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하늘밀리

E-3C 센트리

21c-park 2007. 6. 27. 16:48

E-3C 센트리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개관/임무
E-3기의 기체는 보잉 707-320B 기종의 군용화 버젼으로 레이더의 메인 안테나 역할을 하는 대형의 회전식 레이돔이 더해진 독특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레이돔은 레이더 안테나로써의 역할이외에, 피아식별시스템과 데이터 링크, 전투기관제용의 통신 안테나의 역할을 병행한다.
E-3기의 핵심적인 요소인 레이더는 수평상 360。방향으로, 또한 고도를 움직여 가며, 320km이상의 탐지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공중과 해상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하여 추적할 수 있다.
레이더의 센서부인 대형의 레이돔은 직경 9.1미터, 두께 1,8미터 크기로 동체위로 3.3m 위치에 있는 두개의 지지대에 의해 달려 있으며, 피아식별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하방감시가 가능하다.
E-3 기에 장치된 레이더의 하방감시(Look-Down) 능력은 E-3기에 지상과 해상의 혼잡한 상황으로부터 항공기를 따로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준다.
이밖에 기체에는 정찰레이더, 항법시스템, 통신시스템, 데이터처리시스템, 식별/표시 장비(콘솔)등이 장치되어 있으며, 정보처리용 네트워크는 IBM社의 지령/관제 다중처리용 컴퓨터의 공중버젼에 기반을 둔 것이다.

 

AWACS 기내의 임무용 콘솔. AWACS 기내에는 총 14개의 Command/Control 임무용 콘솔이 설치되어 있다 

항공기 내부 중앙부의 콘솔은 비디오 스크린위에 컴퓨터 처리된 데이터를 그래픽과 표형식으로 나타낸다.
콘솔 조작자는 정찰, 식별, 무기 콘트롤, 전투관리, 통신작업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E-3 AWACS 기에 탑재된 무선과 컴퓨터 부속시스템은 세분화된 戰場 정보를 모으고 분석할수 있다.
각종 데이터는 발생된 현시점에 수집되며, 이자료에는 적 항공기와 함정에 대한 위치및 추적 정보와 우군 항공기와 해군 함정의 위치및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렇게 모아지고 분석된 자료는 주사령부와 후방의 지령소로 전달될수 있다.
위기상황 발생시 이 자료들은 미국내의 NCA(National Command Authorities)로 보내진다.
(물론 미국의 경우에) 空對地 작전 지원시, E-3C 센트리는 저지, 정찰, 공수작전을 위한 직접 정보제공및 우군 지상군 지원을 위한 근접 공중지원을 수행할수 있다.
E-3기는 공중전 관제를 획득하고 유지함으로써 공중작전사령부를 위한 정보를 제공 할수 있다.
또한 공중 방어 시스템으로써의 E-3 센트리는 미국및 나토연합국의 국경 넘어 먼곳에 있는 적 공군기에 대한 식별및 추적을 할 수 있다.
E-3의 이러한 광범위한 작전수행능력은 세계 전지역의 위기발생시 미국으로하여금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처를 가능케 해왔다.
특히 E-3기는 적의 전파 교란을 분쇄하며 작전을 수행 할 수 있는 전자적 對대응수단을 가지고 있다.
E-3 AWACS 기는 재급유없이 8시간동안 비행이 가능하며, 또한 공중급유를 통해 작전 수행 시간을 연장할수 있다.
한편, E-3기는 적 레이더의 혼란을 일으켜 적영역을 파괴하고 귀환하는 저공비행의 아군기를 보호하는 임무도 수행 할 수 있다.

명칭관련
보잉社에 의해서 최종 조립되는 E-3 센트리는 공중 경보/관제시스템 (AWACS:airborne warning and control system) 항공기로 전술적 목적및 공군을 위한 전천후 공중정찰(Airborn surveillace), 지령(Command), 관제(Control), 통신(Communication)등(※ 편집자 註 :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은 略하여 C3라고 말한다.)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 항공기의 임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E-3 AWACS(Airborne Warning And Control System)라고 부르며, 영국에서는 E-3 센트리(Sentry) AEW(Airborne Early Warning)기라고 부르며, 프랑스에서는 E-3 SDA(Systeme de Detection Aeroporte)라고 부른다.

조종석/캐빈
조종석에는 두명의 조종사와 한명의 항법사와 한명의 비행 엔지니어등 총 4명이 위치한다.
E-3A의 캐빈내에는 AWACS 임무수행을 위한 13명의 운용요원이 있다. 그러나 E-3B및 E-3C기에는 18명이 위치한다.
기체부의 장비 배치는 통신장비, 신호-데이터 처리장비/ 지령-관제용 콘솔/ 항법-표적 식별 시스템의 순으로 되어 있다.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WACS기는 보잉사의 707-320B 기체를 베이스로 만든것으로 동체위 3.35m 높이에 직경 9.1m크기의 대형안테나가 장착된 유니크한 모습을 하고 있다 

 

레이더
레이돔(로터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내에 수납된 기본레이더는 노드롭-그루만社의 AN/APY-1/2 AWACS 레이더이다.
레이더 송수신기,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테이션은 기체내에 위치한다.
레이돔은 평상작동시 1분당 6회전하며 스캔을 실시한다.
레이더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레이돔 회전부의 윤활작용을 유지시키기위해 4분에 1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레이더는 강력한 인터리빙/디인터리빙을 사용하는 다중모드식으로 아래와 같은 운용 모드에 의해 사용된다.

▷ Pulse Doppler Non Elevation Scan (PDNES) - 공중표적에 대한 정찰임무 수행시
▷ Pulse Doppler Elevation Scan (PDES) - 표적의 고도값을 계산하기위한 경우에 사용
▷ 초수평선 펄스 레이더 모드
▷ 패시브식 운용 모드
▷ 해상모드 - 해상의 혼잡상황을 최소화하며 수상함을 탐지하기위해 매우 짧은 펄스폭을 사용한다.
▷ 대기모드

보잉社노드롭-그루만社 Electronic Sensors and Systems 디비젼은 현재의 AN/APY-1/2 레이더의 성능을 높여주어 작은 레이더 단면각을 가지는 순항미사일과 전자대응수단같은 표적들에 대한 탐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RSIP(Radar System Improvement Programme)의 생산 단계에 와 있다.
스텔스형 표적이나 작은 표적에 대한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신형의 정찰 레이더 컴퓨터(SRC : Surveillance Radar Computer)를 장착하고, AWACS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ADA 랭귀지로 짜는 것을 통해 구현된다.
신호/데이터는 고속의 강력한 IBM 4PiCC-1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다.
E-3기는 14개의 지령/관제 콘솔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콘솔에는 하젤타인(Hazeltine)社의 고해상도의 총천연색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
Telephonics Corporation社의 AN/APX-103 인터로게이터(Interrogator : 상대편이 아군인지 적군인지 판별하는 장치)는 민간및 군용 피아식별기능및 레이더 탐지범위내에 위치한 모든 표적에 대한 데이터자료를 (조작자에게)제공한다.
제공되는 데이터에는 IFF 상황, 거리, 방위각, 고도위치, 코드식별등이 포함된다.

항법
E-3 기는 두개의 AN/ASN-119 관성항법 시스템과 한개의 AN/ARN-120 메가 레이더 항법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장비들은 각각 델코社(Delco Systems)와 노드롭-그루만社에서 제작/공급된다.
E-3기의 속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AN/APN- 213 도플로 속도 센서로 텔레다인 라이언(Teledyne Ryan)社에서 공급되는 것이다.

엔진
미국과 NATO에서 운용하고 있는E-3 AWACS 기들은 4개의 TF-33-PW- 100/100A 터보팬 엔진에 의해 추진된다.
이 엔진들은 각기 21,000파운드의 추력을 내는 것으로 프랫트&휘트니社製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프랑스, 영국에서 사용중인 E-3기종에는 CFM International의 CFM-56-2A-2/3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다.
이 엔진은 TF-33-PW- 100/100A 터보팬 엔진보다 강력하여 기당 24,000파운드의 출력을 낸다.
높은 출력을 내는 CFM-56 엔진은 더 높은 고도에서의 운용을 가능케 해주어 레이더 탐지능력을 증대시켜 준다.
(※ 편진자 註 : 더 높이 떠 있으면 그만큼 수평선이내의 탐지범위가 확대되므로...)
주익내에 위치한 연료탱크에는 총 90,500 리터의 연료를 적재 할 수 있어 급유없이 한번에 9,250km(5,000 해상마일)이상의 거리를 날 수 있으며, 시간상으로는 11시간 이상의 비행이 가능하다.
당연한 얘기로 이 항공기는 공중급유 장치를 가지고 있다.

 

실전사용실적
1990년부터 1991년까지의 페르시아만 분쟁당시 총 11대의 미공군 소속 E-3 AWACS기가 사우디아라비아에 배치되어 사용되었으며, 이밖에 터기공군 기지에 배치된 3대이상의 미공군 소속 E-3 AWACS기가 추가로 투입되었고, 2대의 또 다른 미공군 소속 기체가 영국내의 공군기지에서 대기하였으며, 5대의 사우디아라비아 소속 E-3 기체가 활동하였다.
이 기간중 E-3 AWACS기는 총 845번의 소티를 기록했으며, 총 10,500시간동안 활동 했다.
그 기간동안 120,000건 이상의 레이더 돔에 의한 정찰및 관제실적을 올렸으며, 또한 총 40건의 격추실적중 38건이 E-3 센트리의 공중 관제에 의한 실적이다.
NATO의 E-3기들은 1992년 7월부터 1995년 9월까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지역상공에 설치된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감시활동에 사용된 바 있다.
이 기간중 E-3기들은 39,000이상의 시간동안 총 5,000에 가까운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밖에 E-3는 1979년 10.26 사태당시등 한반도 유사시에도 일본 가데나 공군기지로부터 전진배치되어 활동한바 있다.
현재 미국은 총 33대의 E-3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5대, 프랑스가 4대, 영국이 7대를 운영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NATO 사령부소속 기체가 따로 17대가 활동중에 있다.

--- 1998년 8월 6일 작성됨.

<E-3의 제 원>

기능

공중정찰및 C3

승무원

E-3A
항공요원 : 4名
경보/관제요원 : 14名

E-3B,E-3C
항공요원 : 4名
경보/관제요원 : 17名

크기

전장 : 46.62m
전폭 : 44.43m
전고 : 12.5m(레이돔 포함)
레이돔 직경 : 9.1m
레이돔두께 : 1.8m
동체윗부분으로부터 레이돔까지의 높이 : 3.35m

엔진

미국,NATO 모델
모델 : 4×프래트&휘트니 TF33-PW-100A 터보팬엔진
출력 : 21,000파운드/1기당

영국,프랑스,사우디 모델
모델 : 4×CFM 인터내셔날 CFM-56-2 터보팬엔진
출력 : 24,000파운드/1기당

성능

최고속도 : 800km/h 이상
최적순항속도 : 580km/h(Mach 0.48)
운용고도 : 10,670m(35,000피트)이상
최대항속거리 : 9,250km(5,000해상마일) 이상
작전가능시간 : 11간(무공중급유)
최대이륙중량 : 151,955kg(335,000파운드)

기타

제작자 : Boeing Aerospace Co.
단가 : 대략 2억7천만달러
최초배치일 : 1977년 3월

사용국가
미국 : 33대
사우디 아라비아 : 5대
NATO : 17대
프랑스 : 4
영국 : 7

 

 

'현대전쟁병기 > 하늘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턴(LANTIRN)  (0) 2007.06.27
E-2C 호크아이(HAWKEYE)  (0) 2007.06.27
B-737 AEW&C기  (0) 2007.06.27
E-767 AWACS. 조기경보기  (0) 2007.06.27
아파치 헬기  (0) 2007.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