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해군 VAW-123 Screwtops비행대의 E-2C Hawkeye 2000
2005년 12월 7일 현재 미해군 항공모함 조기경보기 비행대의 편제와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Carrier Airborne Early Warning Squadron 비행대명칭과 기호및 콜사인 / 기 종 / 모기지 VAW-77 AF Nightwolves / E-2C / NAS Atlanta, GA. / CVWR-20 VAW-112 NG Golden Hawks / E-2C / NAS Point Mugu, CA. / COMAEWWINGPAC VAW-113 NK Black Eagles / E-2C Hawkeye 2000 / NAS Point Mugu, CA. COMAEWWINGPAC VAW-115 NF Liberty Bells / E-2C / NAF Atsugi, Japan COMAEWWINGPAC VAW-116 NE Sun Kings / E-2C Hawkeye 2000 / NAS Point Mugu, CA. COMAEWWINGPAC VAW-117 NH Wallbangers / E-2C Hawkeye 2000 / NAS Point Mugu, CA. COMAEWWINGPAC VAW-120 예비비행대 AD Gray / Hawks E-2C , E-2C Hawkeye 2000, E-2C Hawkeye 2000 NP, C-2A / NAS Norfolk, VA. / COMAEWWINGLANT VAW-121 . Bluetails / E-2C Hawkeye 2000 NP / NAS Norfolk, VA. COMAEWWINGLANT VAW-123 AB Screwtops / E-2C Hawkeye 2000 NP / NAS Norfolk, VA. COMAEWWINGLANT VAW-124 AJ Bear Aces / E-2C Hawkeye 2000 NP / NAS Norfolk, VA. COMAEWWINGLANT VAW-125 AG Tigertails / E-2C Hawkeye 2000 / NAS Norfolk, VA. COMAEWWINGLANT VAW-126 AC Seahawks / E-2C / NAS Norfolk, VA. COMAEWWINGLANT
(*1) COMAEWWINGLANT : Commander Airborne Early Warning Wing Atlantic (*2) COMAEWWINGPAC : Commander Airborne Early Warning Wing Pacific (*3) CVWR-20 : Carrier Air Wing Reserve TWENTY (*4) FRS : Fleet Replacement Squadron







미해군 항모의 눈 E-2C+ Hawkeye 2000
미해군 항공모함 USS HARRY S. TRUMAN (CVN 75) 에 탑재되는 E-2C-2000 Seahawk(VAW-136)
E-2 Hawkeye 항공모함용 조기경보기
□ 개발배경 초기 공중 조기경보 플랫폼은 기존 항공기의 변형으로 조기경보 임무를 수행하도록 완전하게 구성되지 않았고, 효과면에서도 한계가 있었지만 저공 비행기를 탐지할 수 있을 만큼 탐색 범위를 확대하는 데는 성공적이었다. 1960년대에 새로운 항공기로서 E-2A 호크아이가 공중 조기경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는데 호크아이라는 별명 그대로 미국 해군 항공모함 기동부대의 "눈" 역할을 하고 있다. E-2 시리즈는 처음부터 조기경보 통제기로 개발된 유일한 항공기이며 초기 생산형인 E-2는 1964년부터 실용단계에 들어섰다.
□ 주요제원 및 성능 1. 기체 - 제작사 : 노드롭 그루만(미국) - 기 체 : C-130 - 기 고 : 5.58m(18.31ft) - 기 장 : 17.54m(57.56ft) - 기 폭 : 24.56m(80.58ft) - 자 중 : 17,270kg(37,994Ibs) - 최대 이륙중량 : 23,560kg(51,832Ibs) - 엔 진 : Allison T56-A-425터보프롭 엔진 - 엔진추력 : 3,661kw(4,910shp)×2 - 최대 순항속도 : 576km/h(311knots) - 순항속도 : 496km/h(268knots) - 실용 상승고도 : 9,387m(30,800ft) - 순항거리 : 2,583km(1,394NM) - 체공시간 : 6시간
2. 레이더 - 제작사 : 록히드 마틴(미국) - 장비명칭 : AN/APS-145 - 레이돔 직경 : 24ft - 안테나 회전 : 5~6rpm - 탐지거리 : 저고도 200 / 장거리 248NM - 빔형태 : FAN빔 - 작동원리 : 펄스 도플러, 펄스 압축 - 주파수 : 600MHz(UHF) - 고도측정 : 지상/해상 반사파 이동 - 식별장비 : mode 1, 2, 3, 4, C - 항적처리 능력 : 400개 항적 - 관제능력 : 15항적 - 콘솔수 : 3개(관제: 2, 감시:1) - 전자전 능력 : 자동탐지 및 방어능력
□ 특성 및 성능개량 ㅇ 특 성 - 장시간 체공 임무와 항공모함 작전을 위한 견고한 구조에 터보프롭 엔진을 연결시켰으며 완벽한 통신 및 항법장비, 3명의 오퍼레이터들을 위한 레이더 디스플레이와 특수 목적의 중앙 통제 컴퓨터를 갖추었고 항공전자분야의 핵심은 레이더와 독특한 로터돔에 설치된 안테나 세트이다. - E-2A 호크아이는 베트남전 등 실전 전투작전을 통해 탐지 시스템이 개선되었고, 광범위한 개발 프로그램은 항공 전자장비 디자인의 변경을 가져왔으며, 먼저 고속처리 디지털 컴퓨터, 그 다음에는 신형 레이더로의 변경을 가져왔다.
ㅇ 성능개량 - 이미 2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셈이지만 지상을 저공으로 비행하는 목표를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E-2C가 등장한 것은 1972년의 일이다. - 감시체계의 주장비인 레이더는 초기에 General Electric사의 APS-120 레이더를 탑재하였으나 그 후 목표물을 자동 탐색, 분석하고 방해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탐색 범위 463km의 APS-125 ARPS(Advanced Radar Processing System)로 교체되었고, 1983년 신형 APS-138 레이더로의 교체 과정을 거쳐 1989년도부터는 새로운 상황 처리 기법으로, 특히 잡음이 심한 작전상황하에서 항적탐지 능력을 향상시킨 APS-145레이더로 개선되었다. - E-2C기에 탑재된 전자장비는 교신량이 많은 작전상황을 고려하여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처리능력을 보유하였으며, E-2C 레이더로부터 입력되어 자체 생성된 항적과 타 항적 생성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항적 등 총 400개의 항적을 동시 처리할 수 있고, 요격기의 연료상태와 무기의 이용 가능성 등을 계속 점검하는 상호 교신용 공대공(two-way air-to-air) 데이터 링크는 목표물에 대한 아군 요격기의 유도를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 - 또한 다른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E-2C기의 디지털 데이터 링크는 수집된 정보를 임무 교대 하는 다른 E-2C에게 넘겨줄 수 있어 연속적인 감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후부 동체 상부에 탑재한 회전식 레이돔은 분당 6회전을 하고 있으며, 상하로도 60cm를 움직일 수 있어 탐지 능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 운영개념 ㅇ 고도도 장거리 항법 비행 ㅇ 미사일 및 항공기 공중 감시 및 통제
□ 주요 탑재장비 ㅇ 장 비 : APS-145 레이더
□ 운용국가 및 실전사례 ㅇ E-2C Hawkeye는 미 해군에서 150여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일본(10), 이스라엘(4), 이집트(5) 및 싱카포르(4)에도 수출되었다.
획득 계획을 세울때 부터 전용의 함상 공중조기경보(Airborne Early Warning) 전용기로 설계된 미해군의 함상 AEW기로, 그루먼사는 2차대전때부터 AEW기에 관한 경험과 실적을 쌓아왔으며, 1956년 12월에 동체상부에 커다란 고정식 레이돔을 설치한 E-1B(WF-2) 트레이서를 개발하여 1960년에 실전 배치함으로써 본격적인 미해군의 함상 AEW시대를 열었다. E-2는 함정에 장비된 NTDS(Naval Tactical Date System)와 대응되는 ATDS(Airborne Tactical Date System)의 공중 플랫폼으로써 1956년에 구상이 시작되어 1959년 3월에 그루먼사가 개발 제작사로 선정되었다(구명칭 W2F-1). E-2는 제네럴 일렉트릭(현재 록히드 마틴)사가 개발한 UHF 레이더와 고공에서 저공에 이르는 목표물을 포착할 수 있는 이동목표 표시(넌코히런트 MTI) 기술개발의 성공 때문이다. TV에서도 사용하는 UHF 주파수 대역은 안테나가 크지 않고 해면클리터 제거가 쉬운 장점이 있다. 직경 7.32m, 두께 0.76m의 회전식 레이돔(rotodome)의 가운데에는 안테나가 들어있으며 돔 자체는 10초에 한바퀴씩 회전한다.
레이더는 멀티패스(해면을 경유하는 발사)를 이용하여 목표의 고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지빔이 기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E-3와 달리 레이더 작동중에는 뱅크각이 없는 선회(플랫턴)가 요구된다. 레이더를 탑재한 기체로서 함상기의 제한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대형 수직미익을 포기하고 4장으로 쪼개어 수평미익의 위에 설치하는 아이디어를 짜내기도 하였다. 가는 동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3명의 레이더 조작요원이 회전식 좌석에 앉아서 좌측의 콘솔에 나타난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함상기로서 캐터펄트 사출을 위해 최초로 런치 바를 채택하였다. E-2A의 항공역학 시험용 1호기는 1960년 10월 21일에 첫비행 하였으며, 전자장비 시험용 3호기는 1961년 4월 19일에 첫비행 하였다. E-2A는 1964년 1월부터 비행대 배치가 시작되었으며, 59대가 생산되었다. 1965년 10월에는 항모에 전개하여 베트남전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베트남전에 투입된 후 무더운 날씨 때문에 E-2A의 전자장비가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여 1967년부터는 신뢰성 향상 계획이 시작되어 E-2A 중 52대가 1971년까지 아날로그 컴퓨터를 디지털로 교체하는 E-2B 규격으로 개조하였다.
한편, 1971년 1월에는 YE-2C가 비행을 시작하였으며 APS-120 레이더를 탑재한 E-2C 1호기가 1972년 9월에 첫 비행 하였다. 그후 생산형은 탑재전자장비가 계속적으로 개량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E-2C 형으로 불리지만, 실제로 레이더를 비롯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E-2C는 크게 그룹 0(100대), 그룹 1(18대), 그룹 2(현재 생산중)가 있으며 현재는 호크아이 2000이라는 발달형을 계획중이다. 레이더의 기본형식과 UHF 대역은 변함없음에도 APS-96에는 APS-111을 거쳐 E-2C는 APS-120,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APS-125, APS-138, APS-139로 발전하였다. 개량 작업의 핵심은 육지 상공 목표물의 처리, 복잡하고 강력한 그라운드 클러터 환경에서의 이동목표물 탐지 및 추적이며, 추적작업도 수동에서 자동으로 개량되었다. 한편 기 생산분도 차례로 신형 레이더 장착 개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1991년부터 등장한 그룹 2의 APS-145 레이더는 사이드 로브를 줄인 TRAC-A(Total Radiation Aperture Control Antenna)를 지니며 탐지거리가 수평선 너머 560km에 이른다. 약 2,5000㎦의 공간을 수색하여 2,000개 이상의 목표를 자동적으로 탐지 추적하며 동시에 40개 이상의 목표물에 요격관제를 할 수 있다. 현재는 미션 컴퓨터를 E-8 J-STARS와 같은 DEC사의 2100 모델 1500MP 개량형으로 교체중이다.
한편 E-2C의 기체이는 패시브 탐지 시스템(PDS)을 장비하였으며 전방 동체위에는 전자장비 냉각용 에어스쿠프가 대형화되어 E-2A/B형과 쉽게 구별된다. E-2C의 엔진은 T56-A-422(4591shp)에 1974년말 프로펠러를 클래스파이버외피로 개량한 A-425로 변경하였으며, 1989년부터는 출력을 5100sph로 강화한 T-56-A-427로 바뀌었다.
미해군의 E-2C 조달은 1994년 3월에 통산 139호기(시작기 2대를 포함)로 일단 종료하였으며, 1994년 말 추가발주를 승인 받아 1995년에 생산라인을 뉴욕주에서 플로리다주로 이전하여 생산이 재개되었다. 1997년 이후 연간 4대정도가 인도중이며 최종적으로 175대가 조달된다. E-2C의 초기 생산형 E-2C는 전자장비의 개량에도 불구하고 노후화로 인하여 계속적인 운용이 어렵기 때문에 대체용으로 추가발주가 이루어졌다.
미국 이외의 E-2C 채택국가는 이스라엘(4대), 이집트(6대), 싱가포르(4대), 프랑스(2대), 일본 항공자위대(13대)이며, 1997년부터 인도된 프랑스 수출형 이외에는 그룹 0에 속한다. 한편 대만은 E-2B를 개수하여 APS-138을 장비한 개량형을 E-2T란 명칭으로 1995년부터 4대를 인수하였다. 일본항공자위대 비행대 배치는 198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1987년 1월까지 8대를 구입하여 경계항공대를 편성하였다(1994년까지 5대를 추가구입). 그러나 해군기인 E-2C는 항공자위대의 BADGE 방공시스템과 직접적인 데이터 링크가 불가능하여 지상기지의 통신버퍼를 거쳐 정보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결국 E-767을 구입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