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벌판밀리

한국 장갑차 제원

21c-park 2007. 6. 29. 11:43

[ 궤도식 장갑차 ]

 

1. K200 장갑차


 

                                                                                                         

현대전에서의 장갑차의 역할은 준 전차화된 차체에 기동력, 화력, 방호력을 겸비하여 적 장갑차 파괴는 물론 전차와 대적할 수 있는 중기관포, 중구경포를 구비하고 있어 탑승전투 및 전차 기동에 제한을 주는 애로지역, 교량 확보등 하차전투, 침투전투 등을 수행하므로써 전차와 장갑차는 남편과 아내처럼 항상 동반하여 운용되어야 하는 주요 무기체계이다.

K200 보병수송장갑차(APC)는 1985년 국내 독자 개발되어 운용되는 한국군 보병 주력 장갑차로, 1993년에 국내 최초로 해외에 수출하여 UN의 보스니아 평화유지활동에서 뛰어난 성능이 입증된 장비이다. 육군의 제안에 따라 1980년부터 한국형전투장갑차의 개발이 시작되어 1984년에 개발완료와 동시에 K200으로 명명된 K200전투장갑차는 기존의 미군원장비인 M113 장갑차를 대치하여 현재 군에서 주력장갑차로 운용 중에 있다.

ㅁ 주요제원
중량 : 13톤

엔진출력 : 280마력(8기통 v형)

최대속도 : 74km

항속거리 : 480Km
도섭심도 : 무제한

등판능력 : 60%

무장 : M60, MG50 각 1정
승무원 : 12명

제작사 : 대우중공업

2. K200A1 장갑차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K200A1 장갑차은 K200 개량형으로 1994년에 엔진출력증대, 변속기 자동화 등의 성능개량을 통해 기동성과 운용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1993년 말부터는 K200전투장갑차를 포함, 구난차, 박격포차, 지휘차 및 구급차가 국산 기동장비로써는 최초로 말레이시아에 수출되어 현재 말레이시아 군이 운용 중에 있으며 특히 말레이시아 대대병력의 UN 보스니아 평화유지활동에서 그 뛰어난 성능이 입증되었다.

K200A1는 적의 포화속에서 보병 분대를 수송하기 위한 장갑차이며 장갑으로 보호되는 내부에서 사격구를 통해 사격을 할 수 있으며, 포수와 차장의 포탑에 장착된 컬리버 50, 30 기관포의 엄호를 받으며 하차할 수 있어 전장에서의 보병의 기동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비이다.
조종수, 포수 및 차장을 포함하여 12명의 완전 무장한 보병을 수송할 수 있으며 최대 속도 시속 70km, 정지 상태에서 32km 까지 가속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6.5 초로(K200 모델은 10초) 초기 기동성이 매우 우수한 장갑차이다.
수륙양용이며 수상에서는 무한궤도의 회전을 추진력으로 시속 7km의 속도를 낼 수 있어 별도의 도하 장비 없이도 작전에 임할 수 있어 기동성면에서 매우 우수한 장비이다. 이 우수한 기동성은 13,2톤의 전투중량하에서 톤당 26.5 마력을 낼 수 있는 350마력의 강력한 디젤 엔진과 자동 변속기 덕분이다.

K200A1의 엔진, 변속기, 냉각장치 및 주변장치들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어 빠른 지상 기동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기동성은 보다 적은 정비시간과 장비의 높은 신뢰성에 기인한다.

K200A1차체를 활용한 계열장비로는 화생방정찰차(K216), 107mm(4.2")박격포 탑재차(K242A1), 20mm 발칸탑재차(K263A1), 전투지휘용장갑차(K277), 81mm 박격포 탑재차(K281A1), 구난장갑차(K288A1) 그리고 공항 방어용으로 운용하기 위한 K200A1 공군개조 차량 등이 있다.

ㅁ 주요제원

기동성 : 마력 동급 최고 출력엔진, 완전 자동 정유압식 변속기, 26.5 마력/톤으로 동급 최대의 톤당 마력

화력 : 12.7mm의 주무장, 7.62mm의 부무장

생존성 : 유격 장갑을 통한 측면 방호력 향상, 자동소화장치 탑재, 양압장치 탑재로 화생방전 승무원 보호

기타 : 국내 독자개발을 통한 안정적 부품지원과 해외수출

3. K242A1 4.2인치 박격포탑재 장갑차 / K281A1 81mm 박격포탑재 장갑차

▲ k242A1 (4.2인치 박격포 탑재 장갑차)

▲ K281A1 (81밀리 박격포 탑재 장갑차)

4.2인치 박격포탑재 장갑차(K242A1) 및 81밀리 박격포탑재 장갑차(K281A1)는 장갑방호를 받으며 차량 내부에서 박격포를 운용할수 있는 전술적 잇점을 갖도록 개발되었다. 이들 장갑차는 기갑 및 기계화부대와 함께 운용되며, 험준한 산악과 강 등의 어떠한 전장 환경하에서도 강력하고 적시의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4.2인치와 81밀리 탑재장갑차에는 각각 5명과 7명이 탑승하여 운용되며, K200A1과 마찬가지로 기동성과 방호력이 우수하고 수상운행 능력을 함께 갖추고 있다.

ㅁ 주요제원

전투 중량 : 13,200 kg

전장/전폭/전고 : 5.486m/2.8m/1.930m

탑승 인원 : 5명(K242)/7명(K281)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7km/h

항속 거리 : 480km

경사 능력 : 60%

수직 장애물 : 0.63m

참호 통과 : 1.68m

엔진 출력 : 350마력

무 장 : 4.2"or 81mm 박격포, MG50 or K-6기관총

4. K263A1 천궁

  

  ▲K-263A1 천궁(天弓)대공발칸 장갑차

K263발칸은 K200 병력송장갑차(APC)의 상부에 M167발칸의 포탑을 장착한 대공무기입니다.

K200의 몸체에 M167발칸의 포탑을 장착하였기 때문에 기동성은 K200과 동일하며, 무장의 성능은 M167발칸과 동일합니다.

분당 3000발의 속도로 10,30,60,100발의 점사 사격이 가능하며 분당 1000발의 속도로 연발 사격도 가능합니다.

지대공 사거리는 1,200-1,600미터 정도이며, 지대지 사거리는 2,000미터 정도입니다(20밀리 발칸포 탑재 장갑차)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 : 13,200kg

전장/전폭/전고 : 5.370m/2.846m/2.920m

탑승 인원 : 4명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6km/h

항속거리 : 480km

레이다 탐지거리 : 250~5,000m
포 신 : 20밀리 대공포
발사속도 : 1,000~3,000발/분
사 거 리 : 유효 1.2km, 최대(지상) 4.5km
제작사 : 대우중공업

5. K277A1 전투지휘용 장갑차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전투지휘용 장갑차, K277는 전장에서 장갑 방호하의 전투지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전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전투력을 증대 시키기 위하여 이 장갑차에는 보조발전기(APU), 텐트, 테이블 및 의자, 상황판, 지도, NBC 방호시스템, 자동소화장치 등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이 장갑차에는 6명의 인원이 탑승하여 운용되며, K200A1과 마찬가지로 탁월한 기동성과 우수한 방호력, 그리고 수상운행 능력을 함께 갖고 있다. 또한 양압장치가 탑재되어 화생방 환경하에서도 작전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kg) : 13,660kg

전장/전폭/전고(m) : 5.486/2.846/2.518m

탑승 인원(명) : 6명

최대 속도(km/h) : 70km/h

수중 속도(km/h) : 6km/h

엔진 마력 : 350마력

항속거리(km) : 480km

무장 : MG50 1정

제작사 : 대우중공업

6. K288A1 구난장갑차

사진출처: 비밀의 박찬준님

 

윈치와 크레인을 기본으로 장착, 고장이 났거나 기동 불가능한 차량이나 장비를 견인 혹은 정비하는 기능과 야전에서 동력장치 등의 정비를 위한 작업에 쓰이는 정비용 공구 및 부품 등을 탑재하여 운용한다. 승무원 4명이 탑승하며, 기본적인 성능은 K-200A1과 유사하여 우수한 기동성과 방호력, 수상운행 능력을 함께 갖고 있다.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 : 14,500kg

전장/전폭/전고 : 5.930/2.910/3.050m

탑승 인원 : 4명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6km/h

항속거리 : 480km

무장 : MG60 1정
제작사 : 대우중공업

7. K216 화생방 정찰 장갑차

사진출처: http:/www.defence.co.kr kajory님         

화생방전에서의 탐지, 식별, 표시, 보고 및 시료채취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화학 작용제 자동분석기(MM-1), 연속 시료 공급장치(Double Wheel Ass’y), 양압 및 냉난방 장치를 갖추고 전장에서의 각종 데이터를 신속하게 주장비에 전송한다. 

화학 작용제 자동분석기 MM-1는 장갑차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지표면에 오염되어 있는 화학 작용제가 시료 흡입기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가스분자로 이온화시켜, 질량에 따라 분리하고 각 질량의 이온 수량을 계산하여 작용제를 탐지,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양압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 입자 및 가스 여과기로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 승무원과 탑재 장비를 보호하고 차량 내부의 압력(3.8 ~ 6mbar)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탁월한 기동성과 생존성으로 전투능력을 극대화 시킨다.

ㅁ 주요제원

전투 중량 : 13,000kg

엔진 마력 : 350마력(8기통 V형)

승무원 : 4명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6km/h

항속 거리 : 480km

경사 능력 : 60%

무장 : K6 1정

배기량 : 14,618cc

제작사 : 대우중공업

8. BMP-3 장갑차

한국군은 경협차관 상환조로 T-80U와 함께 최신 보병전투차인 BMP-3도 도입하였다. 보병전투장갑차로서는 유례가 없는 100mm 활강포와 대전차 미사일, 그리고 30mm 기관포와 7.62.mm 기관총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화력으로 왠만한 경전차의 전투력을 능가하는 BMP-3은 한국군기갑전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한국군 내에서도 T-80U와는 달리 이처럼 막강한 화력을 가진 BMP-3에 대해서는 추가도입에 적극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국내방산업체의 로비로 추가도입은 무산되었다는군요.

한국군 주력 보병전투차로 K200A1을 사용중이지만 주무장이 12.7mm기관총이기 때문에 화력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BMP-3는 전차를 방불케 하는 화력으로 한국군을 만족시키고 있다.

BMP-3는 도로상에서 최고속도 시속 70km를 자랑하며, 수륙양용으로 수상주행시는 시속10km를 발휘할 수 있다. 항속거리는 약 600km로서, 서울에서 대구 정도의 거리를 작전반경으로 둘 수 있다.

상륙전 수행시 해병대의 AAP-7과 비교한다면 AAp-7은 25명을 수송하는데 비해 BMP-3은 7명밖에 수송할 수 없다. 하지만 장갑방어력이나 화력면에서는 AAVP-7보다 월등하다.

ㅁ 주요제원

크기 :

승무원 - 3名
병력 수송 능력 - 최대9명

중량 - 18.7톤
전장 - 7.2m(포신전방), 6.7m(동체만)
전폭 - 3.3m(측면 장갑판 포함), 3.15m(궤까지폭)
전고 - 2.65m(포탑상부)

엔진성능 :

최고속도 - 10km/h(수중에서), 70km/h(포장도로)
엔진 - 500hp UTD-29 디젤엔진
중량대비 엔진 출력비 - 25hp/톤
작전반경 - 600km

항공 수송 - l-76, An-22, An-124

무장 :

HE-FRAG (3UOF) - 100 mm 포탄 22 발 및 미사일 8 기

3UBK10 대전차 유도 미사일 - 3 기

30mm포 - 2A72 자동포(30mm 포탄 500발)
100mm포 - 2A70 포
기관포 - 7.62 PKT 축사포1문, 7.62mm 기관포 2문 (기관포6,000 발)

장비 및 장치 :

포수조준장치 - 1K13-2 주간 조준장치, 주야간 조준장치, PPD-1조준장치

지휘관 관측 장비 - 1PZ-10(주간용), TKN-3(주야간용)

탄도 계산용 컴퓨터 - 1V539
레이저 조준 장비 - 1D16

통신장비 : VHF R-173 무전기, VHF R-173P 수신기, R-124 인터컴

보호 장갑능력 :

전면 - 300m 거리에서±40도의 각도로 30mm 포탄으로부터 안전 
측면 - 7.62 mm 기관포 의 유효사거리로 부터 안전

9. NIFV 차기보병전투 장갑차

 

 

사진출처 : http://www.defence.co.kr

 

 

      

NIFV는 2008년 전력화를 목표로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체계조립 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 등 국내 주요 방산업체들이 1999년말부터 총 910억원을 투입, 개발에 착수한 차세대 장갑차다.
ADD는 NIFV가 기존 우리 군이 운용중인 단순 보병수송용 K200 계열 장갑차를 훨씬 능가하는 것은 물론, 동급의 장갑차인 미국의 M2 브래들리나 러시아의 BMP-3 장갑차보다 우수한 세계 최고 성능의 장갑차가 될 것으로 장담하고 있다.

 

NIFV는 12명 탑승 정원에 유기압식 현수장치가 부착돼 최고 속력 시속 70㎞(야지의 경우 40㎞)로 전차 수준의 기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33t인 브래들리 장갑차 등 선진국 장갑차보다 20% 정도 가벼운 25t의 중량에 에어백 형식의 수상 부양장치가 장착돼 시속 6㎞로 수상운행도 가능하다. 40㎜ 포와 7.62㎜ 기관총, 발사후 스스로 목표물을 추격해 타격하는 `발사후 망각 방식'의 3세대 유도미사일이 탑재돼 적 장갑차는 물론, 적전차 파괴도 가능한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게 된다.

또 적 헬기가 7m내로 접근하면 주야간 육안 조준경을 통해 이를 탐지, 수백개의 자탄이 들어있는 포탄을 터뜨려 제압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피아 식별기를 비롯,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적화기의 위협을 자동탐지하는 능력과 경보장치 등 최첨단 기술이 적용돼 `생존성'이 극대화됐다.
이와 함께 NIFV간 정보체계 및 지상전술 C4I 체계와도 연동이 가능해 아군 제대간 전장정보 공유가 가능해 미래 전장 환경에서 부대간 다차원의 연합전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IFV에는 내장형 훈련 시뮬레이터가 장착돼 실제 사격을 하지 않고서도 조종술 및 사격, 포술 훈련을 할 수 있어 훈련 극대화는 물론, 훈련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DD측은 NIFV는 85% 이상의 국산화율을 달성했다며 양산단가도 해외도입 단가의 절반수준으로 우리 군의 전력증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세계 최고 성능은 물론 가격경쟁력까지 있는 것으로 평가돼 해외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NIFV는 2006년까지 시험평가 등을 거친 뒤 2008년부터 기계화 보병사단 등을 중심으로 전력화돼 1차로 900여대가 연차적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ADD 최창곤 기계화화력체계부장은 "지난 70∼80년대 개발된 미국이나 러시아제 장갑차 이후의 최첨단 기술을 적용해 개발했기 때문에 21세기 세계 최고의 장갑차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브래들리 장갑차가 대당 450만달러 이상인 반면, NIFV는 250만달러(25억원) 정도로 세계 시장에서 충분히 가격 경쟁력이 있다"며 "성능 또한 우수해 동남아나 중남미, 중동 시장 등에서 기대를 걸고 있다"고 설명했다.

ㅁ 주요제원

중량 : 25톤
길이 : 6.9m
폭 : 3.4m
높이 : 2.6m
엔진 : D2848LXE 디젤 680 hp
최고속도 : 70 km/h(야지 40km/h,수상 7km/h)  
주무장 : 보포스 L70 70 구경 40 mm기관포와(디지탈 사격통제장치 장착) 7.62 mm기관총
            발사 후 망각방식의 3세대급 대전차 유도무기
탑승인원 : 승무원 3명, 하차보병 9명 등 최대 12명

[ 차륜식(장륜식) 장갑차 ]

1. KM900A1 장갑차

                                   

사진출처: 파코의 신익재님

KM900 장갑차는 피아트사와 오토브레다사가 공동개발한 CM6614 장륜식 장갑차의 국내 라이센스형이다. 이 장갑차는 방어력이 약하기 때문에 현대화된 전장에서 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4륜 구동으로 도로가 발달한 지역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야지 기동능력이 떨어져 산악이 많은 지역에서는 운용에 많은 제한을 받는다.

KM900 장륜식 장갑차를 도입하게된 배경은 적 특수부대 투입에 따른 대 게릴라전 방어에 있었다. 아세아 중공업에서 400대를 면허생산하였으며, 차체의 특수강과 타이어, 구동체계 모두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다. 계열차량인 KM901은 기본장갑차에 장애물 제거용 도저를 장착한 장갑차이다.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 : 8.5 ton

엔진출력 : 160마력
등판각도 : 60%
항속거리 : 700Km
전장 : 5.86m
전폭 : 2.5m

전고 : 2.18m
승무원 : 11명

속도 : 100 km/h
중량 : 7,200 Kg
무장 : 7.62밀리 기관총 1정, 12.7밀리 기관총 1정

2. 바라쿠다 장갑차

 

바라쿠다는 독일 THYSSEN사에서 제작된 TM-170 4륜 장륜식 경장갑차를 국내에서 라이센스해 제작한 모델입니다.
지금은 두산이 인수한 대우종합기계에서 설계하고 특장차업체인 신정개발이 제작을 하여 FIAT 6614장갑차의 대체용으로 제시한 모델이였습니다. (그런데 신정개발의 홈페이지에서 이 차량이 삭제된 것으로 보아 더이상 외주를 주지 않고 두산인프라코어사가 직접 제작하기로 결정을 한 것같습니다.)
그러나 채택되지는 않았고 먼저 인도네시아에 경찰용으로 20대가 수출되었으며 이라크 파병 자이툰부대의 기동장비로 12여대가 채택되어 병력수송, 신속대응, 후속부대증원용등으로 이라크에 배치되어 있으며 추가장갑으로 slat armor를 장착하여 RPG공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차제 전면이 장갑판재로 제작되어 50m거리에서 발사된 7.62mm AP탄 방호가 가능하고, 최대속도 100km/h, 80%의 등판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2명의 승무원이 탑승가능하며, CCTV, GPS, 도져 시스템, 확성기 등의 다양한 장비들을 탑재할 수 있는데 이것은 주로 치안유지용으로 설계된 차량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술타이어를 적용하여 피격에 의해 공기압이 상실되어도 약30km/h의 속도로 70km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전투중량 12.3톤, 엔진 디젤 출력 218마력, 최고속력 93km/h, 행동거리 680km이며 주요 무장은 구경 5.56㎜ 국산 K-3 경기관총입니다
원래 한국에 들여올때도 폭동진압및 대테러전을 가상해 채용한 무장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전투에서는 부족함이 없지 않습니다.

[ 자주포계열 장갑차 ]

1. K77 포병사격지휘용 장갑차 (포병사격지휘차)                    

포병사격 지휘차는 현대전에 적합한 기동성 및 생존성이 보장되고, 자주포와 군수지원 체계가 동일하게 적용됨에 따라 대포병전 및 화생방전 에서도 기동간 사격임무 접수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사격지휘가 가능한 장비입니다.

K-77 포병사격지휘용 장갑차는 K-55 자주포병대대의 사격지휘 장갑차이죠. 견인포의 박스카와 비슷한 일을합니다. 97년 말 보급되기 시작한 신형인데 차체는 K-55와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나아진건 화생방 방호장치. NBC라는 양압장치덕에 장갑차안에서는 방독면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더불어 BTCS라는 거의 전자동 사격지휘 시스템을 쓸 수 있습니다.

최근 K10 탄약운반 장갑차의 양산으로 K9 자주포 · K77 사격지휘장갑차 · K10 탄약운반장갑차의Package 개념 운용체제가 확립되었습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일반제원

전투중량 19.8ton
길이 6.80m
3.15m
높이 3.45m
 
기동성능

최고속도  
   전진 56.3km/h
   후진 11.2km/h
지상고 0.47m
등판능력 60%
경사능력 40%
수직장애물 0.64m
참호통과 1.83m
항속거리 360km
엔진

모델명 8V71T,수냉식
출력 405HP
 
변속기

모델명 XGT-411-2A
 
보조동력장치 가스터빈 엔진
화생방 방호 양압식
환경제어 냉,난방장치
전기장치 24V DC
소화기 자동 감지소화
사격지휘장비 BTC, 수동사격 제원계산기
통신장비 AM,FM
무전기

 

 

 

2. K-66 탄약운반장갑차 (K-55 자주포용 탄약차)

 

사진출처: http://bemil.chosun.com KCX님

자주포용 탄약차는 대 포병 사격하에서도 지속 적이고, 신속한 탄약공급으로 반응시간을 단축 하며, 자주포와 동일한 기동성, 군수지원, 교육 훈련 및 80% 이상의 부품 호환성을 가진 장비입니다.

그동안 운용중인 트럭의 탄약운반시 문제점인 기동력과 생존성의 부족을 만회하기 위해 개발된 차량으로, 기본적으로는 K-55의 차대와 파워팩을 그대로 운용하고 있으며 자주포와 80%의 부품 호환성을 지니고 있어 운용에 적합하다. 탄약적재능력은 K-55에 사용되는 155mm 탄두 110여발과 116발의 장약, 132발의 신관을 적재할 수 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일반제원

전투중량 26.5ton
길이 6.71m
3.15m
높이 3.40m
 
기동성능

최고속도  
   전진 56.3km/h
   후진 11.2km/h
지상고 0.47m
등판능력 60%
경사능력 40%
수직장애물 0.64m
참호통과 1.83m
항속거리 360km
엔진

모델명 8V71T,수냉식
출력 440HP
 
변속기

모델명 XGT-411-2A
 
보조동력장치 19.5HP
   
전기장치 24V DC
 
탄약적재  

탄약 110발
장약 116발
신관 132발
 
적.하역능력  

  주간 60분이내
  야간 90분이내
  분당공급 6발

3. K-10 탄약운반장갑차 (K10 Thunder ARV)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된 K10 탄약운반장갑차는 탄약집적소에 야적되어 있는 탄약 또는 트럭 위의 탄약을 적재 후 사격진지로 이동하여 K9 자주포에 탄약을 재보급하는 자동화 로봇형 장비로, 세계 최초로 '완전 자동화된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ㅁ 개요
K10 탄약운반장갑차는 기존에 트럭이나 인력으로 K9 자주포 탄약(무게 약 50kg)을 운반할 때 생기는 '전투반응시간 지연', '전투병의 피로도 가중', '기동성 및 생존성 취약'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K9 자주포 성능 극대화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K10은 한번에 104발의 탄약을 차체내에 적재할 수 있으며, 분당 12발 이상의 탄약을 K9 자주포에 재보급할 수 있는 성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탄약 재고 관리, 자체 고장 탐지 및 진단, 신속 정확한 적재·보급이 가능하며, 적정 승무원은 3명이다.
K10 개발사업은 '육군 관리, 업체(삼성테크윈)주도 연구개발사업'의 형태로 지난 '02년에 착수되어 '04~'05년 시험평가를 거쳐 2005년 7월에 완료되었으며, 2006년도부터 본격 전력화되기 시작하여 179대를 양산할 계획이다.

과거 무기체계 연구개발은 주요 핵심부품을 우선 해외구매로 확보하여 적용하고 개발 완료 후에 점차 국산화 해나가는 형식으로 추진되어 기술적으로 해외 의존도가 높았으나 금번 K10 탄약운반장갑차 연구개발은 개발초기부터 주요 핵심부품인 주제어기, 서보제어기, BLDC 모터, 감속기 등 9종에 대해서 국내개발을 적극 유도하여 탄약운반장갑차 전용장치 부분의 95%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더욱이 이번 K10 탄약운반장갑차의 개발로 인해 K9 자주포의 성능 발휘 보장, 전시 대화력전 수행 능력 향상 등의 기대 효과 외에도 약 1.25조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되며,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되어 해외수출 또한 자유로워졌다. 관련분야 전문가들은 K9 자주포를 K10과 패키지로 수출시 국제 무기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ㅁ 주요성능 및 제원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장갑차
최대 사거리 40Km 탄약 적재량 탄두 104발
탄약 적재 48발 장약 504Unit
발사 속도 최대 6발/분 컨베어 이송능력 12발/분
지속 2발/분 탄약 적재/
보급 능력
적재 37분
급속 3발/15초 보급 28분
승무원 수 5명 승무원 수 3명
재고관리 자동 재고관리

[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

1. LVT-7 구형 상륙돌격장갑차  (거의 퇴역하고 얼마 없다고 하네요..^^ )

2. KAAV7A1 병력용 상륙돌격장갑차


현재 UDLP 사와 함께 삼성테크윈에서 생산되고 있는 상륙돌격장갑차(AAV7A1) 장갑차는 AAV7/LVT7의 가장 진보된 형태로,
해병대 상륙작전 및 지상작전간 병력, 장비, 보급품 수송 등의 임무를 담당합니다.

일체형 선박형식으로 설계된 차체, 강력한 수상추진장치 및 동력장치는 고도의 기동 상륙차량으로 가능하게 합니다. 수상 13Km/h 및 지상 72Km/h 의 속력으로 다양한 육·해상의 환경에 효과적인 선박-연안간 이동작전을 가능케합니다.

상륙돌격장갑차(AAV7A1)의 알루미늄 용접 구조물은 소형화기, 파편 및 화염으로부터 탑승인원을 보호해줍니다. 성형 장약탄에 의한 관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존 최고의 방호 키트인 EAAK를 적용하였으며 생존성 강화를 위하여 자동소화장치 및 화생방 방호시스템을 장착하였습니다.

상륙돌격장갑차(AAVP7A1)은 MK19 40mm 유탄발사기 및 동축 M2 HB 12.7mm 자동소총을 탑재하여 기존 모델보다 신뢰성 및 화력이 강화되었습니다. 본 무장포탑은 1.5Km 밖에서도 목표물 사격이 가능하며 초당 45°의 속도로 360 °회전이 가능합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엔진

400 마력 터보챠저방식 다중연소, 수냉식 8기통, 디젤엔진

 

변속기

HS-400-3A1 (자동, 반자동 혼합식), 조향 및 제동기능 일체형

 

보호장갑

알루미늄 차체의 방호력을 강화하기위한 유선형의 방탄장갑판재 EAAK 채용

 

 현수장치

Flat track torsion bar 현수장치는 완충기와 함께 로드암이 야지에서의 유연한 작동을 가능케 해줍니다.

 

화력

CAL 12.7mm 자동소총 & 40mm 유탄발사기를 탑재한 360도 회전 가능한 터렛형

 

선수익

유압작동식 선수익은 해상작전중 안정성 및 수평성을 보장합니다.

 

AAVP7A1(병력용) AAVC7A1(지휘용) AAVR7A1(구난용)
승무원 / 탑승병력 3 / 21 명 3 / 10 명 5 / 0 명
총중량 23,023 Kg(부하)
21,008 Kg(미부하)
24,049 Kg (부하)
22,505 Kg(미부하)
23,643 Kg(부하)
22,731 Kg(미부하)
최대 적재 능력 21명 전투병력 또는 4,536 Kg(10,000 lb)의 화물 - -
접지압력 62,742 N/m² 54,468 N/m² 53,778 N/m²
연료탱크용량 171 gallons (647 liters)
항속거리 지상 : 40 Km/h(25mph)로 483 Km(300miles) 해상 :2,600 RPM로 7 시간
항속속도 지상 : 32.3 to 48.3 Km/h (20 to 30mph) 해상 : 9.7 Km/h (6.0mph)
최대속도 전진 : 지상: 72.4 Km/h (45mph ) 해상 : 13.2 Km/h (8.2mph)
후진 : 지상: 19.3 Km/h (12mph ) 해상 : 7.2 Km/h (4.5mph)
장애물 통과능력 참호통과 : 2.44m 수직장애물 : 0.91m
최대 등판능력(부하시) 60%
최대 등판능력(미부하시) 40%
지상고(부하시) 40.64cm
회전반경(지상,해상) 고정점 회전
주파(走波)능력 연안 및 해양방향 : 3.048m
해상추진기관 주 : Waterjet 부 : 궤도
화물적재(병력용) 길이 : 411cm 폭 : 182.9cm 높이 : 167.6cm
엔 진 제조사 : Cummins VT400
형 식 : 4 행정 8 실린더, 수냉식, 과급기방식
Displacement : 903 cubic inch (14.8 liters)
동력전달장치 : FMC HS400-3A1
형 식 : Hydraulic lock-up torque converter, parallel shaft gear arrangement
통 신 무선 : VRC-947K 내선 : AM-780K, C-798K, C-9742K
무 장 - 포탑 무게 : 1073KG 회전 360도 고각 +45도, -8도 무장 MK19 40mm 유탄발사기 (K4)
- 발사속도 : 분당325-375발
- 최대유효사거리 :1.5KM M2 HB 12.7mm 자동소총(K6)
- 발사속도 : 분당450-550발
- 최대유효사거리 :1.83KM M257 연막탄 발사기 8구
7.62MM , 자동소총(K3)

 

 

 

3. KAAVC7A1 지휘용 상륙돌격장갑차

지휘용 차량(AAVC7A1)은 기동분대장을 위한 이동지휘소로서 타 분대와의 교신, 무장지원 및 부대 군수지원의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개량된 통신 시스템은 완벽한 통신보안을 제공하는 현존 최고의 통신 체계로서 작업대 및 통신접속단말기 등 9명의 스텝을 위한 장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중량 : 29톤

승무원/탑승인원 : 3명 / 10명

최대 속력 : 육상 : 72㎞/h, 수상 : 13.2㎞/h

항속 거리 : 육상 : 483㎞, 해상 : 90㎞(7시간)

무 장 : 기관총

화생방 방호 : 집단보호기

방호력 : 14.5밀리탄 방호

단가 : 32억5천2백만원

4. KAAVR7A1 구난용 상륙돌격장갑차


구난용 차량(AAVR7A1)은 야전에서 장비수리 및 정비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본 차량은 2,721Kg 용량의 유압크레인을 포함하여 13,605Kg 용량의 구난용 윈치, 절단, 용접 및 이동정비 장비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중 량 : 281톤

승무원 : 5명

최대 속력 : 육상 : 72㎞/h, 수상 : 13.2㎞/h

항속 거리 : 육상 : 483㎞, 해상 : 90㎞(7시간)

무 장 : 기관총

견인 / 인양능력 : 13.5톤 / 2.7톤

방호력 : 14.5밀리탄 방호

단 가 : 28억8천5백만원

 

 

'현대전쟁병기 > 벌판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육군 주력전차 Challenger 1&2  (0) 2007.06.29
프랑스 주력전차 Leclerc.doc  (0) 2007.06.29
일본 90식 전차  (0) 2007.06.29
T-72 전차  (0) 2007.06.29
미군보병 개인화기  (0) 200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