갑차량을 격파하는데 사용된다. 영국 국방장관인 Geoffrey Hoon씨는 GKN-웨스틀랜드社의 Yeovil 공장에서 거행된 영국 육군의 신형 공격 헬리콥터의 출고식 석상에서 "아파치는 영국육군의 對戰車 능력을 21세기 수준으로 도약케 해 줄것이다."라고 말했으며, "영국육군의 16 공중 돌격 여단(Air Assault Brigade)은 유럽의 어떤 동급의 여단보다 강력한 전투력을 갖게 될것이다."고 말했다. WAH-64는 영국에서 작년 10월 영국 해군의 특공 헬리콥터(Commando helicopters)와 영국 육군 항공대에서 운용되는 모든 헬리콥터와 영국 공군의 지원 헬리콥터들을 통합 지휘하기 위하여 새로 창설된 통합 헬리콥터 사령부의 핵심 세력인 16 공중 돌격 여단의 주력 對戰車 헬리콥터로 배치될 예정이다. 한편 GKN-웨스틀랜드社는 금번 영국 육군의 신형 헬리콥터 조달 사업의 주계약자로 총 67대, 예산규모 20억파운드에 달하는 WAH-64 공급 프로그램의 최종조립및 각종 테스트를 책임지고 있다. 첫번째 롯트분으로 발주된 8대의 WAH-64 헬리콥터는 AH-64D의 개발/제작사인 미국의 보잉社에서 제작되며, 나머지 59대는 1999년 9월에 문을 연 GKN-웨스틀랜드의 Yeovil 공장에서 제작된다. 이번 조달계획에는 영국쪽에서 총 180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주요 보조계약자는 아래와 같다.
▷ 엔진 - 롤스로이스 터보메카(Rolls Royce Turbomeca), 브리스톨(Bristol) ▷ 방어 시스템 - BAe 시스템즈(BAe Systems), 스탠모어(Stanmore) ▷ 광학 센서, 타게팅 장비 - 아비보(Avimo), 타운튼(Taunton), 필킹톤 옵트로닉스(Pilkington Optronics), 글래스고우(Glasgow), BASE 크리스쳐치(BASE Christchurch) ▷ 탄약/미사일/로켓 - 헌팅 엔지니어링(Hunting Engineering), 앰프씰(Ampthill), 쇼츠 미사일 시스템즈(Shorts Missile Systems), 벨파스트 and 로열 오드넌스(Belfast and Royal Ordnance), 서머필드(Summerfield), 글래스코이드 and 콜레이(Glascoed and Chorley)
이날 출고식을 가진 첫번째 기체는 우선 다음달 부터 있을 각종 비행시험을 위해 Defence Evaluation and Research Agency에 공급될 예정이며, 실전 배치는 2000년 12월로 계획되어 있고 전 기체의 인도는 2003년 완료될 예정이다.
AH-64A/D 아파치 - 기체결함으로 비행중단. 미래를 준비하는 AH-64D. 영국, WAH-64 1번기 처녀비행 실시. 이스라엘, 보잉과 아파치 롱보우 개량형 직구매 계약. 일본육상자위대, 신형전투헬리콥터로 AH-64D 선정. 미육군, 아파치 롱보우 한국에 배치.
<AH-64D의 제 원>
승무원 |
조종사 1名+부조종사 1名 (무기관제요원) |
무장 |
기수部에 30mm M230 체인건+탄환1200발 고정무장, 4개의 하드포인트 16×헬파이어/헬파이어2 對戰車미사일 76×2.75 인치 로켓 (4×스팅어/미스트랄/스타스트릭스 空對空미사일 혹은 2×사이드와인더미사일) |
크기 |
메인로터직경 : 14.63m 테일로터직경 : 2.79m 메인로터면적(회전면기준) : 168.12 테일로터면적(회전면기준) : 6.132 전장(동체) : 15.47m 전장(로터회전시) : 17.73m 전고(동체) : 3.59m 전고(레이돔포함) : 4/95m 전폭(윙포함) : 5.79m 자중 : 5,352kg 내부연료적재량 : 1421리터 외부연료적재량 : 4×870리터 기본임무수행시총중량 : 7480kg 설계임무수행총중량 : 8006kg 최대이륙중량 : 10107kg(최대연료적재, 최대항속거리비행시) |
동력계통 |
엔진 : 2×General Electric T700-GE-701C turboshafts 최고지속출력 : 2×1409 kW (1890 마력) 응급시1개엔진최고출력 : 1447 kW (1940 마력) |
성능 |
최고항속속도 : 265kg(at sea level), 250km(1220m상공) 최고상승율 : 12.8m/s 최고수직상승율 : 8.4m/s(at sea level), 5.9m/s(1220m상공) 항속거리 : 407km(내부탱크만으로), 1900km(외부에도 연료탱크 장착시) 최대작전가능시간 : 3시간 9분 g limits : +3.5/-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