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궤도식 장갑차 ]
1. K200 장갑차
현대전에서의 장갑차의 역할은 준 전차화된 차체에 기동력, 화력, 방호력을 겸비하여 적 장갑차 파괴는 물론 전차와 대적할 수 있는 중기관포, 중구경포를 구비하고 있어 탑승전투 및 전차 기동에 제한을 주는 애로지역, 교량 확보등 하차전투, 침투전투 등을 수행하므로써 전차와 장갑차는 남편과 아내처럼 항상 동반하여 운용되어야 하는 주요 무기체계이다. K200 보병수송장갑차(APC)는 1985년 국내 독자 개발되어 운용되는 한국군 보병 주력 장갑차로, 1993년에 국내 최초로 해외에 수출하여 UN의 보스니아 평화유지활동에서 뛰어난 성능이 입증된 장비이다. 육군의 제안에 따라 1980년부터 한국형전투장갑차의 개발이 시작되어 1984년에 개발완료와 동시에 K200으로 명명된 K200전투장갑차는 기존의 미군원장비인 M113 장갑차를 대치하여 현재 군에서 주력장갑차로 운용 중에 있다. ㅁ 주요제원 엔진출력 : 280마력(8기통 v형) 최대속도 : 74km 항속거리 : 480Km 등판능력 : 60% 무장 : M60, MG50 각 1정 제작사 : 대우중공업 2. K200A1 장갑차 K200A1 장갑차은 K200 개량형으로 1994년에 엔진출력증대, 변속기 자동화 등의 성능개량을 통해 기동성과 운용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1993년 말부터는 K200전투장갑차를 포함, 구난차, 박격포차, 지휘차 및 구급차가 국산 기동장비로써는 최초로 말레이시아에 수출되어 현재 말레이시아 군이 운용 중에 있으며 특히 말레이시아 대대병력의 UN 보스니아 평화유지활동에서 그 뛰어난 성능이 입증되었다. K200A1는 적의 포화속에서 보병 분대를 수송하기 위한 장갑차이며 장갑으로 보호되는 내부에서 사격구를 통해 사격을 할 수 있으며, 포수와 차장의 포탑에 장착된 컬리버 50, 30 기관포의 엄호를 받으며 하차할 수 있어 전장에서의 보병의 기동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비이다. K200A1의 엔진, 변속기, 냉각장치 및 주변장치들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어 빠른 지상 기동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기동성은 보다 적은 정비시간과 장비의 높은 신뢰성에 기인한다. K200A1차체를 활용한 계열장비로는 화생방정찰차(K216), 107mm(4.2")박격포 탑재차(K242A1), 20mm 발칸탑재차(K263A1), 전투지휘용장갑차(K277), 81mm 박격포 탑재차(K281A1), 구난장갑차(K288A1) 그리고 공항 방어용으로 운용하기 위한 K200A1 공군개조 차량 등이 있다. ㅁ 주요제원 기동성 : 마력 동급 최고 출력엔진, 완전 자동 정유압식 변속기, 26.5 마력/톤으로 동급 최대의 톤당 마력 화력 : 12.7mm의 주무장, 7.62mm의 부무장 생존성 : 유격 장갑을 통한 측면 방호력 향상, 자동소화장치 탑재, 양압장치 탑재로 화생방전 승무원 보호 기타 : 국내 독자개발을 통한 안정적 부품지원과 해외수출 3. K242A1 4.2인치 박격포탑재 장갑차 / K281A1 81mm 박격포탑재 장갑차 ▲ k242A1 (4.2인치 박격포 탑재 장갑차) ▲ K281A1 (81밀리 박격포 탑재 장갑차) 4.2인치 박격포탑재 장갑차(K242A1) 및 81밀리 박격포탑재 장갑차(K281A1)는 장갑방호를 받으며 차량 내부에서 박격포를 운용할수 있는 전술적 잇점을 갖도록 개발되었다. 이들 장갑차는 기갑 및 기계화부대와 함께 운용되며, 험준한 산악과 강 등의 어떠한 전장 환경하에서도 강력하고 적시의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4.2인치와 81밀리 탑재장갑차에는 각각 5명과 7명이 탑승하여 운용되며, K200A1과 마찬가지로 기동성과 방호력이 우수하고 수상운행 능력을 함께 갖추고 있다. ㅁ 주요제원 전투 중량 : 13,200 kg 전장/전폭/전고 : 5.486m/2.8m/1.930m 탑승 인원 : 5명(K242)/7명(K281)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7km/h 항속 거리 : 480km 경사 능력 : 60% 수직 장애물 : 0.63m 참호 통과 : 1.68m 엔진 출력 : 350마력 무 장 : 4.2"or 81mm 박격포, MG50 or K-6기관총 4. K263A1 천궁
▲K-263A1 천궁(天弓)대공발칸 장갑차
K263발칸은 K200 병력송장갑차(APC)의 상부에 M167발칸의 포탑을 장착한 대공무기입니다. K200의 몸체에 M167발칸의 포탑을 장착하였기 때문에 기동성은 K200과 동일하며, 무장의 성능은 M167발칸과 동일합니다. 분당 3000발의 속도로 10,30,60,100발의 점사 사격이 가능하며 분당 1000발의 속도로 연발 사격도 가능합니다. 지대공 사거리는 1,200-1,600미터 정도이며, 지대지 사거리는 2,000미터 정도입니다 (20밀리 발칸포 탑재 장갑차)ㅁ 주요제원
전투중량 : 13,200kg
전장/전폭/전고 : 5.370m/2.846m/2.920m 탑승 인원 : 4명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6km/h 항속거리 : 480km 레이다 탐지거리 : 250~5,000m
포 신 : 20밀리 대공포
발사속도 : 1,000~3,000발/분
사 거 리 : 유효 1.2km, 최대(지상) 4.5km
제작사 : 대우중공업
5. K277A1 전투지휘용 장갑차 전투지휘용 장갑차, K277는 전장에서 장갑 방호하의 전투지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전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전투력을 증대 시키기 위하여 이 장갑차에는 보조발전기(APU), 텐트, 테이블 및 의자, 상황판, 지도, NBC 방호시스템, 자동소화장치 등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kg) : 13,660kg
전장/전폭/전고(m) : 5.486/2.846/2.518m 탑승 인원(명) : 6명 최대 속도(km/h) : 70km/h 수중 속도(km/h) : 6km/h 엔진 마력 : 350마력 항속거리(km) : 480km 무장 : MG50 1정 제작사 : 대우중공업
6. K288A1 구난장갑차 사진출처: 비밀의 박찬준님
윈치와 크레인을 기본으로 장착, 고장이 났거나 기동 불가능한 차량이나 장비를 견인 혹은 정비하는 기능과 야전에서 동력장치 등의 정비를 위한 작업에 쓰이는 정비용 공구 및 부품 등을 탑재하여 운용한다. 승무원 4명이 탑승하며, 기본적인 성능은 K-200A1과 유사하여 우수한 기동성과 방호력, 수상운행 능력을 함께 갖고 있다.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 : 14,500kg
전장/전폭/전고 : 5.930/2.910/3.050m 탑승 인원 : 4명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6km/h 항속거리 : 480km 무장 : MG60 1정
제작사 : 대우중공업
7. K216 화생방 정찰 장갑차 사진출처: http:/www.defence.co.kr kajory님 화생방전에서의 탐지, 식별, 표시, 보고 및 시료채취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화학 작용제 자동분석기(MM-1), 연속 시료 공급장치(Double Wheel Ass’y), 양압 및 냉난방 장치를 갖추고 전장에서의 각종 데이터를 신속하게 주장비에 전송한다. 화학 작용제 자동분석기 MM-1는 장갑차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지표면에 오염되어 있는 화학 작용제가 시료 흡입기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가스분자로 이온화시켜, 질량에 따라 분리하고 각 질량의 이온 수량을 계산하여 작용제를 탐지,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양압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 입자 및 가스 여과기로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 승무원과 탑재 장비를 보호하고 차량 내부의 압력(3.8 ~ 6mbar)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탁월한 기동성과 생존성으로 전투능력을 극대화 시킨다. ㅁ 주요제원 전투 중량 : 13,000kg 엔진 마력 : 350마력(8기통 V형) 승무원 : 4명 최대 속도 : 70km/h 수중 속도 : 6km/h 항속 거리 : 480km 경사 능력 : 60% 무장 : K6 1정 배기량 : 14,618cc 제작사 : 대우중공업 8. BMP-3 장갑차 한국군은 경협차관 상환조로 T-80U와 함께 최신 보병전투차인 BMP-3도 도입하였다. 보병전투장갑차로서는 유례가 없는 100mm 활강포와 대전차 미사일, 그리고 30mm 기관포와 7.62.mm 기관총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화력으로 왠만한 경전차의 전투력을 능가하는 BMP-3은 한국군기갑전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한국군 내에서도 T-80U와는 달리 이처럼 막강한 화력을 가진 BMP-3에 대해서는 추가도입에 적극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국내방산업체의 로비로 추가도입은 무산되었다는군요. 한국군 주력 보병전투차로 K200A1을 사용중이지만 주무장이 12.7mm기관총이기 때문에 화력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BMP-3는 전차를 방불케 하는 화력으로 한국군을 만족시키고 있다. BMP-3는 도로상에서 최고속도 시속 70km를 자랑하며, 수륙양용으로 수상주행시는 시속10km를 발휘할 수 있다. 항속거리는 약 600km로서, 서울에서 대구 정도의 거리를 작전반경으로 둘 수 있다. 상륙전 수행시 해병대의 AAP-7과 비교한다면 AAp-7은 25명을 수송하는데 비해 BMP-3은 7명밖에 수송할 수 없다. 하지만 장갑방어력이나 화력면에서는 AAVP-7보다 월등하다. ㅁ 주요제원 크기 : 승무원 - 3名 중량 - 18.7톤 엔진성능 : 최고속도 - 10km/h(수중에서), 70km/h(포장도로) 항공 수송 - l-76, An-22, An-124 무장 : HE-FRAG (3UOF) - 100 mm 포탄 22 발 및 미사일 8 기 3UBK10 대전차 유도 미사일 - 3 기 30mm포 - 2A72 자동포(30mm 포탄 500발) 장비 및 장치 : 포수조준장치 - 1K13-2 주간 조준장치, 주야간 조준장치, PPD-1조준장치 지휘관 관측 장비 - 1PZ-10(주간용), TKN-3(주야간용) 탄도 계산용 컴퓨터 - 1V539 통신장비 : VHF R-173 무전기, VHF R-173P 수신기, R-124 인터컴 보호 장갑능력 : 전면 - 300m 거리에서±40도의 각도로 30mm 포탄으로부터 안전 9. NIFV 차기보병전투 장갑차
사진출처 : http://www.defence.co.kr
NIFV는 2008년 전력화를 목표로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체계조립 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 등 국내 주요 방산업체들이 1999년말부터 총 910억원을 투입, 개발에 착수한 차세대 장갑차다.
NIFV는 12명 탑승 정원에 유기압식 현수장치가 부착돼 최고 속력 시속 70㎞(야지의 경우 40㎞)로 전차 수준의 기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33t인 브래들리 장갑차 등 선진국 장갑차보다 20% 정도 가벼운 25t의 중량에 에어백 형식의 수상 부양장치가 장착돼 시속 6㎞로 수상운행도 가능하다. 40㎜ 포와 7.62㎜ 기관총, 발사후 스스로 목표물을 추격해 타격하는 `발사후 망각 방식'의 3세대 유도미사일이 탑재돼 적 장갑차는 물론, 적전차 파괴도 가능한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게 된다. 또 적 헬기가 7m내로 접근하면 주야간 육안 조준경을 통해 이를 탐지, 수백개의 자탄이 들어있는 포탄을 터뜨려 제압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그는 또 "브래들리 장갑차가 대당 450만달러 이상인 반면, NIFV는 250만달러(25억원) 정도로 세계 시장에서 충분히 가격 경쟁력이 있다"며 "성능 또한 우수해 동남아나 중남미, 중동 시장 등에서 기대를 걸고 있다"고 설명했다. ㅁ 주요제원 중량 : 25톤 [ 차륜식(장륜식) 장갑차 ] 1. KM900A1 장갑차
사진출처: 파코의 신익재님 KM900 장갑차는 피아트사와 오토브레다사가 공동개발한 CM6614 장륜식 장갑차의 국내 라이센스형이다. 이 장갑차는 방어력이 약하기 때문에 현대화된 전장에서 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4륜 구동으로 도로가 발달한 지역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야지 기동능력이 떨어져 산악이 많은 지역에서는 운용에 많은 제한을 받는다. KM900 장륜식 장갑차를 도입하게된 배경은 적 특수부대 투입에 따른 대 게릴라전 방어에 있었다. 아세아 중공업에서 400대를 면허생산하였으며, 차체의 특수강과 타이어, 구동체계 모두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다. 계열차량인 KM901은 기본장갑차에 장애물 제거용 도저를 장착한 장갑차이다. ㅁ 주요제원 전투중량 : 8.5 ton 엔진출력 : 160마력 전고 : 2.18m 속도 : 100 km/h 2. 바라쿠다 장갑차
바라쿠다는 독일 THYSSEN사에서 제작된 TM-170 4륜 장륜식 경장갑차를 국내에서 라이센스해 제작한 모델입니다. [ 자주포계열 장갑차 ] 1. K77 포병사격지휘용 장갑차 (포병사격지휘차)
포병사격 지휘차는 현대전에 적합한 기동성 및 생존성이 보장되고, 자주포와 군수지원 체계가 동일하게 적용됨에 따라 대포병전 및 화생방전 에서도 기동간 사격임무 접수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사격지휘가 가능한 장비입니다. K-77 포병사격지휘용 장갑차는 K-55 자주포병대대의 사격지휘 장갑차이죠. 견인포의 박스카와 비슷한 일을합니다. 97년 말 보급되기 시작한 신형인데 차체는 K-55와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나아진건 화생방 방호장치. NBC라는 양압장치덕에 장갑차안에서는 방독면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더불어 BTCS라는 거의 전자동 사격지휘 시스템을 쓸 수 있습니다. 최근 K10 탄약운반 장갑차의 양산으로 K9 자주포 · K77 사격지휘장갑차 · K10 탄약운반장갑차의Package 개념 운용체제가 확립되었습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2. K-66 탄약운반장갑차 (K-55 자주포용 탄약차)
사진출처: http://bemil.chosun.com KCX님 자주포용 탄약차는 대 포병 사격하에서도 지속 적이고, 신속한 탄약공급으로 반응시간을 단축 하며, 자주포와 동일한 기동성, 군수지원, 교육 훈련 및 80% 이상의 부품 호환성을 가진 장비입니다. 그동안 운용중인 트럭의 탄약운반시 문제점인 기동력과 생존성의 부족을 만회하기 위해 개발된 차량으로, 기본적으로는 K-55의 차대와 파워팩을 그대로 운용하고 있으며 자주포와 80%의 부품 호환성을 지니고 있어 운용에 적합하다. 탄약적재능력은 K-55에 사용되는 155mm 탄두 110여발과 116발의 장약, 132발의 신관을 적재할 수 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3. K-10 탄약운반장갑차 (K10 Thunder ARV)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된 K10 탄약운반장갑차는 탄약집적소에 야적되어 있는 탄약 또는 트럭 위의 탄약을 적재 후 사격진지로 이동하여 K9 자주포에 탄약을 재보급하는 자동화 로봇형 장비로, 세계 최초로 '완전 자동화된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ㅁ 개요 과거 무기체계 연구개발은 주요 핵심부품을 우선 해외구매로 확보하여 적용하고 개발 완료 후에 점차 국산화 해나가는 형식으로 추진되어 기술적으로 해외 의존도가 높았으나 금번 K10 탄약운반장갑차 연구개발은 개발초기부터 주요 핵심부품인 주제어기, 서보제어기, BLDC 모터, 감속기 등 9종에 대해서 국내개발을 적극 유도하여 탄약운반장갑차 전용장치 부분의 95%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ㅁ 주요성능 및 제원
[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 1. LVT-7 구형 상륙돌격장갑차 (거의 퇴역하고 얼마 없다고 하네요..^^ ) 2. KAAV7A1 병력용 상륙돌격장갑차
일체형 선박형식으로 설계된 차체, 강력한 수상추진장치 및 동력장치는 고도의 기동 상륙차량으로 가능하게 합니다. 수상 13Km/h 및 지상 72Km/h 의 속력으로 다양한 육·해상의 환경에 효과적인 선박-연안간 이동작전을 가능케합니다. 상륙돌격장갑차(AAV7A1)의 알루미늄 용접 구조물은 소형화기, 파편 및 화염으로부터 탑승인원을 보호해줍니다. 성형 장약탄에 의한 관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존 최고의 방호 키트인 EAAK를 적용하였으며 생존성 강화를 위하여 자동소화장치 및 화생방 방호시스템을 장착하였습니다. 상륙돌격장갑차(AAVP7A1)은 MK19 40mm 유탄발사기 및 동축 M2 HB 12.7mm 자동소총을 탑재하여 기존 모델보다 신뢰성 및 화력이 강화되었습니다. 본 무장포탑은 1.5Km 밖에서도 목표물 사격이 가능하며 초당 45°의 속도로 360 °회전이 가능합니다.
400 마력 터보챠저방식 다중연소, 수냉식 8기통, 디젤엔진
HS-400-3A1 (자동, 반자동 혼합식), 조향 및 제동기능 일체형
알루미늄 차체의 방호력을 강화하기위한 유선형의 방탄장갑판재 EAAK 채용
Flat track torsion bar 현수장치는 완충기와 함께 로드암이 야지에서의 유연한 작동을 가능케 해줍니다.
CAL 12.7mm 자동소총 & 40mm 유탄발사기를 탑재한 360도 회전 가능한 터렛형
유압작동식 선수익은 해상작전중 안정성 및 수평성을 보장합니다.
지휘용 차량(AAVC7A1)은 기동분대장을 위한 이동지휘소로서 타 분대와의 교신, 무장지원 및 부대 군수지원의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개량된 통신 시스템은 완벽한 통신보안을 제공하는 현존 최고의 통신 체계로서 작업대 및 통신접속단말기 등 9명의 스텝을 위한 장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중량 : 29톤 승무원/탑승인원 : 3명 / 10명 최대 속력 : 육상 : 72㎞/h, 수상 : 13.2㎞/h 항속 거리 : 육상 : 483㎞, 해상 : 90㎞(7시간) 무 장 : 기관총 화생방 방호 : 집단보호기 방호력 : 14.5밀리탄 방호 단가 : 32억5천2백만원 4. KAAVR7A1 구난용 상륙돌격장갑차
ㅁ 주요제원 및 성능 중 량 : 281톤 승무원 : 5명 최대 속력 : 육상 : 72㎞/h, 수상 : 13.2㎞/h 항속 거리 : 육상 : 483㎞, 해상 : 90㎞(7시간) 무 장 : 기관총 견인 / 인양능력 : 13.5톤 / 2.7톤 방호력 : 14.5밀리탄 방호 단 가 : 28억8천5백만원
| ||||||||||||||||||||||||||||||||||||||||||||||||||||||||||||||||||||||||||||||||||||||||||||||||||||||||||||||||||||||||||||||||||||||||||||||||||||||||||||||||||||||||||||||||||||||||||||||||||||||||||||||||||||||||||||||||||||||||||||||||||||||||||||||||||||||||||||||||||||||||||||||
'현대전쟁병기 > 벌판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육군 주력전차 Challenger 1&2 (0) | 2007.06.29 |
---|---|
프랑스 주력전차 Leclerc.doc (0) | 2007.06.29 |
일본 90식 전차 (0) | 2007.06.29 |
T-72 전차 (0) | 2007.06.29 |
미군보병 개인화기 (0) | 200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