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737 AEW&C기

보잉社의 B-737 AEW&C기의 모습.
개관 보잉사의 B-737 AEW&C(Airborne Early Warning and Control)기는 여객기용의 B-737기체의 중간부분을 개조하여 제작한 것으로 애초 승객용 수하물및 화물 창고는 연료탱크로 용도 변경하였다. 특히 동체 상부에는 원반형태가 아닌 MESA(Multi-rol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를 탑재하여 외관은 E-3A기나 E767 AEW&C 기종보다는 오히려 스웨덴 에릭슨社의 에리아이 시스템과 더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잉社는 이 레이더 안테나를 'HAT'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고 있다. 수신기및 송신기 모듈은 HAT의 좌우및 앞,뒷쪽에 장치되어 있다. 이 안테나는 190 해상마일(대략 3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3,000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 할 수 있으며, 최대 탐지 가능 거리는 400 해상마일(대략 750km) 이다. 송수신 모듈은 L-밴드를 사용하여 탐지를 실시하며, 최대 소모 전력은 34kW이다. 시스템의 총중량은 5,450kg으로 종래의 미국에서 개발된 AEW기보다는 경량인 것이 특징이다. 관제 기능이 겸비된 기종인 만큼 HF, VHF/UHF, Link 4A, Link 11, SATCOM등의 통신 수단을 장비한다. 이밖에 자체 방어 시스템이 탑재되나, 그 자세한 내막을 현재까지 공개된 바 없다. 장거리 체공을 위해 공중급유기능이 포함된다. 레이더 부문은 노드롭-그루만社가 작업을 맡아 하며, 인티그레이션의 주체는 보잉社가 될지, 노드롭-그루만社가 될지 확인 할 수 없다.
개발사 호주는 1994년부터 1996년까지 2년간 AEW&C 능력을 확중하는데 대한 '프로젝트 정의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1997년 12월 2일. 호주 국방부 장관인 이안 맥라클런(McLachlan)은 호주 정부가 상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략적 검토 끝에 AEW&C 획득 프로그램을 승인 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보잉社(B-737기를 베이스 기체로 제안)와 레이디온社(A-310기를 베이스 기체로 제안) 그리고 록히드마틴社(C-130J기를 베이스 기체로 제안) 입찰에 참여하게 되었다. 호주 정부는 3개 경쟁 업체에 총 600만 달러를 투입하여 초기 설계안을 작성, 호주정부에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여러 과정을 거친 끝에 보잉社의 "Wedgetail"案이 1999년 7월 21일 선정되었으며, 이후 곧바로 도입 조건 협상에 들어가 2000년 2월 가격조건등에 대한 양쪽간의 의경에 일치를 보았다. 이는 계획된 1999년 말 보다 3개월 가량 늦어진 것이다. 첫번째 기체의 공급은 2004년이나 혹은 2005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호주 공군은 이 기체를 인수후 시드니 북쪽에 위치한 Williamstown 호주공군 기지에 배치할 예정이다. 한편 보잉社와 레이디온社는 터키에서도 기종 선정을 두고 격돌하게 되어 있다. 터키 AEW&C의 기종 선정은 애초 1999년 여름에 있을 예정이었으나, 다시 2000년경으로 미뤄진 상태이다.
가격 호주는 상기 기종 7기를 14억달러에 주문(병참지원및 교육 비용, 보충부품 제외한 순수 공장 출고 기체 가격임.)
기타 터키는 AEW&C기의 구매를 위한 프로젝트를 유지하고 있다. 애초 1999년 중반경 기종을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2000년으로 연기된 상태로 아마도 경제적 문제에 의한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터키의 AEW&C기 입찰에는 보잉社와 레이디온社가 호주에서와 똑같은 기종으로 참여하고 있다.
▶ '관련 소식' 게시판 관련 항목 : 호주 AEW&C기 구매수량 재검토. 터키, AEW&C기로 보잉 E-737기 선정. 보잉-노드롭그루만, MESA 레이더 계약체결. 보잉, 호주 E737 AEW&C용 레이더 설계 완료. 머큐리社, MESA 수색 레이더용 시스템 공급.
--- 2000년 7월 25일 작성됨.
B-737 AEW&C기의 제원
일반제원 |
기종 : 보잉 737 AEW&C 형태 : Airborne early warning aircraft 개발국 : 미국 제작사 : 보잉 컴퍼니 - PO Box 3707 Seattle,
WA 98124/ Phone: 001-206/237-2121/ Fax: 001-206/237-1706 승무원 : 2(조종석) + 6∼10 (객실, 다기능 콘솔 6개) 파워플랜트 : 2×CFM International CFM56-7 엔진추력 : 27,300 파운드 (121,3 kN) |
크기 |
전장 : 33.63m 전고 : 12.55m W/S : 34.31m W/A : 125m2 조종실내 長 : 24.18m 조종실내 幅 : 3.53m 조종실내 高 : 2.13m 실내바닥면적 : 75.12 조종실내 볼륨 : 148.73 |
성능 |
최고속도 : Mach 0.78 순항속도 : 760 km/h 접근속도 : 250 km/h 평상작전고도 : 30,000∼40,000 ft 비행고도 : 41000 ft이상 활주로 최소 이륙거리 : 1,660m 활주로 최소 착륙거리 : 1,100m 설계항속거리 : 5,550km이상 무급유 작전시간 : 9시간 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