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벌판밀리

영국육군 주력전차 Challenger 1&2

21c-park 2007. 6. 29. 11:50

영국육군 주력전차 Challenger 1&2

 

 

 

야간 기동훈련중인 챌린져

기동훈련중인 챌린져Ⅱ의 모습. 주포 양옆의 L8 연막 발사장치와 사수, 전차장용 조준기, 맥도넬더글라스製 7.62mm 체인건의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120mm 라이플건을 사격중인 챌린져Ⅱ

오만에 수출된 챌린져

챌린져Ⅱ의 1200마력 엔진

챌린져Ⅱ의 조종수석

챌린져Ⅱ의 내부 투시도

 

챌린져 1
애초에 이란 국방부에 납품키로 계획되었던 수출모델 Shir/Iran 2의 개량형인 '챌린져'는 센츄리온(Centurion) - 치프틴(chieftain)으로 이어지는 영국 육군 주력전차의 계보를 잇는 전차이다. 이란 혁명이후 이란에 대한 Shir/Iran 2모델의 공급 계획은 영국 육군에 의해 철회되었으며, '챌린저' 모델은 후에 개량되어 '챌린저1'으로 명명되었다.
'챌린저1'과 '치프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크게 두가지로, 1200마력에 달하는 '챌린저1'의 강력한 엔진과, '초우밤' 장갑에 의한 강력한 장갑 능력이다. '초우밤(Chobham)' 장갑판은 현재 세계 주요 주력전차의 장갑판으로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양쪽의 장갑 사이에 비정질층을 두어 대전차(對戰車)용의 철갑탄에 의한 관통력을 현저히 약화시켜 기존의 鐵製 장갑판에 비해 훨씬 더 뛰어난 장갑 성능을 보여준다.

챌린져 2
개관
챌린져 2는 영국 군수산업체인 비커스 디펜스 시스템(Vickers Defence Systems)社에서 개발되고 제작된 최신형 MBT이다. 전체 외관은 챌친져 1의 전장에서 이미 사용되어 (유용성이)입증된 설계에 기반을 두고 있다.챌린져 2는 현재 영국 육군과 오만 육군용으로 양산 제작되고 있다.
1993년 7월 오만은 18대의 챌린져 2 전차를 4대의 챌린져 구난 전차, 4대의 Alvis 지휘차량, 2대의 챌린져 훈련전차, 9대의 전차 수송차량과 함께주문하였다. 영국 국방성은 1991년 6월 127대의 챌린져 2전차를 주문하였으며, 1994년 7월 259대를 추가 주문하였다.

포탑및 외관
챌린져 2에는 전차장, 사수, 조종수, 탄약수 4명이 탑승하며, 증가된 전투력및 효율적인 사격속도를 가지고 있다. 전차장席는 오른쪽에 위치하며, 1배율의 8개의 잠망경이 장치되어있어서 360˚방위로 관측이 가능하다. 각각의 잠망경에 부착되어 있는 빨간색 지령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 잠망경이 위치한 방위로 잠망경의 (둥그렇게 둘러싼) 라인을 따라서 포탑을 회전시킬수 있다. 사수는 전차장의 아래 앞쪽에 위치하며, 탄약수는 왼쪽에 위치한다. 탄약수석 역시 잠망경이 장치되어 있다.
조종수석은 전차의 앞쪽에 위치한다.

무장
챌린져 2는 영국 노팅험에 위치한 브리티쉬 에어로 스페이스 디펜스社의 Royal Ordnance 디비젼에서 공급되는 6조 강선의 L30, 120mm 라이플 전차포를 주포로 한다. L30포는 안쪽에 더 강하면서도 부드러운 표면처리를 가능케 하는 크롬라이닝이 부착되어있다. 크롬라이닝을 함으로써 사격속도를 증가시킬수 있고, 따라서 포탄의 관통력도 증대되며, 더큰 정밀도를 얻을수 있으며 포탄의 손상을 줄일수 있다.
L30포에는 이밖에 포구참조 시스템과 발사시 매연을 밖으로 방출시키는 시스템이 부착되어 있다. 포탑은 360˚ 회전이 가능하며, 상하로 -10˚∼+20˚ 조정이 가능하다.
목표물 측정처리 시스템은 전장에서의 쉬운 사용을 가능케 하는데 역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이 시스템은 주간이나, 야간이나, 정지된 목표물및 이동중인 목표물에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사수나 전차장이 목표물을 지정할수 있으며, 레이저 거리측정기 버튼을 눌러서 거리를 측정한후 측정된 데이타값을 근거로 사격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사작업을 완료한다.
120mm L30포는 현재 개발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120mm포탄-APFSDS탄, HESH탄, 연막탄등-을 발사할수 있으며, 챌린져 2에는 50발의 포탄을 적재할수 있다. 또한 M1 에이브럼즈 전차와 마찬가지로 일반 철갑탄 대비 2배반의 관통력을 가진 열화우라늄재질로 갑피가 만들어진 열화우라늄탄을 발사할수 있다.
포 조작은 GEC 마르코니 레이더 & 디펜스 시스템社의 全電子化된 포 조작시스템과 안정장치에 의해서 제공된다.
챌린져 2는 또한 맥도넬더글러스社의 7.62mm 체인건을 주포의 좌측에 장착하고 있다. 전차의 왼쪽에 위치한 탄약수석에는 7.62mm GPMG 對空 기관총이 장착되어 있다.
포탑 앞쪽의 양옆에는 영국 켄트주에 위치한 헬리오 미러社의 L8 스모크 발사장치가 장치되어 있다. 챌린저 2는 미국의 에이브럼즈 전차와 마찬가지로 디젤엔진의 매연을 연막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챌린져 2는 Military Standard 1553 데이터버스가 장치되어 있으며, 카나다온타리오주에 위치한 컴퓨팅 디바이스社의 디지탈 컴퓨터 사격 관제 컴퓨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 컴퓨터에는 부가적으로 전장 정보 관제 시스템, 운행및 훈련 시스템을 부가적으로 다룰수 있는 능력이 있다.

센서
전차장에게는 프랑스의 SFIM 인더스트리의 VS 580-10 자이로스테빌라이즈 조준기가 제공된다. VS 580-10의 상부 유니트는 포탑 지붕위에 장착된다.
네오디움 이트리움 알루미늄 심홍색(Nd:YAG) 레이져 거리측정기는 포탑 안쪽의 아래쪽 텔레스코프 어�블리에 상부유니트가 결합되어 있는 측정장비에 결합되어 있다. 텔레스코프 어�블리는 광학 시야 시스템, 핸드 콘트롤, 전자장비, 시야 안정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준기는 전차장이 머리를 움직이지않은 상태에서도 전방위 시야를 제공한다. 이 조준기는 상하 ±35˚, 방위각 16.5˚ 범위내에서 3,2배율, 5˚범위내에서 10.5배율의 시야를 제공한다.
글래스고우의 Pilkington Optronics社의 열영상기 (Thermal Observation and Gunnery Sight II: TOGS II)는 야간 시야를 제공한다. 이 영상기는 포위의 장갑포좌내에 장치된다. 이영상기는 온보드(On-board) 압축기와 개스 보틀팩에 의해서 냉각된다. 이 영상기는 목표물및 시스템의 상황을 심볼로써 표시해 주며, 이 영상기는 4배율및 11.5배율로 사수및 전차장의 조준기에 상황을 나타낸다. 이 열영상기는 또한 사수석및 조종석에 위치한 모니터에도 동일한 영상을 제공한다.
사수는 글래스고우의 Pilkington Optronics社의 사수기본조준기(GPS: Gunner's Primary Sight)를 가지며, 이 조준기는 조준기 몸체, 헤드 유니트, Nd:YAG 레이져 거리측정기, 디스플레이 모니터로 구성된다. 1.064 마이크론 파장의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200미터 이상 10킬로미터 범위의 측정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 측정거리에서 ±5미터이내의 정밀도와 30미터의 식별능력을 가지고 있다. 사수석에는 또한 주포와 같은 축에 나오퀘스트(Nanoquest)社의 모델 L30 망원경이 장치되어 있다. 조종석에는 Pilkington Optronics社의 PDP(Passive Driving Periscope) 잠망경이 장치되어 있으며, 이 잠망경은 야간 투시장비를 사용하여 야간 관측을 가능케 한다.
야간에 챌린져 2는 PDP 잠망경을 사용하여 특별한 조명없이 주간과 거의 동등한 속도를 낼수 있다.

측정과정
포탑의 지붕에 장착된 광각 조준기를 목표물에 정렬시킨고, 주포가 자동적으로 목표물에 위치할 때까지 포탑을 회전시키기위하여 정렬 스위치를 누른다. 사수는 이렇게 정렬된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위하여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누르고 사격 스위치를 누른다. 사수가 거리측정값을 산출하자마자, 전차장은 전차장 조준기를 사용하여 두번째 목표물에 대한 거리측정값을 얻기위해 전차를 위치 시킬수 있다.
사수에 의해서 측정된 첫번째 목표물과 두번째 목표물의 양 목표물에 대한 데이터는 디지탈 사격 관제 컴퓨터에 저장된다. 주포가 발사되고 첫번째 목표물에 대한 격파가 완전히 끝났을 때 전차장은 두번째 목표물에 주포를 정렬시키고 자동적으로 사격이 행해진다.

안전
챌린저 2의 설계목표는 승무원의 안전과 전차의 생존능력을 극대화 시키기는데 주안점이 두어졌다. 포탑은 對戰車 무기의 관통 저지능력이 증가된 제2세대 초우밤 장갑으로 보호된다.
이 전차는 NBC(nuclear, biological and chemical)무기에 대한 방호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전차의 전자장비들은 핵 전자기적 펄스(nuclear electromagnetic pulse: EMP)에 대해 보호된다. 핵 전자기적 펄스에 대한 저항력이란 핵폭발시에 발생하는 교란파로 인해 전자장비들이 망가지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이다. 혹시 오우삼 감독이 헐리우드에 진출하여 만든 'Broken arrow'란 영화를 보셨다면 그 장면이 나오는데, 존트라볼타가 핵무기를 적재한 B2 스텔스 폭격기로 훈련비행도중 핵무기를 탈취하지만 동료였던 크리스챤 슐레이터의 활약으로 존 트라볼타는 뒈지고 미국은 다시 위기에서 벋어난다는 황당한 내용의 영화로 그 영화에서 존 트라볼타가 자신을 쫓는 헬리콥터가 자신의 앞에서 위협을 가하지만, 피식 웃으면서 여유를 부리는 장면이 나온다. 곧이어 지하에 숨겨진 핵폭탄이 터지면서 주변의 모든 전자장비가 오동작을 일으키고, 헬리콥터는 제어능력을 상실한채 추락한다. 물론 이걸 보면서 존 트라볼타는 키득키득 거리면서 웃고...
포탑과 주포의 동작은 고압의 유압장치보다는 오히려 솔리드 스테이트 전기 장비에 의해서 작동된다. 전기장비에 의한 구동은 승무원 거주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고압 유압 호스의 파손에 의한 손실을 막아준다. 포탑과 동체는 레이더에 의한 포착을 최소화시켜주도록 스텔스기술이 적용되었다.

평가
챌린져 2는 성공적으로 영국 육군및 오만 육군에 의해 실시된 평가를 마쳤다. 이 때 모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무장시스템, 신뢰성, 생존능력을 포함하는 변수들에 대해 데몬스트레이션이 이루어졌다. 초우밤 장갑에 대한 성능시험은 실제로 챌린져 2전차의 포탑에 현대적 對戰車 무기를 발사함으로써 실시되었으며, 이 실험에서 포탑은 관통되지않았고 포탑내의 조준 장비 역시 온전했다.

추진력
챌린져 2는 영국 숍쇼어 지방에 있는 퍼킨스 엔진 공업社의 12실린더 1200마력의 디젤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데이빗 브라운(David Brown)社의 TN54 전진 6단 후진 2단 T/M을 장착하고 있다. 도로에서의 최대속도는 시속 59km이며, 산악지역에서는 시속 40km의 속력을 낸다. 최대 항속거리는 도로에서 450km, 산악지형에서 250km정도이다.

--- 1998년 5월 최종 수정됨.

--- 1999년 3월 11일 오만에 수출된 챌린져Ⅱ 사진 추가.

1999년 6월 25일 추가된 내용-열화우라늄에 대해
열화우라늄에 대해서는 이용훈님의 '열화우라늄이란 무엇인가'라는 글을 본홈페이지의 「Military-Review」에 올렸으니 참조하시기 바란다.

▶ '무기자료' 게시판 관련 항목 :
챌린져-2 전차, 최종 공급분 테스트 통과.

<챌린처 2의 제원>

제작사

Vickers Defence Systems Ltd

승무원

4名

크기

전장 : 11.55m(포전방위치)
전폭 : 3.5m
전고 : 2.49m
최저지상고 : 50cm
전투중량 : 62.5톤

무장

주포 : 로얄오드넌스 L30 120mm CHARM Gun
전차장기관총 : 7.62mm GPMG
동축기관총 : 7.62mm MG

방호장비

2×5연장 L8 연막발사기
엔진배기가스 연막발생장치
NBC 방호능력 : 실내공기압가압장치, 공기여과장치

엔진

모델 : 퍼킨스社 대향 12기통
출력 : 1200마력

성능

최고속도 : 56km/h(도로), 40km/h(야지)
주행거리 : 450km(도로)/250km(야지)
수직장애물통과능력 : 0.9m
참호통과능력 : 2.34m

시스템

전차장용 : 독립주간조준기(광학식), 헌터킬러, 레이져거리측정기
사수용 : 주야간 사수기본조준기(주간-광학식, 야간-열영상), 레이져거리측정기

 

 

 

'현대전쟁병기 > 벌판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고성능의 자주포 'K-9 썬더(thunder)  (0) 2007.06.29
미국의 주력전차 M1A2  (0) 2007.06.29
프랑스 주력전차 Leclerc.doc  (0) 2007.06.29
한국 장갑차 제원  (0) 2007.06.29
일본 90식 전차  (0) 200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