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하늘밀리

군용기 명명법

21c-park 2007. 6. 27. 11:20

군용기 명명법

 

군용기의 이름을 어떻게 붙이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미군:
예를 들어 EA-6B라는 이름의 항공기가 있을때 첫째 자리(E)는 modified mission(변경된 임무), 둘째 자리(A)는 basic mission(원래 임무), 셋째 자리(6)은 design number, 넷째 자리(B)는 series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YF-23 와 같이 간혹 첫째 자리에 modified mission이 아닌 status prefix(상태 부호)가 붙는 수도 있으며 design number 앞에 문자가 하나만 있으면(F-15처럼) 그경우는 물론 basic mission을 나타내는 것이죠.

자, 그럼 첫째 자리 modified mission부터 보도록 합시다.

     A  - Attack(공격)
     C  - Cargo/ transport(수송)
     D  - Drone control(표적기 조종)
     E  - Special electronic installation(특수전자장비)
     F  - Fighter(전투)
     H  - Search and Rescue (SAR)(탐색, 구조)
     K  - Tanker (from Kerosene tanker)(급유. 제트기 연료는 kerosene 즉 등유계열임)
     L  - Cold weather(저온)
     M  - Multi-mission(다중 임무)
     O  - Observation(관측)
     P  - Patrol(초계)
     Q  - Drone(표적기)
     R  - Reconnaissance(정찰)
     S  - Anti-Submarine Warfare (ASW)(대잠수함)
     T  - Trainer(훈련)
     U  - Utility(다목적)
     V  - Staff/ VIP transport(스태프 및 귀빈 수송)
     W  - Weather(기상)

다음은 둘째 자리인 basic mission 입니다. modified mission과 중복되는 게 많죠.

     A  - Attack
     B  - Bomber(폭격)
     C  - Cargo/ transport
     E  - Special electronic installation
     F  - Fighter
     O  - Observation
     P  - Patrol
     R  - Reconnaissance:
        ER  - Electronic Reconnaissance(전자정찰)
        SR  - Strategic Reconnaissance(전략정찰)
        TR  - Tactical Reconnaissance(전술정찰)
     S  - Anti-Submarine Warfare (ASW)
     T  - Trainer
     U  - Utility
     X  - Research(연구)

셋째 자리인 design number는 특별한 규칙이 없이 대체로 같은 basic mission 안에서 후에 개발된 기종이 더 큰 번호를 쓰지만 적용 안되는 기종이 많습니다.

넷째 자리인 series는 같은 기종에서 개조가 이루어졌을 때 쓰입니다.
하지만 숫자1,0과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I, O는 쓰이지 않습니다.

간혹 붙는 status prefix는 basic, modified mission 보다 항상 앞에 오며, 테스트, 개조, 실험 등의 이유로 표준 장비는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G  - Permanently grounded(영구적으로 비행중지)
     J  - Special test temporary(일시적 특수 테스트)
     N  - Special test permanent(영구적 특수 테스트)
     X  - Experimental(실험)
     Y  - Prototype(개발완료 전의 시제작기)
     Z  - Planning(계획)

아참, 헬기는 basic mission자리에 H가들어가는건 아시죠?

미해군에는 약간 다른 기호들이 있긴 하지만 거의 같기때문에 넘어갑니다.

그리고 애칭(톰캣, 이글 이런거)은 그야말로 개발자 맘대로인데 그 기체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단어를 택합니다.
대체로 전투기는 공격적인 이름이 아무래도 많고 해군용 전투기는 대대로 cat으로 나가는 전통이 있습니다.
아마 Grumann이라는 회사의 전통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헬기의 경우는 전통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이름을 많이 붙입니다.(아파치, 코만치...)

러시아(구소련)군의 경우 개발사에 따라 붙이는데 각 개발사별 제조 기종이 있기 때문에 이름만 보면 대충 알수 있죠.

생각나는대로...
MiG: 미코얀 구레비치(전투기 및 그 개조)
Su: 수호이(전투기, 지상 공격기 및 그 개조)
An: 안토노프(수송기)
Tu: 투폴레프(폭격기, 수송기)
Mi: 밀(헬기)
Ka: 카모프(헬기)

그리고 애칭은 러시아에서 붙인게 아니라 적대국(이었던)인 NATO에서 붙인게 대부분인데 규칙은 전투기는 F로 시작하는 단어(Frog, Fulcrum...), 폭격기는 B로 시작하는 단어(Bear, Backfire...) 이런 식입니다.

그리고 미, 러 이외의 나라는 자기들 맘대로인데 미국 우방국들은 미국식 명명법을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