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쟁병기/벌판밀리

T-72 전차

21c-park 2007. 6. 29. 11:40

 

T-72 전차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배경
제2차세계대전 이후로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활동했던 中/重戰車들은 전쟁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舊蘇聯은 T-54/55이후 T-62전차를 개발하여 자국및 동맹국들에 공급하였으나, 중동전등을 거치면서 동시대의 서방세계 전차들에 비해 공격력및 방호력이 약한 것을 절감하여 1960년대 후반부터 T-64 전차를 개발/배치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T-64는 당시로써는 고가격의 전차로 동맹국들에까지 공급해주는것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구소련은 T-64와 거의 동일하지만, 성능을 약간 Degrade 시킨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것이 T-72전차 이다.
T-72 계열 전차들은 이 세대의 전차중 가장 전형적이며, 광범위하게 사용된 戰車중의 하나로 1967년부터 L. Kartsev 박사(수석 디자이너)의 주도하에 우랄 전차 설계국(Urals Carriage Making Plant Tank Design Bureau)에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L. Kartsev 박사는 결국 T-72의 양산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으며, L. Kartsev 박사의 사망 이후에는 L. Kartsev 박사의 뒤를 이어 우랄 전차 설계국의 수석 디자이너로 취임한 V. Venidiktov 박사에 의해 개발이 진척되었다.
오늘날 러시아 戰車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Nizhny Tagil에서 실시된 시제차량의 테스트에서 T-72의 효율성과 신뢰성이 입증되어 1973년부터 우크라이나의 Kharkov에 위치한 Malyshev HMB 제작소와 러시아의 Nizhny Tagil에 위치한 UKBM에서 제작되어 배치되기 시작했다.
T-72라는 분류명칭이 부여된 것은 양산 배치되기 시작한 1972년부터이며, 현재까지 약 50,000대 이상이 제작되어, 舊소련과 과거 바르샤바조약군 가입국가, 북한, 핀란드, 인도, 이란, 시리아, 알제리, 리비아, 쿠웨이트, 쿠바등에서 사용되었으며(사용되고 있으며), 미국도 몇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72 전차는 현재 러시아 연방에서는 제작되지않고 있으나, 현재도 우크라이나와 인도등에서 파생차종들이 제작되고 있다.

개관
T-72 전차는 전형적인 舊蘇聯 전차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피탄경시 효과를 고려한 완전한 주발형의 주조製 소형 포탑을 가진 전차의 전고는 서방세계의 전차에 비해 극히 낮으며(※ 편집자 註 : 혹시 동네에 플라모델 전문 판매점이 있고, 거기에 T-62나 T-72나 T-80계열전차와 미국의 M-60전차의 동일 스케일 모형이 있다면 한번 갖다 놓고 비교해 보시라. 만약 K-1전차의 모형과 M-1전차의 모형도 있다면 그것도 같이 갖다 놓고 비교해 보시라. 그러면 두가지 점에서 느끼게 될것이다. 첫째는 러시아 전차의 전차가 말로만 듣던 것 보다 더 작고, 낮은 사실에 놀랄 것이고, 둘째는 K-1 전차가 비록 외관은 M-1의 것을 매우 닯았지만, 전체적인 느낌은 러시아 전차의 설계사상에 많이 영향을 받은 것 같다는 느낌에 놀랄 것이다.), 상대적으로 커 보이는 포탑위에 장착된 對空용 기관총, 어딘가 덜 정교해 보이는 대형의 주행륜등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엔진과 기동륜은 차체 후방에 위치하며, 3명의 승무원 - 전차장, 포수, 조종수 - 에 의해 운용된다. 즉, 자동송탄/장전 장치를 채택하여 탄약수가 없다.
조종수석은 전방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전차장은 차체 중앙부 포의 오른쪽에 위치한 전투실에 위치하고, 포수는 포의 왼쪽에 위치한다.
전차장과 포수가 위치하는 전투실의 아랫부분에는 자동 송탄 장치가 있다. 자동송탄 장치를 전투실의 아랫부분에 위치 시킴으로써 전차의 전고를 낮출 수 있었으며, 별다른 장갑의 증가에 따른 중량의 증가 없이 피탄에 의한 탄약실의 파괴 가능성을 감소 시킬 수 있었다.
후부에는 파워플랜트가 위치하여 엔진/냉각장치/감속기어/최종구동기어가 위치한다.
T-72 전차는 T-72K/T-72AK 지휘전차, BREM-1 구난전차, MTU-72 가교전차, IMR-2 장애물 제거 전차등의 계열 전차군의 베이스 모델로 활용되기도 했다.
T-72 전차의 조종수의 조종 훈련을 위한 훈련장비와 전차의 전차장및 포수의 훈련을 위한 TKNT-3B 전자식 시뮬레이터도 동시에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舊蘇聯 시절 공산당 창건 기념일 군사퍼레이드 행사장에서 행진중인 T-72 전차(左)와 이스라엘군에 의해 격파당한 시리아군의 T-72(右

모델

T-72
T-72 戰車의 오리지날 버젼

T-72A
T-72A 전차는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양산된 모델로 기존의 T-72 전차에 TPDK-1 레이져 거리측정기, L-4 탐조등과 조합된 TPN-3-49 사수용 야간 조준기, 902B 연막발사기, 기존의 2A26M2를 대체하여 장착된 2A46 기관총, TVNE-4B 조종수용 야시장비, V-46-6 엔진이 새로 도입된 모델이다.

기동훈련중인 핀란드 육군의 T-72 전차부대. 아마도 M1형인 것으로 생각된다.(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T-72BK/SK 지휘전차
구소련의 지휘전차는 전차의 기본모델에 K 표기가 붙여져 구별된다. 예를 들어 T-80U전차의 지휘전차 모델은 T-80UK이며, T-72B전차의 지휘용 버젼은 T-72BK, T-72B의 수출용 버젼인 T-72S의 지휘용 버젼은 T-72SK로 분류된다.
T-72SK 전차는 전차부대의 지휘관이 탑승하여 다수의 전차를 지휘하고 관제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통신장비를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러시아에서 이런 형식의 전차는 전차연대의 지휘관이 탑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72SK 전차는 T-72S 전차와 동일한 성능과 장비를 갖춘 이외에 벤젠을 연료로 구동되는 AB-1-P/30-Ml-U 발전기를 별도로 장착하고 있어 주엔진이 가동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통신장비등을 사용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밖에 통신장비로는 R-713 무전기, R-173P 무선수신기, HF R-134 무전장비, R-174 인터컴(내부통신장비), TNA-4-3 전차용 항법장비등을 갖추고 있다.
이런 형식의 전차들은 다른 전차들과 달리 여러개의 무선안테나를 달고 있어, 쉽게 구분되며 이때문에 오히려 전장에서 적의 표적(될 수 있으면, 지휘관이 타고 있는 전차를 격파하는게 더 효과적일 테니까.)이 될 수도 있으며, 이런 상황은 톰 클런시의 '붉은 폭풍'에 잘 묘사되어 있다.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체코육군의 러시아산 T-72M

 

T-72M/M1
T-72M은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에서 제작된 T-72 전차로 원래의 T-72 전차의 오른쪽에 장착되어 있던 적외선 탐조등 대신 중앙部에 TPDK-1 LRF을 장착한 것이다.
T-72M1 전차는 T-72M 전차의 舊蘇聯 수출버젼으로 Kontact ERA를 채택한 것은 T-72AV 나 T-72M1V로 분류된다.
T-72M과 T-72M1 전차는 T-72A의 수출용 버젼으로 차체의 전방과 포탑에 증가장갑이 추가된 것이다.
T-72M1 전차는 예전의 바르샤바 조약군 가입국가와 인도, 이란, 시리아, 알제리, 쿠웨이트, 리비아, 핀란드, 유고슬라비아등에 수출되었으며, 이들중 어떤 것은 연막발사기와 사이드스커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도 있다. 기존의 T-72A에 비해 장갑과 FCS, 거리측정장비의 기능이 향상 되어, 최대 유효사거리는 2,000m 정도이며, 1,0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M1전차를 격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2,000m 떨어진 곳에서 발사된 M1전차의 105mm포탄의 직사를 견뎌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72BM
T-90에 사용된 것과 흡사한 제2세대 ERA인 Kontakt-5를 채택한 버젼.

T-72B(T-72S)

개관
T-72B 전차는 1985년 이래 제작된 것으로 이것의 수출형 버젼은 T-72S로 불리운다.
T-72B 전차는 T-72A에 사용되던 2E28M 전기-유압식 안정화 장치대신 전기-유압식의 포신 고각 작동 장치와 전기-기계식의 포탑 선회장치로 구성된 2E42 2축식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였으며, 유도미사일 시스템, 탈부착이 가능한 콘테이너식의 폭발반응장갑을 신규로 채택 하였고, V-46-6엔진 대신 V-84 엔진을 장착하였다.

무장
T-72S 전차는 D-81(러시아 육군 규격 2A46M) 125mm 활강포를 장착하고 있다. 이것은 종전의 포에 비해 포신의 길이를 늘리고 반동을 줄여서 발사특성을 개선 시킨 것이다.
T-72B 전차의 2A46M 125mm 활강포 포미(breech)부분에 적용된 메카니즘은 2단계의 동작만으로 열리도록 설계되었으며, 사격반동제어용 실린더(recoil brake cylinders, 이걸 군에서는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다.)가 포신을 균형있게 잡아주어 발사시 포탄이 포신을 빠져나가기 전까지 포신의 반동을 억제해 주어 포신의 반동에 의한 사격 명중율의 감소가 없도록 설계되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2A46M 125mm 활강포(上)과 NSVT 12.7mm 對空기관총(下)

125mm 활강포는 고각상으로 -6˚∼+14˚ 범위내에서 움직인다. T-72S 전차는 모두 45발의 포탄을 적재하고, 그중 22발이 자동 송타장치의 탄약집에 장전되어 있다.
한편 T-72B 전차는 승무원이 전차내에서 2A46M 125mm 포의 포신정열을 할수 있는 장비를 내장하고 있다.
주포 옆에는 7.62mm 동축 기관총이, 전차장용 큐폴라 위에는 12.7mm 對空 기관총이 장착되어 있다.
장갑관총용의 송탄자 분리탄(APDS : armour piercing discarding sabot round)과 고폭발 對戰車탄(HEAT : high explosive anti-tank round, 성형작약탄), 고폭발파편탄(HE-FRAG : high explosive fragmentation)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각종 탄은 모두 반소진탄피로 성형된 장약을 공통으로 사용하며, 사격후 탄피는 포탑에 설치된 전용의 탄피 배출용 햇치를 통해 전차의 외부로 배출된다.
사격의 정확도는 레이져 거리측정기 부착 조준기와 탄도 컴퓨터, 높은 포구초속, 포구부의 제퇴기의 설치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PKT 7.62mm 동축기관총용의 탄환은 총 250발이 연결된채로 준비되어 즉시 사격이 가능하며, 이밖에 1750발의 탄환이 탄환보관대내에 적재된다. 이밖에 NSVT 12.7mm 대공기관총용 탄환은 총 300발이 제공된다.
야간사격용의 적외선 탐조등이 포탑의 오른쪽에 장착된다. 주포는 이축으로 고정되어 기동시의 효율적인 사격을 보증한다.
T-72B 전차의 2A46M 125mm 활강포의 포신은 야전에서 손쉽게 교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아마도 포신의 재질이 서방세계의 그것에 비해 뒤지는 관계로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약점으로부터 비롯된 나름대로의 설계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72B의 FCS는 T-72A에 사용되던 TPD-K1 레이져 거리측정기를 기반으로 하는 1A40-1 조준기로 이것은 2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T-72B는 보통 시속 25km 이하의 속도로 이중하면서 표적에 대해 사격을 할 수 있으나, 이것은 주행도로의 상태와 표적까지의 거리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한편 9K120 유도무장시스템에는 야간에 125mm 활강포의 사격과 주간에 9M119 미사일의 발사를 위한 1K13-49 추적기를 내장하고 있다. 이것은 Active및 Passive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9M119 對戰車미사일의 모습. 왼쪽은 미사일과 추진장약의 모습이며, 오른쪽은 내장된 날개가 펼쳐진 9M119 미사일의 모습이다

미사일
T-72S 전차는 9K120 Svir (나토코드명 : AT-11 스나이퍼) 유도무장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다. 9K120 Svir는 러시아의 Tula에 위치한 KBP 기계설계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폭발반응장갑(ERA : Explosive Reactive Armour)으로 보호되는 장갑차체및 헬리콥터와 같이 저고도를 저속으로 비행하는 비행물체에 대해 사용 할 수 있다.
이것의 사용범위는 100∼4,000m이며, 사격시에 T-72S는 정지한 상태에서 미사일을 발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9K120 Svir이 사용하는 미사일은 9M119 미사일로 반자동식의 레이저 유도식 미사일이며, 탄두는 HEAT탄두를 사용한다.
9M119의 중량은 23.4kg으로 700mm의 장갑을 관통 할 수 있는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對戰車 미사일을 발사시에는 9M911 對戰車 미사일과 추진체를 결합하여 발사한다. 이것을 러시아에서는 3UBK-14 포탄으로 부르며, 3UBK-14은 일반적인 戰車용의 포탄과 거의 같은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장전/송탄 역시 T-72B의 일반 戰車彈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9K120 시스템은 4,000m 범위내에서 일반적인 전차형의 표적에 대해 80%이상의 명중율을 갖는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이 實戰에서 입증된 수치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참고로 M1A2레오파드 Ⅱ에 장착되는 L44 포의 유효사정거리가 3,000m이고, 르끌레르 주포의 유효사정거리가 3,400미터라는 점을 감안하면 D-81 125mm 활강포의 부족한 파괴력을 효과적으로 보충 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9K120 시스템의 정확도를 믿는 다는 전제하에...
9M119 미사일은 현재도 T-80U 계열T-90계열에 사용되고 있다.

규격판넬형의 ERA 증가장갑이 붙은 T-72B의 모습으로 주포 좌측의 8연장 연막발사기와 주포 우측의 적외선 탐조등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기동성
T-72S 전차는 V-84 수냉,4-스트로크,다중연료식의 디젤엔진에 의해 기동한다. V-84 엔진은 840마력의 출력을 내는 것으로 톤당 18.9마력의 중량비 출력이며, 이것은 본격적인 3세대 전차 이전의 전차로서는 이해할만한 수준의 출력을 가진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 엔진은 경유(DL, DZ, DA) 이외에도 석유와 로켓연료(T-1, TS-1, T-2)및 심지어 승용차용의 개솔린(A-66, A-72)에 의해서도 기동이 가능하다.
엔진의 시동은 주로 전기식 스타터에 의하거나 압축공기에 의한 시동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비상시 견인용 전차에 의해 시동될 수도 있으며, 또는 외부의 전원을 사용하여 시동을 걸 수도 있다.
구소련의 전차답게 혹한기에 엔진의 원활한 시동을 위해 엔진을 일정온도까지 데우기 위해 별도의 가열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스노켈을 달고 도하시험중인 T-72S 戰車(左)와 도져를 장착한 T-72S(右)

트랜스미션은 Input 기어 유니트, Output 기어박스와 두개의 최종 드리아브로 구성된다. 또한 파워-유기압식의 쇽압소바가 붙은 독립지주식 토션바형의 서스펜션이 양 사이드의 첫번째, 두번째, 6번째 휠에 사용되었다.
구동휠(드라이브 휠)의 직경은 T-72A의 285mm에 비하여 훨씬 증대된 325mm로 보다 다이나믹한 기동을 가능케 해준다.
각각의 보기륜은 현대의 다른 전차들과 마찬가지로 고무재질이 바깥쪽에 커버링된 2중식의 휠구조를 하고 있다. 보기륜은 그당시의 서방세계 MBT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구경으로 별도의 지지륜이 없는 T-72 전차의 지지륜의 역할을 병행하고 있다.(※ 편집자 註 : T-72의 오리지날 모델은 T-64와 마찬가지로 지지륜(T-64는 4개, T-72는 3개)을 가지고 있었으나, T-72B에 이르면서 삭제 된 것으로 보인다.)
T-72S 전차는 주간에 포장도로상에서 최고 60km/h의 속도나 혹은 야지에서 30∼35km/h의 속도로 하루 300km를 주행 할 수 있다.(하루에 300km이상 주행 하는 것은 무리라는 소리지 1회급유로 겨우 300km만을 갈 수 있다는 소리는 아니다.)
T-72S의 연료탱크는 포장도로에서 주행 할 경우 500km를 주행 할 수 있는 연료를 탑재 할 수 있는 크기이며, 야지에서 주행시에는 같은 양의 연료로 약 400km를 주행 할 수 있다.
대부분의 舊蘇聯産 전차가 그렇듯이 T-72S도 후방부에 드럼형의 보조연료탱크를 장착 할 수 있으며, 이것을 달고 포장도로에서 주행 할 경우 150km를 야지에서 주행 할 경우 50km를 더 주행 할 수 있다.
트랙의 접지압은 0.9kg/㎠이다.
최저지상고는 459mm이며, 1.2m 깊이의 하천을 별도의 도하장비의 부착없이 건널 수 있고 1.8m깊이의 하천은 10분간의 준비작업에 의해 도하 할 수 있다. 만약 스노클을 부착 할 경우 5m 깊이의 하천도 도하 할 수 있다.

생존성
전용접차체의 T-72S는 차체 상부의 열차단 장치, 셔터, 그리고 엔진과 트랜스미션부에 위치된 환풍장치등을 채택하여 소음발생및 적외선 방출량을 감소시켜 은폐성을 높였다.
또한 902B Tucha 스모크 스크린 발사기나 혹은 배기매연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스모크 스크린을 칠수 있게 했다.
물론 기본적으로 칠해지는 위장 도색은 시각에 의한 피탐성을 낮추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애초에 개발된 T-72의 장갑은 중동전등을 거치면서 동시대의 서방세계 전차들의 주포에 비교적 잘 격파되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1988년 이후에는 규격화된 폭발반응식의 증가장갑 판넬을 차체의 전방과 포탑에 더붙였고 차체의 장갑도 개량된 Kontact 5 ERA로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규격판넬형의 증가장갑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전차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방어력을 증대시키는 방식은 미해병대의 M60A1 전차에도 채택된 바 있다. 주행기어部는 Gill 타입의 장갑으로 만들어진 사이드스커트로 방비된다.
T-72B의 포탑部의 가장 두꺼운 곳은 280mm이며, 가장 얇은 곳은 80mm이다.
T-72B에는 Anti-radiation Liner가 장비되어 있으나, 수출형인 T-72S에는 삭제되었으며, 공기정화기와 여압장치에 의한 NBC 방호능력은 B형과 S형에 모두 적용된다.
이밖에 T-72 계열 전차에는 지뢰제거용의 KMT-6 Mine Sweeper를 붙일 수 있다.

통신장비
T-72B는 기본적으로 R-174 인터컴, R-173 무전기, R-173P 무선수신기를 장비하고 있으며, 이들 통신장비에 의해 20km 범위내에 있는 다른 전차들과의 교신이 가능하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T-72M1 현대화 버젼으로 Sabca Vega社의 열영상장비와 Sfim社의 VS580 전차장용 조준기등을 장착하여 야간공격능력을 부여하였으며, 포탑의 양옆에 Oerlikon Contraves社의 20mm KAA-001 對空砲를 장착한 것이다.

 

T-72 모델에 대한 업그레이드
워낙 많은 대수가 제작되었으며, 또한 수출도 많이 된 T-72 전차(※ 편집자 註 : 애초에 T-72 전차는 舊蘇聯 육군의 주력전차로 개발되었다기 보다는 T-62의 성능향상형인 T-64의 성능을 다운시켜 소련의 동맹국들에 공급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說이 많다. 후에 나오는 T-80U는 T-64의 후계로, T-90S는 T-72의 후계로 보면 마땅하겠다. 따라서 디지네이션 코드가 더 높다고 더 성능이 뛰어날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는 舊蘇聯과 러시아뿐 아니라 동유럽의 여러 나라에 의해서도 개량되었다.
가령 과거 소비엔트연방의 일원이었다가 현재는 분리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KMDB(Kharkov Machine Building Design Bureau) 기존의 T-72 전차에 SAGEM SAVAN 조준기 를 장착하여 명중율을 높이고 NATO 표준전차포를 사용 할 수 있도록 120mm 활강포를 장착한 T-72MP를 만들었으며, 체코 공화국은 T-72A 전차의 수출형 모델인 T-72M1 전차에 Officine Galileo社의 TURMS-T 사격관제장치와 이스라엘의 NIMDA社가 영국 퍼킨스社의 엔진과 미국 앨리슨社의 자동변속기를 조합하여 만든 신형의 파워팩을 장착한 개량형을 개발중에 있다.
또한 슬로베니아의 ZTS Dubnica社 역시 T-72의 현대화 계획에 동참하고 있다.
아마도 그렇지 않아도 공산정권 붕괴이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류럽 제국과 과거 구소련의 동맹국들은 신형전차의 획득보다는 기존의 전차들에 대한 Upgrade쪽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많은 서방세계의 방산업체들이 각종의 Upgrade 제안을 내고 있다.
예를 들어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Delft Sensor Systems社와 이스라엘의 El-Op社, 스페인의 Enosa社, 슬로베니아의 Fotona社, 남아프리카공화국의 LIW, 폴랜드의 PCO社, 벨기에의 SABCA社, 프랑스의 SAGEM社는 각기 자사의 MK-72, SATES, MT-01, EFCS, Tiger, Drawa, Vega, Sanoet-2과 같은 열영상장비와 결합되어 야간 공격능력을 가진 사격관제시스템(FCS)를 판매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최고수준의 MBT를 설계할 능력은 있을지 모르겠지만, 아마 이런 流의 전차 업그레이드 시장에는 참여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고? 각종 부품의 국산화 정도는 대단히 떨어진 상태니까 그렇지 뭐...

 

<T-72S의 제원>

일반제원

전투중량 : 44.5톤±2%
승무원 : 3名
트랜스미션 : 기계식
전장 : 9,530mm(포신 전방)/6,860mm(차체)
전폭 : 3,370mm(트랙외측)/3,590mm(사이드스커트)
전고 : 2,226mm(포탑상면)
최저지상고 : 459mm

동력/성능

엔진 : V-8 수냉식 4-스트로크 다중연료식 엔진
출력 : 840마력(618kW)
중량대출력비 : 18.9 hp/ton(13.9 kW/ton)
최고속도 : 60km/h(포장도로)/30-35km/h(건조야지)
항속거리(포장도로) : 500km(자체연료탱크)/650km(보조연료탱크추가)
항속거리(건조야지) : 400km(자체연료탱크)/500km(보조연료탱크추가)
접지압 : 0.866kg/㎠
도하능력 : 1.2m(기본)/1.8m(별도장비장착)/5m(스노켈장착)

무장

주포 : 125mm D-81 활강포 + 45발
주포 작동고각 : -6∼+14˚
對戰車미사일 : 9K120 Svir 시스템/9M119 미사일
동축기관총 : 7.62mm PKT + 2,000발
대공기관총 : 12.7 mm NSVT + 300발
연막발사기 : 8개

 

러시아의 현세대 주력전차 T80U계열

수직장애물 통과시범을 보이는 T80U전차(上左)와 ERA 장갑으로 보호된 T80U전차의 전면부(上右)의 모습. 구식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T80U전차의 사수석의 모습.(下

 

 

 

 

 

 

 

 

T80U
개관
T80 주력전차는 1970년대 후반부터 양산이 개시된것으로 T-64전차의 뒤를 잇는 러시아의 주력전차이다.
이중 현재 생산되고 있는 유형은 T80U 보병전차와 T80UK 지휘전차이다.
이 전차는 옴스크의 트란스마쉬에서 생산된다.

 

T80U전차에 장착되는 스나이퍼 미사일

무장
T80U는 9M119 레플렉스(나토 분류 AT-11 스나이퍼) 對戰車 유도미사일을 적재하고 있으며, 이 미사일은 T80U의 주포로부터 발사된다.
이 미사일의 사정거리는 100∼4000m이며 최대사정거리까지의 도달시간은 11.7초이다. 이 시스템은 폭발반발장갑(ERA:Explosive Reactive Armour)로 보호된 전차들과의 교전나 저공 저속비행하는 헬리콥터 격추시에 주로 사용되며, 반자동 레이저 빔 유도방식으로 9M119나 9M119M미사일을 발사하며, 시스템의 최대유도 가능 거리는 5km이다. 탄두는 中空彈을 사용하며 탄두의 무게는 23.4kg이다.
이 전차는 서멀 슬리브가 달린 2A46M-1 125mm 자동 활강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 포는 분당 6∼8발을 발사할수 있다.
급탄은 28발이 장착된 카트리지로부터 되며, 총 45발이 전차에 적재된다. 고각범위는 -5˚∼+15˚이며, AP(Armour Piercing:철갑관통탄), HEAT(High Explosive Anti-Tank:고폭발탄), APDS(Armour Piercing Discarding Sabot), HE-FRAG(High Explosive-Fragmentation:고폭발파편탄)을 사용 할 수 있다. 이밖에 이전차는 7.62mm PKT 동축 기관총과 12.7mm Utes (NSVT-12.7) 對空 기관총을 장착하고 있다.

사격 관제
T80U의 사격관제장치는 1A42로 1V517 탄도계산용 컴퓨터, 쌍축 전기유압식 안정기, GPK-59 유압식 세미콤파스 방위 측정기와 같이 쌍축에 장착된 거리측정기, 포탑회전측정용의 방위 측정기로 구성된다. 이 사격관제장치는 기동중의 사격이 가능하다. 또한 사수를 위한 1G46 주간조준기와 적외선 조준기가 장비된다.

승무원용 해치와 RR 엔진부에 도하장비를 장착한채 늘어서 있는 T-80U전차들

플랫폼
이 전차는 전면부에 복합폭발반발장갑(ERA) 기타부위에 GILL 타입(이게 뭔지는 나도 잘 모르겠슴)의 장갑으로 보호된다. 기타 이전차는 미국의 M1과 마찬가지로 개스-터어빈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따라서 저소음·저배기가스발생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은폐성이 뛰어나며, 상면과 햇치에 적용된 열차단 기술, 엔진-변속기시스템의 환기·냉각 장치, 매연배출 장치등에 개선된 기술이 적용되었다.
T80U 전차의 개스터빈엔진은 GTD-1250엔진으로 1250마력(920kW)의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밖에 정지상태에서의 동력공급을 위한 GTA-18 파워유니트가 별도로 장비되어 있다.
T80U는 증가된 기동성을 위한 유압식 서보-시스템에 의한 구동 T/M이 장치되어 있다. 트랙과 서스펜션 시스템은 RMSh 트랙과 고무재질 코팅의 휠, 유압식 텔레스코픽타입 쇽압소버에 의한 토션바 타입 서스펜션등으로 구성된다.
이전차의 최대속도는 시속 70km이며, NBC(화생방)에 대한 방호능력, 자동 사격장치, 지뢰제거 키트, 참호구축용 키트등이 장비되어 있다.

T80UK 전차의 다이내믹한 기동 모습

T80UK 지휘전차
T80UK 지휘전차는 야전 지휘관을 위한 지령및 관제능력과 보다 더 강력한 통신장비를 갖춘 전차이다. 이 전차는 한마디로 T80U와 같은 수준의 무장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여기에 추가된 기능을 가진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다만 추가된 장비및 기능들로 인하여 주포의 적재 탄약수는 30발로 제한되며, 12.7mm 기관총은 삭제되고, 7.6mm기관총 역시 적재탄약수가 T80U의 1250카트리지에 비해 훨씬 적은 750카트리지로 제한된다.
이 전차에는 T90 전차에도 장착되는 Shtora-1 대응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Shtora-1은 러시아의 Electronintorg에서 생산되며, 적외선 교란장비, 네개의 레이져 수신기에 의한 레이져 경보 시스템, 에어로졸 스크린 형성장치, 컴퓨터 관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적 對戰車 유도병기에 대한 대한 작동범위와 레이져 거리측정기의 관제장비의 유효거리는 200m이다.
T80UK의 통신장비는 인터컴과 같은 UHF, HF 시스템으로 UHF및 HF통신시에 모두 사용될수 있는 좌·우 대칭형의 二極 안테나를 가지고 있다.
이 안테나는 전차가 정지중일때 R-163-50U무전기를 사용할 때는 40km까지, R-163-50K 무전기를 사용 할 때는 350km까지 교신범위를 증가시켜 준다.
또한 포탑에는 11m 길이의 안테나가 장치되어 있다. 또 전차가 기동중에 250km까지의 교신범위를 가능케 해주는 UHF-4m 안테나와 4m HF 안테나가 장치되어 있다. 이 전차의 트랙은 통신장비의 교신을 교란하는 요소를 제거하기위하여 전자기 정류기능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AB-1-P28 1 kW 벤젠 발전기는 전차가 정지시에 보다 강력한 통신을 위해 사용한다. T80UK는 또한 더욱더 발전된 사격관제시스템과 자동급탄 장치, 포탑부에 증강된 폭발반발장갑, TNA-4-3 운행보조 장비, 시야장비를 위한 유압-공기압적 클리닝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T80UM1 전차.

T-80UM1 Bars
개발배경
1991년 걸프전 당시 지상전에서 이라크 군이 사용한 러시아제 전차는 M1을 주력으로 한 서방측 전차에게 완패를 당했다.
이 패전의 요인으로는 정보 수집 및 전파 등 다양한 요소가 지적되었지만 이중에서도 양측간에는 사격 능력과 방어 능력에서 결정적인 성능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오명을 씻기 위해서 분투 노력한 러시아 전차 개발진들은 먼저 사격 능력을 개량하고 신형 사격 통제 장치와 열상 야시 장비를 탑재한 T80 UM을 1992년에 발표하였으며, 이어서 독특한 방어 시스템을 채택하여 방호력을 크게 향상시킨 T80 UM1을 1997년 옴스크 무기 전시회에 최초로 공개하였다.

개관
현재 T-80UM1 Bars 戰車는 T-80U이 가진 기존의 특징 - 모든 무장시스템이 회전포탑내에 위치. 추진시스템과 변속기는 차체의 후부에 위치. 전투구획부에 전차장과 사수/ 조종수 구획부에 조종수가 서로 분리된 구획내에 위치한다는 디자인적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나 개개의 시스템이 최신형으로 교체되고 신뢰성과 방어능력이 기존의 T-80U전차보다 향상된 것으로 블랙이글戰車와 T-80UM2의 개발선상 바로전의 모델이다.
따라서 특별히 외국으로부터의 주문이 있지않거나 블랙이글과 T-80UM2가 개념 연구상의 戰車로 판명될 경우를 제외하고는 양산에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외관상으로는 종전의 T-80U 전차에 비해 복잡해진 포탑의 모습이 두드러진다.

무장
T-80UM1 Bars 戰車의 주포는 기존의 T-80U전차의 2A46M-1보다 향상된 2A46M-4 125mm 활강포로 기존의 2A46M-1형보다 더 강인해져 신뢰성이 약 20%정도 증가 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2A46M-1에 사용되던 많은 부품들은 2A46M-4에 그대로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특징은 포미부에 포구 조준기(MRS : Muzzle Reference Sensor)를 달고 있다는 것이다.
FCS역시 기존의 T-80U에 사용되던 1A42에서 개량된 1A45 - 레이져거리측정기, 풍속측정용 센서, 戰車속도 계측기, 표적 속도 계측기, 회전각도 센서, 탄약및 주위온도 센서, 탄도계산기로 구성되어 있다. - 를 사용하여 반응속도및 정확도가 개선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T-80UM1 Bars 戰車에는 차량이 부드럽게 기동함으로써 사격의 정확도를 기할 수 있게해주도록 주행기어가 새로 개발되었으며, 예를 들어 야지에서 시속 35km의 속도로 주행시에도 주포를 원하는 어떤 방향으로도 고정시킬수 있다.
T-80UM1 Bars 戰車의 공격 정확도는 5km이내의 장갑차량이나 저고도 저속으로 비행하는 물체에 대해 100%에 가깝다고 한다.
이 전차는 APFSDS탄, HEAT탄, HE-Frag 주포탄 및 대전차 레이저 유도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T-80UM1 Bars 戰車에 사용되는 유도무기 시스템은 9K119//9M119M 으로 전장의 혼란상황에 대한 저항능력이 증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9년 옴스크 무기전시외에서 T-80U1을 소개한 책자에는 "REFLEKS" 레이저 유도 미사일 시스템이 사거리 100∼5,000m 범위에서 침투해 오는 지상 및 저고도 비행 표적을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사격 시범중에 T-80U 전차와 T-90 전차는 4km 거리에서 미사일을 발사하였는데 모두가 표적 한가운데를 명중시켰다.
T-80UM1 Bars 戰車에는 외부에 Buran시스템으로 알려진 사수용 적외선 조준기와 Agava-2 열영상조준기(이것 이외에도 外産의 조준기를 장착할 수도 있다.)를 장착할 수 있으며, 열영상 조준기를 사용할 경우 9M119 스나이퍼 미사일을 야간에 사용 할수 있다.
T-80U 전차와 마찬가지로 T-80UM1 Bars 戰車 역시 자동 장전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시스템에 의해 분당 7∼9발의 포탄을 발사 할 수 있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자동장전 장치를 채택하고 있는 프랑스의 르끌레르전차를 제외한 어떤 外産 戰車보다 더 뛰어난 능력이다.
자동장전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탄수는 28발로 르끌레르전차나 T-90S전차의 22발보다 많다. 이밖에 차체 내부에 17발을 추가로 보관 한다.

 

T-80UM1 전차의 포탑위에 장착된 Arena 능동방어시스템의 모습

방어시스템
T-80UM1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방어시스템은 Shtora라고 부르는 열선 전자(熱線電磁) 교란 시스템과 Arena 능동 방어 시스템으로 구분되며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T-90S 전차도 채택하고 있는 Shtora는 비파괴 무력화(soft kill) 시스템으로 방해 장치, 연막탄 발사기, 레이저 경보 장치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경보 장치가 적의 레이저 조사를 탐지하면, 포탑을 자동적으로 적의 방향으로 즉각 움직이고 포탑 양측에 있는 연막탄 발사기에서 탄이 발사되어 차체 주변에 고열의 에어졸 연막을 발생시킨다.
이 연막은 적의 적외선 유도무기를 무력화시킴과 동시에 적의 레이저 측정기로부터 전차를 은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방해 장치는 코드화된 적외선 방해 신호를 계속적으로 발생시켜 날아 오는 적의 대전차 무기 유도 신호에 유사 신호를 보내어 기만이 가능하며 TOW, HOT, Mirage, Dragon 등 서방의 대표적인 대전차 미사일뿐만 아니라 자국의 Saga 미사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Arena는 파괴에 의한 능동형 무력화(hard-kill)시스템으로, 다방향 레이더 센서와 포탑 주위에 부착된 20개의 파괴성 유탄 발사 폭발 패널과 그것을 제어하는 전자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T-80UM1 Bars 戰車가 정지시에나 이동시에 그리고 형식과 발사각도의 제한없이 戰車를 적 對戰車 병기로부터 보호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차의 포탑 최상부에 탑재된 다방향 레이더 센서가 360˚ 방향으로 감시하다가 초속 70m∼700m(음속의 2배정도)의 속도로 T-80U1 戰車를 향해 날아오는 적 對戰車 유도병기나 혹은 비유도식의 로켓포등의 존재를 확인하는 즉시 - 보통 50m 전방에서 발견하게 되어 있다. - 그 정보를 戰車에 탑재된 Arena 시스템 통제용의 컴퓨터로부터 보내면 컴퓨터는 즉시 폭발 패널을 폭파시켜 미사일의 비행 경로로 파괴성 유탄 - 유탄 발사기는 포탑전면의 110˚ 아크를 따라 링위에 장착되어 있다. - 을 발사시켜 적 對戰車병기를 파괴시키거나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T-80UM1 Bars 戰車를 보호 하게 된다.(※ 편집자 註 : 즉 Shtora 시스템의 경우 유도병기에만 유효하지만, Arena는 對戰車 포나 로켓과 같은 비유도식의 공격무기및 유도무기 모두에 대해서 유효하게 사용 할 수 있다.)
폭발 패널은 아래 방향으로 30°의 각도로 부착되어 있어, 수평선을 기준 할 때 발사 범위가 -85°로부터 +65°까지이다.
Arena 시스템은 전차장의 조종 판넬에 장치된 on/Off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며, 자동화모드와 수송모드 두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화모드에서는 스위치를 켤 경우 모든 작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장애물등에 의한 자동모드 사용불가시에는 수동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다.
적 對戰車 병기를 발견하여 자동 대응작업을 완료하는 시간은 불과 0.07초 이내이다.
러시아 측은 Arena 시스템이 전차의 방호력을 2배 증대시키고, Shtora/Arena가 결합되면 상승 작용을 일으켜 전차의 방호 수준이 5배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현재 2015∼2020년경 실전 배치를 목표로 차세대 전차의 개념 검토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지만, 그것이 완성되기까지는 현존 주력 전차의 발전 및 개량형 등으로 그 공백을 연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러시아가 먼저 개발한 방어용 시스템에 대응해서 이번에는 서방측 전차 개발진이 어떠한 형태로 현재의 주력 전차를 발전시켜 나갈지 주목되고 있다.
이밖에 이 전차는 대부분의 표면적에 "dazzle paint"를 코팅하였는데, 이 페인트는 레이더 탐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특수한 전자파 (변형/흡수) 코팅이다.

장갑
T-80UM1 Bars 戰車에는 종전의 T-80U 戰車에서와 마찬가지로 폭발반발장갑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무기/방사능/화재에 대한 방호능력
T-80UM1 Bars 戰車에는 GO-27 장치가 장착되어 방사능/화학물질을 신속하게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시스템은 최소한의 유지보수로 운용이 가능하며, 작동하기 쉽고, 내장된 테스트장비에 의해 신속하게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화재진압장치가 장치되어 150밀리세컨드이내에 화재를 진화시킬수 있다.

통신장비
T-80UM1 Bars 戰車에는 R-163-50U 무전기와 R-163UP 무선수신기가 장비되어 있다.
이것들은 초단파를 사용하여 전장의 혼란상황에대한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때 그때 전장의 혼란에 대해 가장 덜 영향을 받는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찾아 교신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밖에 T-80UM1 Bars 戰車는 부호통신장비도 갖추고 있다.

 

T-80UM1 전차의 GTD-1250 개스터빈엔진.

기동성
T-80UM1 Bars 戰車에 장착되는 GTD-1250G HP 다중연료 개스터빈엔진은 커브 길에서 평균 속도가 29% 증가되는 hydraulic volume tuning 장치를 가지고 있다.
T-80UM1 Bars의 전투중량은 46톤이며, 톤당 27.2마력의 높은 중량대 출력을 자랑한다. 이것은 현존하는 MBT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기동력이다.
T-80UM1 Bars 戰車는 이런 기동력을 바탕으로 17∼19초이내에 시속 50km까지 가속할 수 있으며, 정기상태에서 1∼2초 이내에 순간적으로 3∼5m를 움직일 수 있다. 높은 기동성은 당연히 전투 상황에서 전차의 생존성을 더 높여주게 되며, 즉응성 높은 기동력은 개스터빈엔진의 채택으로 가능해 진다.
엔진은 T-80U와 동일한 계열의 것을 사용하지만 변속기는 개량되어 종전의 T-80U 전차대비 5∼10%정도 연비가 향상되었으며, T-80UM1 Bars 戰車의 변속기와 주행기어는 기존의 T-80U전차에 비해 각각 30%, 50%씩 수명이 연장되었다.
일반적으로 戰車는 전장상황에서 기동중 12%는 일정한 속도로 일정한 루트를 다라 기동하는데 시간을 소비하며, 33%의 시간동안에는 회전동작을 사용하는 방향전환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단한 방향전환작업은 조종사의 작업량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전투력을 향상시켜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T-80UM1 Bars 戰車는 일반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단 세가지 조정장치 - T자형의 조종용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 - 에 의해서 방향선회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T-80UM1 Bars 戰車는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디젤유와 항속주행시에 사용되는 케로신, 보조연료로 사용되는 가솔린등 3가지 타입의 연료를 사용한다. 즉 응급시에는 이 세가지중 한가지 연료만 있으면 일단 기동이 가능하다.
엔진 시스템에는 자동 공기 청소 장치가 있고 연료 탱크의 주입구는 하나이다. 이 전차의 최대 항속 거리는 외부 연료 탱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440km이고, 없는 경우에는 335km 이며 최고 속도는 포장 도로에서 시속 70km, 야지에선 시속 40∼45km 이다.
T-80UM1 Bars 戰車에는 이 전차의 주엔진이 가동을 중단하였을 경우에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GTA-18 보조엔진을 별도로 장착하고 있으며, 이엔진은 18 kW의 출력을 낸다.(메인엔진의 출력이 920kW이다.)
따라서 주엔진의 가동시에 발생하는 적외선 특성을 줄여주기위해 주엔진의 가동을 멈춘 상태에서도 보조엔진을 사용하여 모든 기기를 사용하여 적을 공격하거나 Arena 능동방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조엔진을 사용함으로써 주엔진의 연료를 절감해줄 수 있다는 부수효과도 얻을 수 있다.
T-80UM1 전차의 무한궤도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포장에서의 사용시에 고무재질의 패드를 장착 할수 있다.

승무원의 거주성
종전의 러시아戰車들은 러시아의 기후환경을 고려 한탓인지 서방세계 전차들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냉방장치의 장착에 인색하여 열대지방등에서 사용시 승무원들을 더위에 지치게 함으로써 전투능력을 상실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었으나, T-80UM1 전차는 Krios Research and Production Enterprise가 개발한 냉방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편집자 註 : Krios Research and Production Enterprise는 미르 우주 정류장의 공조시스템을 개발한 곳이다.)
T-80UM1 전차에 장치된 냉방시스템은 매우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승무원 개개인에게 직접적으로 냉각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보다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높은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또한 T-80UM1 전차의 냉각시스템과 공조시스템은 주엔진의 트러블시에는 T-80UM1 전차에 장착된 보조엔진을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블랙이글 전차의 모습. T-80UM2도 외관은 이것과 거의 동일하나 주행휠이 7개로 늘어났고, 차체의 길이도 증대되었다

 

블랙이글, T-80UM2
러시아는 최근 T-80계열 전차에서 한 단계 뛰어넘는 성능을 가진 T-80UM2라는 새로운 전차의 세부내용을 공개하였다.
외견상으로, 이 전차는 Black Eagle Tank('97년말, Omsk 방산 전시회에 잠시동안 전시된 바 있다.)와 동일하다. 그러나 로드휠이 블랙이글의 6개에서 7개로 증대되었으며, 차체역시 길어졌다. 그러나 그이외의 사항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거의 같은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관련 소식통에 의하면, T-80UM2 전차는 T-80U 기본 양산형 전차보다 효율성 측면에서 58%나 향상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아래에 그 세부사항들을 상세히 열거하여 보기로 한다.

차체 및 포탑
기본적으로 T-80U 차체를 향상시킨 것이며 추가적인 방호력 증대를 위하여, 첨단 장갑재료를 적용한 새로운 용접 주강품 포탑을 가지고 있다.

Kaktus ERA(Explosive Reactive Armor : 폭발반응 장갑)
고폭의 대 전차탄과 운동에너지 탄의 공격에 대비하여, 차체 전방과 포탑상에 장착되어 있다. 포탑전면 하부 주위에 장착된 파편방어 스크린(anti-fragmentation screen) 천과 함께 스커트도 Kaktus 형태의 ERA를 가지고 있다.

Blowout panels과 새로운 자동장전 시스템
T-80UM2 전차는 기존의 T-80계열 전차가 장착한 125mm 2A46M 계열의 활강포를 갖고 있으나, 상단에 blowout panels이 설치된 포탑 버슬(bustle)안에 새로운 자동장전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포탑 아래로부터 포탑버슬로 탄약 저장고가 이동됨으로써 이 전차의 생존성이 크게 향상된 것이다. 중동전과 체첸 지역의 전투기간 동안에 수많은 T-72 및 T-80 전차가 포탑 하부에 있는 탄약이 폭발하여 파괴된 바 있다.
대형화된 포탑 버슬의 모습으로 T-80UM2는 종전의 T-80U나 T-80UM1과 외관상 확실히 구분된다.

125mm 주포 발사속도 향상
이전의 자동장전 시스템으로는 탄약수가 먼저 탄좌를 넣고 장약을 장전하여야만 했다.
T-80UM2 전차는 버슬에 장착된 새로운 자동장전기로 말미암아, 서방의 것과 비교할 때 직경 대비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현재의 탄보다 높은 장갑관통 능력을 가진 발전된 고정식 탄(fixed ammunition)을 발사 할 수가 있다.

컴퓨터화된 사통시스템
전차가 정지 또는 이동간에 높은 초탄 명중률로 고정 및 이동 표적을 포착할 수 있는 사통시스템이 T-80UM2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125mm 파편탄(fragmentation ammunition)용 Ainet자동신관 장입장치(auto fuze setting system)가 장착되어 있다. 정보를 사통컴퓨터에 공급하는 DV- EBS wind sensor가 포탑 상부에 장착되어 있고, 전차장 및 포수가 각각 포탑 최상부에 장착된 안정화 주간/열영상 조준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또한, 포수 조준경은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포함하고 있다. 포탑에 있는 승무원의 위치는 기존의 T-80U 전차와 비교할 때 다르게 되어있는데, 포수의 위치는 오른쪽에 있고 전차장의 위치는 왼쪽에 자리잡고 있다.

Arena 능동방어 시스템
추가적인 장갑 방호력을 갖춘 것 이외에도, T-80UM2 전차는 Arena 능동방어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돌진해 오는 대전차 무기를 미리 탐지, 추적하여 무력화시킬 수가 있다.
이것은 T-80UM1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성능을 가진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의혹인 것은 T-80UM1 전차에는 Arena 능동방어시스템이 포탑위에 별도로 장착된 형태로 확연히 눈에 띄는데 비하여 T-80UM2 전차의 포탑에는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이다. 대형화된 포탑의 버슬내에 삽입된 것인지 확실히 모르겠다.

GTD-1250G 터빈엔진
이 전차는 개조된 트랜스미션과 연결된 1250마력의 GTD-1250G 터빈으로 기동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이 터빈은 보다 연료효율이 좋은 디젤 엔진으로 대체되거나 1400마력의 개스터빈엔진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기타 표준장비(standard equipments)
여기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

① Tuman 신속반응 화재탐지 및 소화 시스템
② RPz-86M 대레이다 코팅(anti-radar coating)
③ 첨단 전자광학 대응책장비(countermeasures equipment)
④ 공기조절 시스템
⑤ 안전한 디지털 데이터 통신 시스템
⑥ 위성항법 시스템

T-80U 전차의 기동 모습(옆의 카메라를 누르세요. ※ 당분간 동영상 써비스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T-84U 전차의 기동모습(옆의 카메라를 누르세요. ※ 당분간 동영상 써비스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T-84U는 T-80U를 토대로, 우크라이나가 자체 개발한 전차로, T-80U와는 다른 포탑을 하고 있으며, 엔진도 개스터빈 대신 디젤엔진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주포는 동일한 125mm 활강포이다.

1999년 9월 9일 추가된 내용
아래의 글은 금년 6월 8일 ∼ 12일 사이에 열렸던 2년 간격으로 러시아가 주최하는 옴스크 국제 지상 및 항공무기 전시회(Omsk International Exhibition of Land & Airborne Equipment)에 등장한 T-80전차와 블랙 이글 전차에 대한 것으로 국방과학연구소의 '국방과학기술'에 올려진 기사내용이다.

T-80
Transport Machine Building사에서 성능 개량 작업을 수행한 T-80 주력전차는 지형 조건이 나쁜 곳에서도 고속도의 기동성을 발휘하여 인상적인 시범을 보여주었다.
새로운 1,400마력 가스 터빈 엔진을 장착한 이 전차는 모든 장애물과 경사지를 스프링보드 삼아 신속하게 시범 지역을 주행하였다.
상부에 장착된 독특한 먼지 여과기(dust filter)와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이 전차는 엔진 청소 작업을 하지 않고도 운행이 가능하다고 한 관계자는 언급하였다.
또한 이 전차는 Shtora라고 하는 방어보조장치(defense aids suite)와 최신형 Kontakt-5 반응 장갑을 자랑하고 있으며, 대전차 미사일 및 포탄에 대한 방호력을 제공하는 최첨단 Arena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블랙이글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관심을 집중시킨 것은 러시아의 비밀 무기인 시제형 Black Eagle 전차로 Transport Machine Building사가 개발하였다.
일반 대중이 이 전차의 예비 시제형 모습을 처음 목격한 것은 2년 전인 1997년 가을, 옴스크 무기전시회 였다. 그 당시 이 전차의 제작사는 러시아 국방부의 공개 금지 명령을 어기고 전시를 하였는데, 이 사건으로 인하여 러시아 연방보안국은 자국의 보안 규정을 위배했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한 적이 있었다.
Black Eagle 전차는 시범장으로 쏜살같이 달려나오는 대신에 서서히 범프 코스를 가로질러 그 모습을 나타내었고 기자 및 서방의 무관들이 미친 듯이 카메라를 들이대고 천으로 가리워진 포탑을 촬영할 때 서서히 그 포를 회전시키었다.
이 전차는 대략 T-80 전차와 차폭은 동일하나 시제형은 외곽 형상이 매우 낮다. 따라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면 보다 더 어려운 표적물이 된 셈이며, 각기 트랙에 7개의 차륜이 있어(※ 편집자 註 : 이부분은 약간 이상한 부분으로 인터넷상에 공개된 많은 사진 자료들은 블랙이글의 주행륜이 6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99년의 옴스크 전시회에서 선보인 戰車는 Black Eagle이 아니라, 소위 T-80UM2 전차일 가능성이 높다.) 차량의 안정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포수가 표적물을 추적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신형전차의 또 다른 강점은 포 장전 시스템과 탄약실이 승무원실 후방에 위치한 점이다. 상기 전차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진 것이고, 탄약실이 피격을 당해도 승무원 실로부터 멀리 떨어져 폭발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승무원의 생존성이 향상된 점이다.

우리나라의 T-80U
우리나라는 1990년대 초 러시아에 제공한 경협차관의 상환분으로 1995년 이후 총 2억 1천만달러어치의 러시아 군장비를 소위 '불곰사업'을 통해 도입했다.
당시 도입된 장비는 메티스(METIS) 휴대용 대전차 유도탄 50기, 이글라(IGLA) 휴대용 대공미사일 50기, TU-80전차 33대, BMP-3 보병전투차량 33대등이다.
1999년 5월 1일에는 당시 도입된 T-80U전차와 BMP-3장갑차의 화력시범및 기동훈련장면이 KBS 9시 뉴스를 통해 공개되기도 했다.

'아래'는 T-80U 전차 운용요원으로 활동중인 박상현 상사의 T-80U 전차에 대한 사용소감및 독자들의 T-80U 전차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 박상현님의 E-mail 주소 : tankt80@chollian.net

1) 2000년 初에 보내진 운용소감.
현재 운용상에 있어 승무원 전체적인 의견은 성능은 대단히 만족하다는 것입니다.
강력한 125mm 활강포, 자동장전장치, 고출력의 가스터빈엔진...
이중 현수장치는 대단히 견고합니다.
K-1전차처럼 유기압 현수장치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굴곡이 많은 야지에서도 고속으로 주행간 사격이 가능 할 뿐더러 아직까지 궤도가 한번도 이탈이 되지않았습니다.
물론 토바나 화이날 드라이브가 이상이 있었던 경우도 없습니다.
화력분야에서는 자동장전장치에 의한 사격 시스템이 고속 기동간에도 흔들리는 차체에서 원하는 탄을 정확히 사격할수 있어 유동이 심할 경우 탄약수가 탄을 장전하는데 제한을 받는 K-1전차보다 유리합니다.
또한 양압장치는 방독면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격시 조준하는데 굉장히 유리합니다.
러시아 장비가 대부분 핵상황을 대비해 제작 된 관계로 T-80U 전차는 방사능 차단 라이너가 포탑내부에 장착되어 감마선에 대한 방호력을 제공합니다.
역시 장갑은 내장형 반응 장갑을 장착가능 하도록 되어있습니다.(내장 폭약은 별도로 보관)
사격시 명중률 또한 우수하며, 재사격시 소요되는 시간도 적습니다.
다만 애로사항은 장비 고장시 정비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부대는 언론에도 공개되었다시피 육군 기계화학교 예하에 소속된 「제○○전차대대」로 명명되어있습니다.
BMP-3 대대는 「○○기계화보병대대」로 명명되어있고요.
저는 러시아에는 갔다오지 않았지만 내한한 러시아 교관으로 부터 약2개월간 교육을 받았습니다.
물론 장비조작은 숙련되어있으며 언제라도 작전 투입이 가능합니다.

2) 2000년 11월 14일 올려진 운용소감.
저는 t80u전차를 운용하고 있는 육군 모부대 소속 박상현 상사라고 합니다.
제가 4년 여동안 t80u전차를 운용한 결과 아주 우수한 전차이며 차기 전차사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차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실 국과연에서도 저희 전차에대한 연구를 계속 하고 있습니다.
그럼 t80u전차에 대한 제가 직접 운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화력은 아시다시피 125미리 활강포로서 우수한 명중률과 강력한 파괴력을 갖고 있습니다.
컨베어에 적재되는 28발의 전차포탄은 자동장전장치에 의해 장전되므로써 수동장전보다 2탄 사격시 2-3초간 빠르며 주포의 장전각 이동시에도 포수조준경은 표적을 지향함으로써 사격시 표적을 놓칠염려가 없습니다.
또한 유도탄은 사거리 5킬로로 포수조준경의 레이저빔에 의해 유도되며(사실 저희들은 정보빔이라고 함)정확하게 표적에 명중시킬수가 있습니다.
다만 야간조준경이 적외선인 관계로 열영상보다는 열세에 있습니다.
기동력에서는 1250마력의 강력한 가스터빈엔진으로 시속70킬로 미터까지 기동이 가능하며(아마 여러분들이 저희 사격장에서 이 전차가 기동하는 것을 직접본다면 놀라실겁니다.) 또한 신뢰성높은 현수장치는 아직까지 한번도 토션바나 암이 나간 경우가 한번도 없습니다.
보조엔진의 장착으로 배터리 충전및 방어시에 유리하며 등판등력이 우수하여 작전시 효과적인 기동력을 발휘합니다.
다만 연료를 많이 먹는 것이 문제지만요.
방호력은 NBC 방호장치는 화학,생물학,방사능까지 장비하여 자동적으로 경보와함께 양압장치가 작동됩니다.
방사능 차단 라이너까지 장착되어있습니다.
말씀드릴것이 많지만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궁금한것이 있으면 질문주십시오.

▶ 자유게시판 관련 질의및 응답 내용 :
① 승차감, 거주성등에 대한 답변.
② 방어력에 대한 답변.
③ 유도탄 사격 운용법등에 대한 답변.

--- 1998년 7월 1차 수정됨.

--- 1999년 5월 2일 우리나라 보유분에 대한 내용 추가됨.

--- 1999년 10월 26일 T-80UM1 전차에 대한 내용 보강

--- 2000년初 일선 T-80U 전차 운용병의 1차 운용 소감 추가.

--- 2000년 11월 17일 T-80U 전차 운용병의 2차 운용 소감및 질의응답내용 추가.

<T80U/UK의 제원>

크기

승무원 : 3名
중량 : 46톤
전장 : 9.66m(포신전방), 7000m(차체만)
전폭 : 3.6m(사이드스커트포함), 3.4m(트랙까지폭)
전고 : 2.2m(포탑상부)

엔진,성능

엔진모델 : GTD 1250 개스터빈엔진
엔진출력 : 1250마력
최고속도 : 70km/h
톤당마력 : 27마력
접지압 : 0.865(kg/㎠)
연료소비율(100km주행시) : 460∼790리터(비포장)/430∼500리터(포장)
항속거리 : 335km(자체연료탱크)/400km(보조연료탱크)-비포장
500km(자체연료탱크)/600km(보조연료탱크)-포장
도하능력 : 1.2m(준비없이), 1.8m(도하장비부착후)
참호통과능력 : 2.85m

무장

주포 : 1×125mm(45발)
동축기관총 : 1×7.62 mm PKT(1250발)
1×12.7mm Utes AD(500발)
사용포탄종류 : AP APDS HE-FRAG HEAT 유도미사일

전원계통

사용전압 : 22 - 29 V DC
배터리 : 4
전기용량 : 340Ah

시스템

무선통신기 : 송수신기, 전화, simplex, R-173
인터컴 : R-174

보호

전면 : ERA(폭발반응장갑)
기타 : GILL
NBC : 실내기압가압, 공기청화기에 의한 NBC방호기능 제공

 

러시아의 차세대 주력전차 T-90S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동중인 T-90S전차의 경쾌한 기동모습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25mm 활강포로 무장된 T-90S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동훈련중인 T-90S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포탑부에 장착된 Shtora-1 방어장비

 

9M119M 미사일

 

 

 

 

 

 

 

 

 

T-90S전차는 화력, 주행능력, 장갑능력이 보강된 러시아 T시리즈 전차의 최신모델로 러시아연방의 Nizhnyi Tagil社 제품이다.

T-90의 종류
1995년 3∼4월호의 Armor지에 "The Russian T-90/T-90S Tank:An Old Dog with Some Dangerous Tricks"라는 기사가 게재된 후, 이 불가사의한 러시아의 MBT에 관련된 몇 가지의 새로운 사실이 명백해졌다.
다양한 소식통에 의하면 T-90에는 최소한 3가지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러시아는 1996년 6월 수출형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T-90S와 T-90SK 지휘형에 대해서도 언급한 바 있다.
또한 T-90E에 대해서도 간헐적인 언급이 있지만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T-90E라는 명칭은 실제의 T-90을 더 오래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서 의도된 계획적인 허위 정보일 가능성이 있거나 T-90을 공개하기 전에 T-72BM MBT를 수출하기 위한 시도였을 것이다.
더욱이 T-90의 것으로 생각되는 몇 가지의 정보와 규격은 T-90S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진 정보와는 다르다. T-90S와 T-90의 세 번째 유형은 탄도계산기, 전차장용 주/야간 조준경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이 서로 달라서 구별될 수 있다.
결국 최근에 최초로 공개된 T-90S에는 필요시 옵션으로 가용가능한 열상 야간조준경이 장착되어 있지 않았다. 러시아는 적어도 1992년 이후부터 전차용 열상 조준경을 장착했으며, T-90에는 최신의 Agava-1 열상 조준경이 장착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가용한 정보에 기초하면, T-90의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즉 T-90(비수출형 MBT), T-90S(이 글에서의 주제가 되는 수출형 버전) 및 T-90SK(지휘형)이다.

무장
T-90S전차의 주포는 2A46M 125mm활강포로 두축의 유압식 주포안정기에 의해 고정되며, 熱管에 의해서 자세가 복귀된다. 포신은 포탑의 해체없이 교환이 가능하며, APDS(Armour Piercing Discarding Sabot), HEAT(High Explosive Anti-Tank), HE-FRAG(High Explosive Fragmentation)탄등을 사용 할수 있다.
이외에도 T-90S의 주포는 9M119 Refleks (나토 분류명 AT-11 스나이퍼) 對戰車 유도 미사일을 발사 할수있다.
이 미사일은 폭발 반발 장갑(ERA :Explosive Reactive Armour)을 갖춘 戰車및 헬리콥터와 같이 낮은 고도에서 저속으로 비행하는 공중목표물의 파괴용으로 사용된다. 이 미사일의 이 미사일의 유효사정거리는 100m∼4000m로 최대 사정거리까지의 도달시간은 11.7초이다.
이 미사일 시스템은 반자동 레이져빔 추적방식의 9M119나 9M119M미사일을 사용하며 중공 탄두를 장착하고 있다. 이 미사일의 중량은 23.4kg이다.
이 미사일의 송탄은 일반 탄과 마찬가지로 주포의 자동송탄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타 보조화기로 회전축위에 탑재된 7.62mm PKT 기관총과 12.7mm의 對空用 기관총이 있으며, 저격용의 AKS-74 소총이 격납되어 있다.

사격통제 장치
T-90S전차는 1A4GT 자동전자계산식 사격통제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수동식으로 전차장에 의해 사격지령이 해제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수경은 1A43 주간영상장치, 1G46 조준경, 1V528-1 탄도계산기, DVE-BS 풍속측정기, T01-K01 열영상장치, 1.2km에서 1.5km까지의 목표식별범위를 가진 TPN-49-23 BURAN-PA 또는 AGAVA-2 영상기로 구성되어 있다. 사수의 PNK-4S 영상기는 주간에 800m에서 야간에 700m의 식별범위를 가진 TKN-4S(AGAT-S) 주야간 영상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밖에 레이져 거리측정기가 장착되어 있다.
T-80 전차와 같이 이 전차는 hunter-killer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전차장용 조준경은 주간과 IR뿐이다. 아직은 전차장용으로 독립된 열상 조준경이 없다.

플랫폼
T-90S 전차는 일반적인 장갑판과 폭발반발장갑(* ERA(Explosive Reacting Armour) - 폭발반발장갑은 APDSFS탄이 날아와 장갑에 맞으면 장갑 아래에 있는 폭약이 폭발, APDSFS탄의 방향을 살짝 바꿔놓아 관통력을 줄인다. 또 HEAT탄에 대해서도 고온제트의 방향을 흐려놓는다.)두가지로 장갑 보호된다.
또한 T-90S 전차는 840마력의 V-84MS V-12 피스톤 디젤엔진을 동력으로 하여, 장갑으로 보호되는 연료탱크와 후부에 위치한 연료드럼에 1600리터의 연료를 주입할수 있다.
항속거리는 550∼650km(높은 숫자는 외부 연료탱크 사용할 때)이다. 보고에 의하면, 이 엔진(T-72BM을 동력화하는 V-84-1의 파생형)은 증가된 중량 때문에 동력이 부족하여 T-90S가 T-72BM이나 T-80U에 비하여 기동성이 약간 떨어진다고 한다.
그러나 더욱 많은 정보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T-90S의 전투중량 목록에는 46.5톤으로 나와 있는 반면에 다른 소식통은 T-90의 전투 중량을 50톤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장래에 T-90/T-90S에 결합될 수 있으며 1,100hp까지 제공하는 신형의 더욱 강력한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전자적(電子的) 또는 air power시스템을 통하여 엔진 시동을 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ir power 시스템은 축전지 전원이 낮거나 추운 겨울에 엔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T-90S 전차는 20분내에 전용 장비를 장착하고 5미터 깊이의 강을 도강할수 있으며, 기타 KMY-7 지뢰제거 장비및 화생방 방호능력도 갖추고 있다. T-90S 전차는 Electronintorg社의 적외선 교란장치, 4개의 레이져 경보 수신기에 의한 레이져 경보장치, 연막 발사장치, 전자계산식 통제장치등으로 구성되는 Shtora-1 방호장비를 갖추고 있다.

방호력
T-90S는 3단의 방호시스템, 즉 러시아 제작의 "Combined" 또는 "Sandwich" 장갑으로 알려진 첨단 기본 장갑, Kontakt-5 반응장갑(ERA : Explosive Reactive Armor) 및 TshU-1-7 Shtora-1 DAS(Defensive Aids Suite)가 조립된 단지 3 또는 4종류 전차(다른 것들은 T-90, T-80UK/T-80UM Model 1995 MBT 및 우크라이나의 T-84 Model 1995 MBT)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현대식 소련/러시아 전차의 첨단 기본 장갑에 관한 정보는 거의 공개되지 않고 있다. T-64 계열, T-72 계열 및 T-80 계열 전차들은 60°의 전방 장갑 아크부에 복합/층상 장갑을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소식통에 따르면 T-90도 다를 바 없다고 한다.
Jane's Intelligence Review에 의하면, T-90은 포탑내에 러시아 버전의 Chobham 장갑을 통합하는 수정된 T-72BM 포탑과 차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포탑은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이 교체되어 이루어진 층이 삽입된 기본 장갑 동체와 조절된 변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T-90의 전방 경사부 장갑에 대한 어떠한 추가적인 정보도 없으며, 가장 유사한 설계는 이라크의 T-72 차체를 방호한 5겹의 장갑보다 훨씬 개량된 버전일 것이다.
최신의 가용정보에 따르면 T-90S의 기본 장갑이 T-90에 사용된 것과 같은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다. 이러한 인상적인 기본 장갑에 부가된 것은 제2의 방호층이 되는 Kontakt-5 ERA이다. 1989년에 최초로 인식되었으며, 1994년 9월에 처음으로 공개된 Kontakt-5는 실전 배치되어 HEAT 탄두를 방호하는 ERA 시스템에 비하여 방호능력의 커다란 도약을 의미한다.
러시아에 의하면, Kontakt-5는 운동에너지(APFSDS)탄의 관통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능력을 갖는다고 한다. Kontakt-5 ERA는 이제까지 T-90/T-90S, T-80U, T-80UM, T-80UM Model 1993, T-80UK/T-80UM Model 1995, T-84 Model 1995, T-80UD 및 T-72BM에 사용되었다.
그것을 소개한 이후 이러한 새로운 ERA로 장비된 T-55 MBT를 보여주는 비밀로 분류되지 않은 형상도 소개되었다.

Shtora-1 DAS 대응장비
T-90S에 통합된 제3의 방호층은 TshU-1-7 Shtora-1 DAS이다. 러시아 Electronintorg社 제품인 Shtora-1은 전차가 ATGM (Anti-Tank Guided Missile)및 레이저 유도 비행탄체에 의해서 명중되는 확률을 3∼5배 감소시키기 위해서 설계된 전자-광학 대응 수단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주포의 좌우 측에 하나씩 장착되는 두 개의 전자-광학/적외선 "dazzler"(재머), 포탑의 상부에 장착되는 4개의 레이저 경보 수신기로 구성된 레이져 경보 세트 그리고 레이저와 열상 조준경을 무력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고 하는 신형의 에어로졸 스크린을 형성해주는 연막 발생기, 컴퓨터화된 콘트롤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Shtora-1은 전자동 또는 반자동 모드에서 운용될 수 있으며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ATGM의 공격에 대해서는 각각의 전자-광학 dazzler가 對戰車미사일 발사대에서 사용되는 미사일 IR 추적 시스템을 혼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섬광을 방출하며, 레이저 유도 비행탄체 공격에 대해서는 레이저파에 조사 당하고 있다는 것을 시스템이 승무원에게 경보하면 연막탄을 발사하거나 전차장이 사격으로 제압하기 위한 결정을 하도록 대기한다.
Shtora-1은 T-90/ T-90S, T-80UK/T-80UM Model 1995 및 T-84 Model 1995에 장착된 것이 보였다.
1999년 옴스크 무기전시회에 배포된 안내 책자에 의하면 Shotra 시스템은 전차의 방호력을 3배나 증가 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밖에 T-90 전차에는 더욱 복잡한 Drozd 또는 Arena 시스템을 선택 사양으로 장착 할 수 있다.
Arena는 파괴에 의한 능동형 무력화(hard-kill)시스템으로, 다방향 레이더 센서와 포탑 주위에 부착된 20개의 파괴성 유탄 발사 폭발 패널과 그것을 제어하는 전자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T-80UM1 Bars 戰車가 정지시에나 이동시에 그리고 형식과 발사각도의 제한없이 戰車를 적 對戰車 병기로부터 보호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차의 포탑 최상부에 탑재된 다방향 레이더 센서가 360˚ 방향으로 감시하다가 초속 70m∼700m(음속의 2배정도)의 속도로 T-80U1 戰車를 향해 날아오는 적 對戰車 유도병기나 혹은 비유도식의 로켓포등의 존재를 확인하는 즉시 - 보통 50m 전방에서 발견하게 되어 있다. - 그 정보를 戰車에 탑재된 Arena 시스템 통제용의 컴퓨터로부터 보내면 컴퓨터는 즉시 폭발 패널을 폭파시켜 미사일의 비행 경로로 파괴성 유탄 - 유탄 발사기는 포탑전면의 110˚ 아크를 따라 링위에 장착되어 있다. - 을 발사시켜 적 對戰車병기를 파괴시키거나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T-80UM1 Bars 戰車를 보호 하게 된다.(※ 편집자 註 : 즉 Shtora 시스템의 경우 유도병기에만 유효하지만, Arena는 對戰車 포나 로켓과 같은 비유도식의 공격무기및 유도무기 모두에 대해서 유효하게 사용 할 수 있다.)
폭발 패널은 아래 방향으로 30°의 각도로 부착되어 있어, 수평선을 기준 할 때 발사 범위가 -85°로부터 +65°까지이다.
Arena 시스템은 전차장의 조종 판넬에 장치된 on/Off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며, 자동화모드와 수송모드 두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화모드에서는 스위치를 켤 경우 모든 작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장애물등에 의한 자동모드 사용불가시에는 수동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다.
적 對戰車 병기를 발견하여 자동 대응작업을 완료하는 시간은 불과 0.07초 이내이다.
러시아 측은 Arena 시스템이 전차의 방호력을 2배 증대시키고, Shtora/Arena가 결합되면 상승 작용을 일으켜 전차의 방호 수준이 5배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Arena 시스템을 장착한 장비는 T-80 전차, T-72C 전차, BMP-3 등이다.
러시아에서 개발한 이들 戰車用 대응수단들에 대한 평가는 현재 러시아측의 일방적인 선전에 의존 하는 수밖에 없다.

평가
아무래도 적어도 전차 제작분야에서는 러시아가 나토회원국들에 비해 많이 뒤쳐지는 느낌이다. 특히 현대의 MBT들에 필수적인 장비로 자리를 굳힌 디지탈방식의 탄도계산기나, 보다 정밀한 관측을 가능케 해주는 열영상기술이 집적된 사수 조준경, 레이저 거리측정장비등 전자기술을 요하는 분야에서 T-90S은 뒤쳐진다.
뿐만아니라, 생존성의 기준 잣대인 장갑판의 방어능력도 M1이나, LEOPARD II, CHALLINGER II등에 비해 뒤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원래 과거부터 러시아製 전차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데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전차의 중량중 장갑판의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결국은 상대적으로 약한 장갑성능이 T-90S 전차의 중량을 미국이나 독일쪽의 MBT에 비해서 10톤가량 경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항상 전차 주포구경의 대형화를 선도해온 러시아(구 소련)쪽의 노력도 여기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또한 비교적 경량임에도 840마력에 불과한 엔진으로 인해 톤당 마력이 20마력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 역시 이전차에 대한 매력을 경감시킨다.

--- 1998년 7월 최종 수정됨.

1999년 4월 2일 추가된 내용 --- 인도육군의 T-90S 전차 도입계획
인도육군은 T-90S를 약 200대 도입하여 4,5개 기갑여단을 새롭게 무장시킨다고 발표하였다.

1999년 4월 2일 수정한 내용
위의 평가부분에서 T-90S가 서방세계의 MBT보다 많이 뒤진다고 했다. 이런 견해에 변함은 없지만, 종래에 내가 그렇게 쓰게된 주된 이유는 T-90S가 T-72의 후계형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마치 러시아의 차세대 전차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즉 모델명만 보고 T-80U의 후계형이라고 생각했기때문이다.
그간 열심히 공부(?)한 끝에 알게되었지만, T-90S는 T-64의 간략화, 저가형 사양인 T-72로부터 비롯되는 전차로 이것을 서방세계의 MBT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비교할려면 T-80U나 T-80UM1, 블랙이글, T-80UM2를 가지고 서방세계의 MBT와 비교를 했어야 했다.
그러나 어쨌든 러시아의 현대 전차들이 현재의 서방세계 MBT들보다 뒤진 것은 사실이다.

1999년 4월 13일 수정한 내용
T-90S에 대한 최종적 평가를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좀 더 자세히 얘기하면 종래에 비해 긍정적으로 다시 검토 한다는 뜻으로 군수지원상태등을 고려하지않은 상태에서의「순수한」성능면만을 볼때 종전의 평가는 너무 부정적이었다는 뜻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제 원>

크기

승무원 : 3名(장전수 없슴)
중량 : 46.5톤
전장 : 9.53m(포신전방), 6.86m(차체만)
전폭 : 3.46m
전고 : 2.226m

엔진.성능

엔진형식 : 디젤엔진, 트윈스트로크, 다중연료, 6실린더
엔진모델 : B84MC
엔진출력 : 840마력
최고속도 : 60km
톤당마력 : 18.68마력
접지압 : 0.87(kg/㎠)
연료탱크용량 : 1600리터
항속거리 : 650km(도로), 500km(야지)
수직장애물통가능력 : 1.2m
참호통과능력 : 0.5m

무장

주포 : 1×125mm 활강포(포탄-43발, 미사일적재시-28발)
주포고각구동범위 : -13'∼+5˚5'
주포사용탄종 : APFSDS HE-FRAG HEAT 유도미사일
동축기관총 : 1×7.62mm MG(2000발)
대공기관총 : 1×12.7mm MG(300발)
송탄,장전 : 자동식

시스템

전차장 조준기 : 주야간조준기-고각상으로만 안정축 장치.
사수조준기 : 주간-2축식 안정축에 고정, 레이져거리측정기, 미사일유도시스템, 야간조준기-고각상으로만 안정축 장치.
탄도계산기 : 탄도계산용 컴퓨터사용
사수용 열영상기 : 기본장착
통신장비 : UHF R-163-504 무전기, UHF R-163-UP 수신기

방호능력

장갑 : 기본적으로 ERA(반발반응장갑), APFSDS/HEAT탄에 대한 일정한 방호능력 보유
레이더, 적외선, 레이져관측에 대한 방호능력 : TshU-1-7 Shtora-1 DAS장비
NBC : 실내기압가압장치, 공기정화기에 의한 NBC방호능력 갖춤
화재진압장비 : 있슴

 

 

 

'현대전쟁병기 > 벌판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장갑차 제원  (0) 2007.06.29
일본 90식 전차  (0) 2007.06.29
미군보병 개인화기  (0) 2007.06.29
험비  (0) 2007.06.29
한국군 전차보유 발전사  (0) 2007.06.29